2024.05.20 (월)

  • 흐림동두천 16.7℃
  • 흐림강릉 14.6℃
  • 흐림서울 17.7℃
  • 구름많음대전 13.5℃
  • 구름조금대구 14.8℃
  • 맑음울산 14.5℃
  • 구름많음광주 15.4℃
  • 구름많음부산 17.1℃
  • 구름많음고창 ℃
  • 구름조금제주 17.7℃
  • 흐림강화 16.5℃
  • 구름많음보은 12.4℃
  • 구름많음금산 9.6℃
  • 구름조금강진군 11.9℃
  • 맑음경주시 12.7℃
  • 맑음거제 15.5℃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1964. 입으로 전하고 마음으로 받는 우리가락 "산조"



“산조(散調)”는 한국 전통음악에 속하는 기악 독주곡의 한 장르입니다. 19세기 말 김창조(金昌祖)의 가야금산조를 시작으로 거문고산조, 대금산조, 해금산조, 피리산조, 아쟁산조 등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산조를 연주할 때는 장구의 반주가 필수적이며, 처음에는 느린 진양조로 시작하여 점차 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로 바뀌어 갑니다. 우조(羽調)와 계면조(界面調)가 있고, 감미로운 가락과 처절한 애원조의 가락이 있지요. 
 

산조(散調)는 말뜻 그대로 '허튼 가락', 또는 '흩은 가락'에서 유래한 것인데 산조 이전에 있었던 여러 민간 음악이 산조 속에 녹아 하나가 되었습니다. 연주장소, 연주자 등 연주조건에 따라 즉흥적인 감정표현을 중시하는 음악입니다. 산조는 전통 사회의 해체기에 생겨난 것으로 해체기의 "흐트러짐","불안함" 등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면서도 자연스런 개성미를 추구하여 당시 민중들 사이에서 해방감을 안겨준 곧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한 민중음악이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산조는 짧게는 15분, 길게는 60분을 넘기기도 하지요. 특히 산조는 이른바, “구전심수(口傳心受)” 곧 “입으로 전하고, 마음으로 받는다.”는 방법으로 가르침이 이어졌습니다. 선생이 한가락을 하면, 제자는 그대로 따라 한가락을 하는 것인데 요즘에도 산조나 판소리는 이 방법으로 전수받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처음에는 스승의 가락을 그대로 연주하면서 배우기 시작하지만 어느 정도 경지에 오르면 스스로 음악을 만들어 낼 수가 있지요. 그뿐만 아니라 산조는 그 틀 안에서 연주자가 연주하는 장소와 때에 따라 얼마든지 변화를 줄 수 있는 예술성이 높은 음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