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하지(夏至) - 신성호 뙤약볕이 작열하는 계절 여름이 응큼하게 다가왔다 땀은 절로 배어나고 온몸은 열기로 가득하다 봄을 맞나 싶더니 여름이 멋모르고 달려왔다 그 속에 하지란 절기가 버티고 여름을 알리고 서 있다 겨울의 긴긴밤이 여름의 짧은 밤이 서로를 의식하고 주야를 밀고 당기는 것이 세상 이치에 다 이르니 사계의 돌아감이 자연의 순리로다 어제는 24절기 가운데 열째인 하지(夏至)였다.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가운데 5월령에 보면 “모찌기는 자네 하소 모심기는 내가 함세 / 들깨 모 담뱃 모는 머슴아이 맡아 내고 / 가지 모 고추 모는 아기 딸이 하려니와”라는 구절이 있어 이 무렵이 농촌에서는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때임을 말해 주고 있다. 그런데 하지는 양기가 가장 성한 날이면서 이때부터 서서히 음기가 고개를 들기 시작하는 날이다. 동지에 음기가 가장 높은 점이면서 서서히 양의 기운이 싹트는 시작점인 것과 같은 이치다. 사람의 삶도 하지와 동지의 음양처럼 비슷한 면이 있다. 삶이 팍팍하여 죽을 것 같지만 어쩌면 이때가 다시 행복한 삶으로 들어가는 시작점인지도 모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여행은 배우고 느끼고 맛보는 과정이다. 도시 인문학자가 소개하는 도시 여행의 다채로운 맛을 한 권의 책에 담았다. 도시 인문학자 정희섭이 40개국 69개의 도시 속 숨겨진 이야기들을 12개의 주제로 엮어 인문학적인 시선을 바탕으로 풀어내고 있다. 작가는 문화를 읽고 설명하는 단위는 국가가 아니라 도시여야 한다고 말한다. 도시는 하나의 문화를 발원시키는 주체이고 생명체이며, 문화의 다양성을 설명할 수 있는 단위인 것이다. 대도시의 그늘에 가려진 것처럼 보이지만 멋진 이야기들로 가득한 도시들이 많다. 마사이족이 사는 땅 마사이마라, 평화를 갈구하는 선지자의 숨결이 담긴 항구 도시 하이파처럼, 잘 알지 못했던 작은 도시들의 이야기는 흥미롭다. 중간중간 삽입된, “멀리 여행하고, 자주 여행하여, 후회 없이 여행하라”(랄프 월도 에머슨)와 같은 여행 관련 명언들도 여행을 꿈꾸는 사람들의 마음을 더욱더 설레게 한다. 단순히 여러 도시를 여행했던 기록이 아니라 인문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도시의 이야기를 통해 낯선 도시로의 깊이 있는 여행을 꿈꾸어 보면 어떨까?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의 지은이, 그리고 제4대 국립중앙박물관장. 세간에 알려진 최순우의 가장 대표적인 업적이다. 오늘날 최순우, 라는 이름 석 자는 우리 박물관 역사에 깊숙이 새겨져 있다. 그러나 그의 인생은 굵직한 이력 몇 줄로 쉽사리 설명되지 않는다. 한국 문화유산의 아름다움을 알아보고 알리는 데 온 힘을 기울인 세월이 그만큼 무겁고 두터운 까닭이다. 그래서 이혜숙이 쓴 이 책,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의 아름다움을 전한 혜곡 최순우》는 더욱 반갑다. 책에 실린 최순우의 박물관 외길 인생을 천천히 따라가다 보면,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인생을 건 한 사람의 열정과 그 열정이 빚어낸 열매에 잔잔한 감동을 하게 된다. 그와 문화유산과의 인연은 송도고보 5학년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개성에 살던 그는 송도고보 5학년 여름방학 때,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빼어난 감식안으로 이름난 우현 고유섭을 만나 스승과 제자의 인연을 맺는다. 고유섭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겨레 문화를 알리고 긍지를 심어 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우쳐 주었다. 글쓰기를 좋아하는 문학청년이었던 최순우에게 이런 격려는 천군만마와 같았다. 가난한 집안 형편으로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세상이 커다란 책과 같다면 여행은 그 책을 읽는 모험”이라는 책 표지의 멋진 문구가 시선을 끈다. 『나의 문학 답사 일지』는 국문학자 정병설 교수가 대한민국 곳곳을 탐방하며 문학과 역사의 자취를 추적한 여행기이자 문학 안내서이다. 