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1903년 겨울, 해가 어느덧 산 너머로 넘어가는 밤 충청북도 회인(懷仁, 지금의 보은 일대)에 살던 부자(富者) 정인원은 자기 집 사랑채 안에 앉아 있었습니다. 멀리서 보기엔 그저 평안히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니 종잇장 하나를 들고 벌벌 떨고 있군요. 무엇이 그를 이렇게 떨게 했을까요. 일렁이는 호롱불 아래, 종잇장에 적힌 한글이 언뜻언뜻 드러납니다. 이를 읽어보면 알 수 있지 않을까요? 정인원의 어깨너머로 그 글을 읽어봅시다. 지금은 읽기도 힘든 옛한글입니다. 번역을 해보면, “활빈당(活貧黨) 발령(發令). 이상 발령하는 일은 전일에 전(錢) 5천 냥을 보내라 하였더니, 3백 냥만 보내니 괘씸한 마음을 어디에 다 말하랴 … 명령을 내니 이번에도 따르지 않으면 조금도 사정을 두지 않을 것이로다.”라는 내용이네요. 허! 그냥 글이 아니었습니다. 홍길동(洪吉童)이 만들었던 도적 집단, 활빈당의 협박장입니다. 그러니 정인원이 이렇게 떨 수밖에요. 종이 위에 크게 박힌 화살 모양 수결(手決)이 그에겐 퍽 섬뜩했을 겁니다. 아니 그런데 잠깐, 활빈당은 고소설 《홍길동전》에 나오는 가상의 존재 아니었던가요? 한데 20세기로 접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새로운 종교가 한 사회에 처음 발을 내디딜 때 새로운 신(神)의 형상도 함께 전해집니다. 이 땅에는 없었던 얼굴과 옷을 입은 낯선 존재들의 모습이 상으로 만들어지고 사람들의 숭배를 받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 낯선 신들은 신성하지만 친근하고 낯익은 존재로 바뀌어 갑니다. 우리나라에 ‘불교’라는 ‘새로운 종교’가 처음 소개된 것은 삼국시대의 일입니다. 세 나라가 불교를 받아들인 시기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이 새로운 종교는 이내 사람들의 마음과 삶에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최초의 사원이 세워지고 승려들이 등장했으며 새로운 사상과 이국적인 모습을 한 신(神)들이 사람들의 의지처가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불교 신자들이 보았던 부처와 보살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이 글에서 소개하는 보물(옛 지정번호 보물 제333호) 금동보살입상은 지금까지 전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보살상 가운데 하나로, 우리나라 불교 조각의 초기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상입니다. 또한 1,500여 년 전 이 땅의 불교 신자들을 떠올리기에 아주 적절한 소재이기도 합니다. 삼국시대 초기 불교 조각의 모습을 보여주는 보살상 이 상을 보았을 때 어떤 점이 가장 인상적인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 1707~1769)의 <홍련(紅蓮)>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화원별집(花苑別集)》의 한 면입니다. 이 화첩은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을 대체로 시대순으로 실었고 산수화, 사군자 등 각종 옛 그림의 분야가 고루 포함되어 있습니다. 심사정은 여러 가지 그림에 능했던 조선시대 선비 화가인데 꽃과 새 그림도 잘 그렸습니다. 이 화첩에는 심사정의 그림이 두 점 실려 있는데 모두 꽃과 새를 그린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꽃 가운데 군자로 불리는 연꽃과 예쁜 물총새를 단아하게 담고 있습니다. 물총새와 연꽃 연꽃이 붉게 핀 연못에 물총새가 날아듭니다. 물총새는 파랑새목 물총새과의 새로 몸길이는 약 17cm입니다. 아주 작고 깜찍한 새지요. 물총새 몸의 빛깔은 윗면이 광택이 나는 청록색이고 아랫면은 주홍색을 띱니다. 청록색깔을 하고 있어서 중국에서는 비취색깔새 곧 취조(翠鳥)라고 부릅니다. 물총새는 물가의 사냥꾼입니다. 물고기 매[魚鷹]라고도 불리는데 먹이를 잡을 때면 수면에서 1~1.5m의 높이에서 자리를 잡고 기다렸다가 수면에 물고기가 떠오르면 물속으로 뛰어들어 긴 부리로 순식간에 물고기를 잡습니다. 예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