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615. 조선시대 임금들, 조와 종은 어떻게 나뉘었을까?

615. 조선시대 임금들, 조와 종은 어떻게 나뉘었을까?

우리는 예전 공부할 때 조선의 임금들을 “태정태세문단세...”하고 외웠습니다. 그런데 그 조선 27대 임금들 중 태조,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만이 ‘조’가 붙고 나머지 임금은 ‘종’이 붙었습니다. 왜 그렇게 된 것일까요? 이를 엄밀히 나누기는 어렵지만 나라를 세우거나 반정을 통해서 임금이 되었거나, 큰 국난을 극복하였거나 하는 임금에게만 ‘조’를 붙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순조’같은 임금이 ‘조’가 붙은 대신 조선 최고의 임금으로 꼽히는 세종이 ‘조’가 붙지 않은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 점입니다. 즉 “‘조’와 ‘종’의 나눔은 어정쩡한 것이다.”라고 할 수밖에 없습니다. ‘조’와 ‘종’ 외에 반정으로 쫓겨난 연산군과 광해군은 임금으로 인정받지 못해 ‘군’으로 남았습니다. 특히 광해군은 개혁정치를 실천한 임금이었지만 패자가 부정되는 역사처럼 철저히 인정받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