저자는 『춘향전』의 남원, 『탁류』의 군산 등 문학 작품의 배경이 되는 장소를 탐방하며, 작품 속 장면을 생생히 그려내는 묘사와 상상력으로 독자를 깊이 있는 여행의 세계로 이끈다. 이 책에는 여행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저자의 지혜로운 통찰이 녹아있다. 저자는 여행할 때 눈앞의 것만 보지 말고 역사와 당대의 풍경을 마음으로 재현해 볼 것을 권한다. 또한, 그전의 여행은 어찌 되었든 돌아올 때의 내가 출발할 때의 나와 조금이라도 달라져 있다면 그 여행은 성공한 여행이라 말한다. 문학에 대한 열정과 성찰이 돋보이는 이 책은 여행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줄 것이다. 다가오는 여름,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그 지역과 관련된 문학 작품 한 편쯤 찾아 읽어 보면 어떨까. 여행에 재미와 깊이를 더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초여름[初夏] - 곽예(郭預) 天枝紅卷綠初均(천지홍권록초균) 가지마다 꽃이 지자 신록이 한창인데 試指靑梅感物新(시지청매감물신) 푸른 매실 맛을 보니 감흥이 새로워 困睡只應消晝永(곤수지응소주영) 긴 낮을 보내기는 곤한 잠이 제일인데 不堪黃鳥喚人頻(불감황조환인빈) 꾀꼬리가 수시로 날 찾으니 어찌하리오 평상(平床)은 솔바람을 맞으며, 책을 읽고 바둑을 둘 때 또는 낮잠을 잘 때 쓰는 것으로 대청이나 누(樓)마루에 놓여 있었다. 기다란 각목(角木)이 일정 간격으로 벌어져 있어 통풍이 잘되므로 여름철에 제격인데 두 짝이 쌍으로 된 평상은 올라서는 곳에 난간이 없는 것이 보통이다. 조선 전기 방랑의 천재 시인이면서 생육신의 한 사람이었던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은 산중에 열 가지 경치를 말했는데, 그 가운데는 평상 위에서 글 읽는 것도 들어 있다. 조선 후기 선비 화가 윤두서(尹斗緖)가 그린〈수하오수도(樹下午睡圖)〉에는 여름철 시원한 나무 그늘에 평상을 놓고 낮잠을 즐기는 사람이 보인다. 또 단원 김홍도(金弘道, 1745~1806?)가 그린 〈삼공불환도(三公不換圖)〉에도 사랑채 대청마루에 평상을 놓고, 그 위에 누
[우리문화신문=김상아 음악칼럼니스트] 이게 아닌데 꽃구경은 실컷 할 것 같았습니다 밭 갈고 봐야지 씨감자 놓고 허리 펴야지 하다가 꽃 지며 봄이 갑니다 이게 아닌데 이게 아닌데 별구경은 밤마다 할 줄 알았습니다 이골만 매고 마쳐야지 저것만 치우면 끝내야지 하다가 별은커녕 목 한번 못 젖혔어도 은하수는 흘러만 갑니다 이게 아닌데 이게 아닌데 천렵(川獵) 한번 못한 채 여름이 왔다 가고 단풍 산길 한번 못 걸었는데 어느새 낙엽 지고 겨울 옵니다 눈 푹 빠지면 책에 덮이고 글줄깨나 써보려 했건만 나무하고 돌담 쌓는 사이 눈 녹으며 푸성귀 돋습니다 이게 아닌데헤 이게 아닌데헤 그렇다지요 농군의 일은 밥숟갈 놓아야만 끝난다지요 그렇더라지요 시골살이가 맘대로 뜻대로 되지 않는다는 걸 알아 갈 즈음 반철학자(半哲學者)가 되어 있더라지요 에헤헤헤 으야야야 이게 아닌데헤이 이게 아닌데 어허! 장선생 그러다 피 게우겠소 * 이 시는 장사익의 <이게 아닌데> 노래를 듣고 갑자기 영감이 떠올라 쓴 시다. ‘국민 소리꾼’ 장사익은 1949년 충남 홍성에서 태어나 광천중, 선린상고, 명지대를 나왔다. 고교 졸업 직후부터 태평소를 비롯한 피리 종류의 악기는 거의 다 섭렵했고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스승의 날 지나 고교동기 선종이한테 전화가 왔습니다. 춘천에 사시는 권오길 선생님께 갔다 오자고요. 그렇지 않아도 선생님께 스승의 날 감사 전화를 드리면서 한 번 찾아뵙겠다고 하였는데, 선종이 덕분에 빨리 찾아뵙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한림성심대학교 총장으로 있는 영식이에게도 연락하여 5월 23일 같이 선생님을 뵈었습니다. 제가 글 제목을 《기생일까? 공생일까?》라고 하고는 선생님 이야기를 하니 좀 이상하지요? 이날 선생님께서 주신 책 제목이 《기생일까? 공생일까?》입니다. 생물수필 1세대이신 선생님은 그동안에도 수많은 수필을 쓰셨는데, 이번에 책으로 나온 것은 《기생일까? 공생일까?》이군요. 선생님은 그동안 50여 권의 책을 쓰셨으니, 참 대단하시지요? 선생님은 단순한 생물수필을 쓰는 것이 아니라, 글에서 우리 토박이말을 많이 쓰셔서 ‘과학계의 김유정’이라고도 불리십니다. 