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15 (화)

  • 흐림동두천 16.2℃
  • 흐림강릉 17.3℃
  • 흐림서울 17.6℃
  • 대전 17.2℃
  • 흐림대구 17.9℃
  • 울산 19.1℃
  • 박무광주 18.8℃
  • 부산 21.5℃
  • 구름많음고창 19.6℃
  • 구름많음제주 22.4℃
  • 흐림강화 17.6℃
  • 흐림보은 16.2℃
  • 흐림금산 17.2℃
  • 흐림강진군 19.7℃
  • 흐림경주시 18.9℃
  • 흐림거제 20.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한국 종가의 철학을 찾아서

전체기사 보기


100년 전 설립 백산상회, 상해 임시정부 비밀 자금줄로

한국 종가의 철학을 찾아서 (19) 백산 안희제 종가

[그린경제/얼레빗 = 김영조 기자] “종가의 역사는 짧을지 몰라도 백산 안희제 종가를 빠뜨리면 안 됩니다. 일제강점기 항일운동에서 백산 선생이 차지하는 부분이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나라 안에서 모은 독립운동자금의 많은 부분은 선생의 손을 통해서 상해임시정부에 건네졌으니 선생을 빼놓고는 독립운동을 이야기할 수 없지요.” 상해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 선생의 증손자인 이항증 광복회 경북지부장은 종가 취재에 백산종가를 빼놓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백산상회>라는 무역회사를 차린 뒤 비밀리에 상해로 돈을 빼돌려 독립자금을 댄 백산 선생이야말로 조선의 독립운동에 크게 이바지한 분이었음을 두고 하는 말이었다. ▲ 백산 안희제 선생 ▲ 백산 선생 생가 양정의숙 재학 때 민족교육 운동을 시작, 여러 학교를 설립하며 교육운동 “새는 한가로움을 좋아하여 골짜기만 찾아드는데(鳥欲有閑尋僻谷) 해는 편벽되기를 싫어하여 중천에서 광채를 더한다.(日慊偏照到中天)“ 위 시는 백산(白山) 안희제(安熙濟, 1885. 8. 4∼1943. 8. 3) 선생이 17살 때 의령군아에서 열린 백일장에서 지은 시다. 선생은 가장 먼저 시를 써내 군수로부터 칭찬를 받고

"전 재산 백성 구휼과 의병 지원에 쏟은 명가"

[한국 종가의 철학을 찾아서(18)] 예천 연안이씨 별좌공 종가

[그린경제/ 얼레빗=김영조기자] 경북 예천 송곡리의 사고(沙皐) 이덕창(李德昌‧1569~1616) 별좌공 종택을 찾아 가던 날은 함박눈이 펑펑 내려 자동차들이 설설 기던 날이었다. 평소 예천은 갈 기회가 없었는데 벼르고 별러 찾아 나선 길이 빙판길이라 조심조심 찾아 갔다. 예천군 호명면 송곡리 별좌공 종택에 이르렀을 때는 눈은 뚝 그치고 하늘은 마치 비 갠 뒤의 날씨처럼 높고 푸르렀다. 내려 와도 별로 들려 줄 이야기가 없는데.라며 찾아뵙기 전 나눈 전화 통화 너머에서 바튼 기침 소리를 내던 이의선 종손 어르신은 불편한 몸으로 기자의 방문에 대문을 활짝 열고 반겨 주었다. 대문을 열고 들어선 앞마당 위쪽에는 오래된 고택 한 채가 버티고 있었다. ▲ 별좌공(사고) 종택 전경 ▲ 이응 선생 후손 이태형 공이 지은 병인양요 당시의 의병기록 동야일기 의병장으로 적을 토벌하고 주검 못 찾아 의관 거두어 장사 지내 이유(李愈)는 자가 자흠이요 호를 매촌(梅村)이라 하는데, 연안인(延安人)인으로 예천 출생이다. 가정 임오에 형제가 함께 진사가 되고 퇴계문하가 되었다. 4개의 읍을 다스려 치적을 쌓고 임진년에 용궁(龍宮) 현감으로 부임하자 군사를 모아

"가뭄때 200석 풀고 100석은 싸게, 50석은 종자로 내놔"

