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근ㆍ현대 시기에 창작된 장편 기행가사 다섯 편을 현대어로 번역하여 《어와 벗님네야 구경가자》를 펴냈다. 이는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내방가사를 현대어로 번역하여 단행본으로 발간한 첫 사례다. 한글 장편 기행가사, 현대 독자를 위한 번역서 발간 《어와 벗님네야 구경가자》에는 여성들의 여행담을 가사로 써 내려간 「청량산유산록」, 「관해록」, 「종반송별(송별답가)」, 「관해가」등 모두 5편의 내방가사를 수록하였다. 가사의 운율과 정취를 살리면서 일반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현대어로 뒤쳤고, 정보무늬(QR코드)를 통해 디지털 원문도 열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원문을 그대로 수록하고 상세한 주석을 담은 교주본과 원문 영인을 실어 학술적 활용도까지 높였다. 《어와 벗님네야 구경가자》를 통해 여성의 눈으로 본 근ㆍ현대 시기의 여행담을 음미해 볼 수 있다.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20세기 여성의 여행 20세기에 들어서며 여성들은 ‘내방’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세상을 여행할 수 있게 되었다. 경북 지역의 여성들은 바깥세상에서 보고 들은 것을 내방가사로 노래하듯 써 내려갔다. 봉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서울 종묘 주변에 초고층 건물을 지을 수 있도록 허용된 것에 문화체육관광부 최휘영 장관과 국가문화유산청 허민 청장이 나란히 세계문화유산 서울 종묘를 찾아 모든 수단을 동원해 반드시 막겠다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종묘 세운4구역 관련해서 입장발표문을 통해 “종묘는 대한민국 정부가 1995년 첫 등재한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며, 500년 넘게 이어오는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이 정기적으로 이어지는 공간으로 살아있는 유산입니다. 하지만, 이 종묘가 지금 심각한 위험에 처해있습니다. 종묘 앞에 세워질 종로타워 수준 높이의 건물들은 서울 내 조선왕실 유산들이 수백 년 동안 유지해 온 역사문화경관과 종합적 값어치를 직접적으로 위협할 것입니다. 국가유산청은 정부의 지원 아래 주어진 권한 아래 세계유산법 개정 등 모든 방법을 세워 종묘의 세계유산 지위를 지키고, 종묘가 가진 값어치가 미래 세대에게 온전히 전승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늘 이 사안은 단순히 높이냐, 그늘이냐의 문제가 아닙니다. 초고층 건물들이 세계유산 종묘를 에워싼 채 발밑에 두고 내려다보는 것을 상상해 보십시오. 미래세대에게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맑은 날이든 흐린 날이든, 문득 하늘을 올려다보면 그곳을 떠다니는 구름이 있을 때가 많습니다. 오늘도 맑은 하늘이지만 곳곳에 구름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렇게 하늘에 떴다가 우리 마음에도 살며시 떠오르는 말, '뜬구름'을 모셔왔습니다. 우리가 '뜬구름'이라 할 때는 크게 두 가지 뜻을 담고 있습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말을 어떻게 풀고 있는지 찬찬히 들여다볼까요? 첫째 뜻은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입니다. 다음과 같은 보기월이 있습니다. 하늘에 떠다니는 한 조각의 뜬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뜬구름이 떠다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둘째 뜻은 '덧없는 세상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다음과 같은 보기월이 있습니다. 세상사 뜬구름과 같다.(표준국어대사전) 그에게는 부귀영화와 공명도 모두 뜬구름으로 여겨졌다.(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말집(사전) 모두 '하늘에 떠가는 구름'이라는 눈에 보이는 모습과, '덧없고 허무한 일'이라는 마음속 느낌을 똑같이 담고 있지요. 비슷한 뜻을 가진 한자말(한자에서 온 말)로 '부운(浮雲)'이나 '유운(流雲)'이 있지만, '뜬구름'만큼 그 모습과 느낌을 잘 나타내는 말도 드문 듯합니다. "뜬구름 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