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한글 그리고 우리말

정약용 등 실학자들, 왜 세종 르네상스를 거부했을까?

[강좌] 한글문화연대 김슬옹 박사 특강

[그린경제=최미현 기자]  세종은 위대한 르네상스를 이루어냈다. 세종이 있었기에 지금 우리는 세계에 당당한 것이다. 하지만, 정조시대 조선의 개혁과 실학을 이끈 정약용, 박제가, 박지원 등의 실학자들은 온몸으로 세종의 한글 르네상스를 거부했다. 왜 그랬을까. 그들의 개혁 정신이 위대하기에 더욱 안타까운 이런 사실을 우리는 어떻게 바라다보아야 하는가? 그냥 시대적 한계로 치부해야 하는가? 정조 시대의 개혁이 제대로 이어지지 못했기에 더욱 안타까운 역사이다. 

   
▲ 조선에 위대한 르네상스를 이루어낸 세종과 그 르네상스를 온몸으로 거부햇다는 다산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은 오는 628() 저녁 730분 세종대 겸임교수이며, 조선시대 훈민정음 발달사지은이 김슬옹 교수를 초대해 왜 정약용은 세종의 한글 르네상스를 온몸으로 거부했을까, 세종의 한글 르네상스의 실체와 실학자들의 안타까운 한계라는 주제로 6월 알음알음 강좌를 한다. 

장소는 시민공간 활짝(약도 참조)이며, 수강료는 1만원이지만, 대학생은 무료이다. 강신청은 https://docs.google.com/forms/d/1mebA9sRcNCw7-obWuHt3x6vaJ1WHC68oZg3vySkLvHs/viewform”에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