[한국 종가의 철학을 찾아서 10] 나주 남파(南坡) 박재규선생 고택

휼민비 당시 고마움 증언소작인에 소 나눠줘 '爲民' 정신 실천 광주학생사건 주도자들 모두 남파고택 사람들로 항일정신 투철 후손들 교육운동 매진 청운야간중학교 세워 20년간 2천명배출 한가위 제문‧결혼식 축문등 한글로 지어 뜨거운 한글사랑 실천 ▲ 현 남파고택 종손 박경중 선생 [그린경제=김영조 문화전문기자] 나주로 취재를 가기 이틀 전 남파고택 종손 박경중 선생에게서 전화가 걸려 왔다. 나눔의 철학을 취재하신다고 하셨지요? 저희 집안에선 그리 대단한 나눔을 실천한 것도 아닌데 멀리서 오셔서 실망하시면 어쩌죠? 열 번의 취재에 처음 듣는 얘기였다. 그러나 기자는 남파고택에 뭔가 분명히 있다. 다른 종가와는 다른 그 무엇인가가 있을 것이다.란 이상한 확신이 생겼다. 더구나 이곳은 강릉 선교장 이강백 관장(한국고택협회 회장)의 추천이 있었지 않은가? 이곳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현 종손의 이름을 따 박경중가옥이라 했지만, 최근 이 집을 지은 이의 호를 따서 남파고택으로 이름을 바꿨다. 저희 집안이 그래도 넉넉했을 때는 고조인 박(朴) 자, 재(在) 자, 규(珪) 자 할아버지 시절이었습니다. 할아버지는 군수를 지내셨는데 1860년 무렵 300~400석

임진란서 일제까지 400년을 면면히 이어온 ‘항일독립 가문’

[한국 종가의 철학을 찾아서(17)] 안동 ‘검제마을’ 학봉 김성일 종택

[그린경제/얼레빗=김영조 기자] 김용환 선생, 노름판 파락호 위장 종가 전답 팔아 만주독립군 자금 보내 할일 했을 뿐 아무 말 말라, 외동딸도 몰라 ▲ 현 15대 종손 김종길 선생 (앞줄임) 마평 서씨문에 혼인은 하였으나 신행날 받았어도 갈 수 없는 딱한 사정. 신행 때 농 사오라 시댁에서 맡긴 돈, 그 돈마저 가져가서 어디에다 쓰셨는지? 우리 아배 기다리며 신행날 늦추다가 큰어매 쓰던 헌농 신행발에 싣고 가니 주위에서 쑥덕쑥덕. 그로부터 시집살이 주눅 들어 안절부절, 끝내는 귀신 붙어왔다 하여 강변 모래밭에 꺼내다가 부수어 불태우니 오동나무 삼층장이 불길은 왜 그리도 높던지, 새색시 오만간장 그 광경 어떠할고. 이 모든 것 우리 아배 원망하며 별난 시집 사느라고 오만간장 녹였더니(뒷줄임) 학봉 김성일 선생의 13대 종손 김용환(金龍煥, 18871946년) 선생의 외동딸은 파락호로 알고 평생을 원망했던 아버지가 건국훈장을 추서 받던 날, 존경과 회한을 담은 우리 아배 참봉 나으리라는 제목의 위와 같은 편지글을 남겼다. 시집간 날 외동딸이 그렇게 원망할 수밖에 없었던 아버지 김용환 선생은 안동에서 악명 높은 파락호였다. 당시 학봉 집안은 사방 십리 땅을

"어려운 백성 세금 대납해주고 세차례 옥살이 풀어 준 가문"

[한국 종가의 철학을 찾아서(16)] 해남 윤씨 녹우당 종택

어초은 윤효정 선생 '삼개옥문적선지가(三開獄門積善之家)' 가문 최고 덕목으로 기려 고산 윤선도, 죽기 전 84세 때 극빈 이웃들 돕기 위해 '의장(義庄)' 마련 공재 윤두서는 가난한 이들 기근서 벗어나게 자활의 길 열어줘 후손들도 '대대로 나눔 실천' 속 '문화가 살아 숨 쉬는 종가' 만들어가 [그린경제=김영조 기자] 녹우당 취재를 위해 종손 윤형식 선생께 전화를 드렸다. 나눔을 실천한 종가를 취재하려고 한다는 말에 선생은 “전화 잘 주셨습니다. 녹우당은 대대로 나눔을 실천하는 것이 집안의 내력입니다. 그래서 녹우당 유물전시관에도 그 점을 강조하고 있지요.” 한국에 종택과 고색찬란한 고택은 많지만 특별히 ‘나눔’이라는 주제에 맞는 집을 찾느라 매회 어려움을 겪던 가운데 윤형식 선생의 전화는 무척 반가운 목소리였다. 가뭄 끝에 단비가 내린 듯 기자는 상쾌한 마음으로 전남 해남으로 달려갔다. 아니나 다를까. 선생은 기자를 반갑게 맞아주었고, 종부가 우려내온 따뜻한 전통차도 맛볼 수 있었다. ▲ 종손 윤형식 선생 ▲ 녹우당 전경 대담 도중 걸려온 전화는 '한국 최고의 정원'으로 평가받고 있는 고산 윤선도의 금쇄동 관리인으로부터였다. “자네가 고생이 참 많네. 그렇

