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 = 이한꽃 기자]
광주 3.1운동의 발원지 수피아의 자존심 “박애순”
이윤옥
빛고을에 어둠 드리워
한치 앞을 볼 수 없으매
흰 옥양목 치마 찢어
남몰래 그린 태극기 높이 들고
수피아의 어린학생 이끌어
밀물처럼 장터로 뛰쳐나갔네
쌀장수는 됫박 들고
엿장수는 가위 들고
부둥켜안고 외친 광복에의 절규
무등산 너머 백두대간으로
뻗쳐올랐네
피 끓는 그 함성 넘치던 기개
태고의 강렬한 빛으로 뭉쳐
활화산처럼 타올랐어라
그 불씨 당긴 수피아여!
그 이름 영원히 기억하라!
![]() |
||
▲ 박애순 애국지사 |
▲ 수피아여학교 학생들이 만세운동을 부르며 달려 나오던 서문통 골목
박애순 (朴愛順,1896.12.23 ~ 1969. 6.12)
- 매일신보 1919년 4월 17일 치에는 광주지역 3.1운동 관련자 공판 기사가 다음과 같이 실려있다. “광주지방법원에서 3·1독립운동관련자 김복현, 김강, 최한영, 서정희, 박길상, 박애순등 80여 명에 대한 공판이 열렸다. 독립만세운동 혐의로 광주관헌(光州官憲)에 검거 된 자는 3월 11일 이후 99명에 달하였고 관련자 김복현은 나주에서 왔으며 기타는 광주예수교학교(光州耶蘇敎學校)졸업자이고 박애순(朴愛順)은 예수교학교 여교사이다.”
- 이날 공판에서는 징역 4월부터 1년 6월까지 선고 되었는데 박애순 애국지사 혼자만 최고의 형량인 1년 6월을 언도 받았다. 당시 박애순 애국지사는 광주 수피아여학교 교사로 독립만세시위를 계획했던 주동자였다.
- *더 상세한 내용은 항일독립운동가를 그린 시집 《서간도에 들꽃 피다 》3권 '박애순 편'을 참고.
** 이 윤 옥 시인 :
시집으로 친일문학인 풍자 시집《 사쿠라불나방》<1>, 항일 여성독립운동가를 다룬 시집《서간도에 들꽃 피다》<1><2><3>, 시화집《나는 여성독립운동가다》, 여성독립운동가를 다룬 영문판 시집 《41 Heroines: Flowers of the Morning Calm 》을 미국 createspace 출판사에서 펴냈다. 그 밖에 우리말 속의 일본말 찌꺼기를 걸러내는 책 《사쿠라 훈민정음》, 《오염된 국어사전 》외 다수의 저서가 있다. ≪문학세계≫ 시 부문 등단. 문학세계문인회《 사쿠라불나방》<. 세계문인협회 정회원. 한국외대 연수평가원 교수, 민족문제연구소 운영위원회 부위원장, 국립국어원 국어 순화위원 역임. 현,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