자연에 있는 ‘기생’, ‘공생’에 대해서는 학교에서 배웠기 때문에 친숙한 개념입니다. 그래서 복습한다는 기분으로 책을 펼쳤는데, 그동안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기생, 공생관계에서도 잘 모르는 것이 많네요. 그뿐만 아니라 전혀 생각지 못하고 있던 기생, 공생관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p.206) 임금을 어버이처럼 사랑하였고 나라를 내 집처럼 근심하였네 해가 아랫세상을 굽어보니 붉은 충정을 밝게밝게 비추어 주리 조광조가 사약을 마시기 전 남긴 절명시(絶命詩)다. 조광조의 죽음을 알자, 머리를 풀고 통곡하는 선비들이 적지 않았다고 한다. 조광조는 중종 재위 당시 조정에 출사하여 중종의 무한 신임을 받고 초고속 승진을 거듭하다가, 중종이 마음을 바꿔 갑자기 제거된 인물이다. 그의 행적을 두고 ‘정말 아까운 인물’이라는 평과 ‘지나치게 급진적이어서 적이 많았던 인물’이라는 평이 공존한다. 둘 다 맞는 말이다. 개혁을 부르짖는 ‘젊은 피’였으나, 10년에 한 번 추진하기도 어려운 개혁들을 3~4년 안에 완수하려는 조급증이 화를 불렀다. 신송민이 쓴 이 책, 《조광조》는 역사학자 33인이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꼭 알아야 할 역사인물 60인을 골라 펴낸 ‘인물 이야기’ 가운데 20번째 책이다. 조광조는 중종 시대를 다룬 사극이나 한국 역사에 남을 선비를 다룰 때 빠지지 않을 만큼 비중 있는 인물이다. 조정에 화려하게 출사한 유림의 기대주였던 조광조는 명문대가 출신으로 짐작하기 쉽지만, 생각보다 증조부나 조부, 아버
[우리문화신문=전수희 기자] 본격적인 우주 관광의 시대가 오고 있다. 2023년 8월 미국 민간 우주여행기업 버진갤럭틱이 민간인을 태운 첫 우주여행을 성공시키면서 영화 <인터스텔라>, <마션> 등의 우주여행도 더 이상 영화적 상상력만은 아니게 되었다. 『우리가 우주에 가야 하는 이유』는 ‘내일의 우리’를 위한 ‘오늘의 우주’를 이야기하는 책이다. NASA 태양계 홍보대사 폴 윤 교수가 과학기술과 산업 등 다양한 관점에서 우주를 보게 하고, 지구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우주적으로 생각하는 법을 일깨운다. 일례로 국제우주정거장의 기능은 우주탐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신약 개발, 재사용 로켓산업과 다양해지는 위성서비스까지 우주를 무대로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늘의 우주’를 기반으로 우주관광, 새로운 달 탐사 아르테미스 미션, 인간의 화성 거주 가능성에 도전하는 화성 인간 탐사 등 다양한 ‘내일의 우리’를 구체적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우주에 대해 알아야 할 때다. 우주에 대해 배워보고 우리가 우주로 여행해야 할 이유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 <지은이 소개> 폴윤(윤명현) 미국 항공우주국 제트추진연구소 NASA J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은 6월 3일(월) ‘여행’을 주제로 한 <테마가 있는 사서추천도서> 12권을 발표했다. 이번 사서추천도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진행하는 캠페인 ‘여행가는 달’(3월, 6월)을 맞이하여 여행과 관련된 도서로 선정하였다. 사서추천도서로는『나의 문학 답사 일지』,『노숙인생』(문학),『도시의 맛』,『다크투어, 내 여행의 이름』,『지리학자의 열대 인문 여행』,『이토록 우아한 제로웨이스트 여행』(인문과학), 『미국이 만든 가난』,『인류의 여정』,『프랑스의 음식문화사』,『경성 맛집 산책』(사회과학), 『우리가 우주에 가야 하는 이유』,『우리나라 탐조지 100』(자연과학)이 선정되었다. 문학분야의『나의 문학 답사 일지』는 국문학자인 저자가 대한민국 곳곳을 탐방하며 문학과 역사의 자취를 추적한 여행기이자 문학 안내서로 문학에 대한 열정과 성찰이 돋보이는 책이다. 사회과학분야의 『경성 맛집 산책』은 식민지 시대의 소설을 통해 음식문화를 소개하는 책으로 경성의 다채로운 음식 문화와 함께 식민지 시대의 현실도 함께 살펴볼 수 있다. 자연과학분야의『우리나라 탐조지 100』은 대한민국 각 지역의 지리적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