문경현감 시절 본가 홍성서 곡식 날라 빈민 구휼

[한국 종가의 철학을 찾아서(15)]충남 홍성 사운(조중세) 고택

[그린경제/얼레빗 = 김영조 기자] 19세기말 기근으로 아사자들 늘자 고향서 구휼미 조달 홍주의병 거병 땐 239두 곡식 군량미로 아낌없이 쾌척 일제 눈치보지 않고 이순신장군 묘역 성역화에 성금 내놔 나눔없이 어찌 종가(宗家)가 이어지겠나 베풂의 역사 이어와 한글 조리서 '음식방문니라' 펴낸 분은 종손의 증조할머니 밤색두루마기 차림의 단아한 모습으로 기자를 맞은 조환웅(63) 선생의 집은 야트막한 학성산 아래 고즈넉한 모습으로 늦가을의 정취를 물씬 풍기는 곳에 자리하고 있었다. 요란하지 않은 솟을대문을 들어서니 툇마루가 기다란 본채가 이어졌고 다시 중문으로 들어서서야 선생이 손님을 맞이하는 방이 나온다. 안채 마루에는 벽면 가득히 찻잔을 진열해 둔 것으로 보아 예사로운 집이 아님을 느꼈는데 고운 백자 잔에 내놓는 씁쓰름하면서도 향이 그윽한 차를 마시며 무슨 차인가 생각하고 있는데 개똥쑥으로 만든 특별한 차입니다. 라고 운을 뗀다. 나눔의 철학을 취재하신다고 하셨죠? 정말 그렇습니다. 종가가 오랫동안 이어져 내려오려면 나눔을 실천하지 않고서야 가능할까요? 크든 작든 간에 이웃과 더불어 나눔의 삶을 실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봅니다. 우리 종가는 특히

'뼈속까지 일제 증오'…150명 집단 망명한 '독립운동 명가'

한국 종가의 철학을 찾아서(14)] 경북 안동 백하 김대락 종가

[그린경제/얼레빗 = 김영조 기자] “금옥(金玉)같은 우리 민족 적의 노예(奴隸) 되단말가 용봉(龍鳳)같은 당당사부(堂堂士夫) 적의 압제(壓制) 받단말가” 위 시는 백하(白下) 김대락(金大洛) 선생이 쓴 <분통가(憤痛歌)> 의 일부로 민족의 자존심을 갖고 당당히 살던 우리 겨레가 왜놈들 아래서 압제와 핍박을 받고 있는 것에 대한 통한의 느낌을 써 내려간 시다. 조선의 당당한 선비였던 백하 김대락 선생의 후손 김시중 어르신을 찾아가던 날은 내앞마을 콩밭이 누렇게 익어가던 늦가을 저녁 해가 뉘엿뉘엿 넘어갈 무렵이었다. 전에 한번 찾아뵌 적이 있는 김시중 선생은 경북 안동 내앞마을(川前里) <백하구려(白下舊廬)>에 살고 계시다. ▲ 백하구려 전경 <백하구려(白下舊廬)>는 대한제국 시절과 일제강점기 초에 국민계몽과 광복운동에 몸 바친 백하 김대락(1845∼1915)선생의 고택으로 사랑채를 확장하여 1907년 이 지역 최초로 근대식 학교인 협동학교를 개교했던 역사적인 유래를 간직한 집이다. 당시 협동학교의 교사로 쓰던 건물은 광복운동 군자금 마련을 위하여 처분되어 사라졌지만 지금도 건물이 서 있던 축대와 초석 일부가 사랑채 앞에 남아

목숨건 상소문으로 백성 살린 청백리

[한국 종가의 철학을 찾아서 13] 경북 풍기 황준량 종택

[그린경제/얼레빗=김영조 기자] 삼면이 산으로 막혀 있고 한 쪽은 큰 강이 흐르고 있는데 우거진 잡초와 험한 바위 사이에 있는 마을 집들은 모두 나무껍질로 기와를 대신하고 띠풀을 엮어 벽을 삼았으며 논밭은 본래 척박해서 물난리와 가뭄이 가장 먼저 들기 때문에 사람들이 모두 흩어져 항산(恒産, 늘 있는 수입)을 가진 사람이 하나도 없습니다. (가운데 줄임) 그래서 풍년이 들어도 반쯤은 콩을 먹어야 하는 실정이고 흉년이 들면 도토리를 주워 모아야 연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 선생이 단양군수로 부임하였을 때, 거의 파산 상태의 고을을 다시 일으키고자 임금에게 올린 진폐소의 일부이다. ▲ 금게 선생의 철학과 청빈한 삶이 담긴 금계집(退溪集) 그의 글은 이어진다. 그리하여 역사(役事)를 못하고 도망한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의 일족과 인근 이웃에 책임을 분담시켜 부세를 징수하려고 하니 이들이 어떻게 배를 채우고 몸을 감쌀 수가 있겠습니까. 이는 물고기를 끓는 솥에서 키우고 새를 불타는 숲에 깃들게 하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아무리 자애로운 부모라도 자식을 잡기 어려운데 임금이 어떻게 백성을 끌어안을 수 있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