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시립청소년문화교류센터(아래 미지센터)는 국내 청소년들이 동아시아 이웃 국가의 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청소년 간 교류를 통해 상호 이해와 세계시민 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2025 동아시아 청소년 문화교류 - 일본(오사카·교토) 탐방’ 참가자를 모집한다. 2025년 8월 4일(월)부터 8월 7일(목)까지 3박 4일 일정으로 일본 오사카와 교토 지역에서 진행되며, 중ㆍ고등학생 연령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다. 이번 탐방은 특별히 ‘2025 오사카ㆍ간사이 엑스포’ 현장을 직접 방문해 세계 각국의 미래 담론을 접하고 국제사회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다양한 문화 체험과 일본 청소년과의 실질적인 교류 활동을 통해 타문화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고,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됐다. 주요 일정은 △오사카성 탐방(1일 차) △청수사 방문과 청소년센터 교류, 도시샤대학교 견학(2일 차)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현장 체험(3일 차) △유니버설 스튜디오 방문(4일 차)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일본 청소년과의 만남과 교류 활동도 포함된다. 참가자는 출국 전 사전 예비학교를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높이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세계에서 파스타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는 이탈리아다. 이탈리아 북부 지방에서는 페스토소스 파스타라고 바질(허브의 한 종류)을 곱게 갈아 만든 신선한 자연의 향이 깃든 파스타를 많이 먹는다. 중부 지방에서는 넓적한 모양의 파스타로 만든 라자냐가 유명하다. 라자냐 위에 치즈 가루를 뿌리기도 한다. 남부 지방에서는 삼면이 바다라서 해산물을 쉽게 구할 수 있다. 그래서 해산물을 곁들인 파스타를 많이 먹는데, 대표적인 요리가 봉골레와 살딘파스타다. 파스타에 사용하는 치즈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유명한 것이 모짜렐라 치즈이다. 모짜렐라 치즈는 샐러드에 넣어서 먹기도 하지만 그냥 직접 먹기도 한다. “모짜르트 치즈라는 것도 있어요?” K 교수가 모처럼 끼어들었다. “모짜르트 치즈가 아니고, 모짜렐라 치즈랍니다.” ㅇ 교수가 교정해 주었다. “아, 그래요? 이거 참.... 음식 분야는 통 캄캄해서. 가만히 있었으면 중간은 갔을 텐데, 그만 무식이 탄로 났네요.” K 교수가 머리를 긁적이며 멋쩍게 대답했다. “그런데, 이 식당은 큰길가도 아니고 장사가 됩니까?” ㅈ 교수가 물었다. 미스 K가 대답했다. “낮에는 학생들이 많이 오지만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샤스타데이지가 활짝 피었다. 자연에서 나고자란 풀꽃이 아니라 잘 꾸며진 정원에 무리지어 피어난 꽃이지만 청순하고 어여쁘다. 이 꽃이름이 무엇인고? 이름으로 보아 고향은 여기가 아닌듯! 50년전, 엄마는 이 녀석 보다 작은 개망초꽃을 가지고 소꿉놀이 하며 '계란꽃'이라 불렀다고 한다. 겨우겨우 알아낸 이 꽃 이름 '샤스타데이지' 알고보니 요즘 블로그 등에서는 이 녀석을 '계란꽃'으로 부르고 있다. 개망초보다 10배는 큰 녀석이다. "망초와 매우 유사하게 생겼으나 다른 속에 속한다. 망초의 키가 더 크고 개망초의 꽃이 더 크다. 중심의 노란 통상화를 둘러싼 하얀 설상화의 모습이 계란을 닮았다며 '계란꽃'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그쪽을 진짜 이름으로 아는 사람도 많다. 지금은 한국의 산과 들에 매우 흔한 아름다운 들꽃이지만 토종은 아니고 구한말에 북미에서 들어온 귀화식물. 원래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귀화식물의 외래종이다." -나무 위키- 5월 봄날은 가고 이제 6월이다. 개망초와 그의 어미쯤 되는 꽃 샤스타데이지의 계절이다. 모여있으면 더욱 아름다운 꽃 샤스타데이지를 일부러 많이 심어 관광객을 부르는 곳도 늘고 있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 6월 1일 저녁 4시 경주시 분황로 ‘분황사’ 경내에서는 <경상북도 무형유산 가야금병창 제16회 월은 임종복 가야금병창 독창회> ‘이야기로 풀어가는 심청 6’가 열린다. 올해는 고 장월중선 명창 탄생 100돌이 되는 해로 그의 제자 임종복 명인이 스승을 기리는 독창회를 여는 것이다. 주최 월은 임종복, 주관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보존회며, 분황사ㆍ신라금예술단ㆍ원효회ㆍ경상북도무형유산가야금병창보존회ㆍ경주국악협회ㆍ한국예술문화명인진흥회 경주무형유산전수교육관예능연합회ㆍ포항여성예술인연합회ㆍ포항시무형유산이수자협회·포항민속예술단이 후원한다. 임종복 명인은 “장월중선 선생님께서는 1960년대에 국악의 불모지였던 경주에 오신 뒤 1998년 73살로 세상을 뜨실 때까지 그의 예술이 깃든 악가무를 전수하시어 경주의 국악발전에 초석을 마련하셨다. 모든 분야에 능통하셨지만, 특히 가야금 병창은 경상북도 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경상북도 무형유산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으로 후대에게 전승되고 있다. 선생님께서 영면에 드신 지 27년이 훌쩍 지났지만 현재까지도 국악의 어머니로 추앙받는 큰 스승이시자 저의 자랑스러운 선생님이시다. 지금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도 하늘이 맑습니다. 아침부터 햇볕도 어제보다 더 뜨겁게 느껴졌습니다. 해를 가리고 걸으시는 분을 보며 '해가림'이라는 말이 떠올랐습니다. 아시다시피 '해가림'은 말 그대로 뭔가를 보호하려고 '햇볕을 가려 줌. 또는 그런 일'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작물(지음몬)이 어릴 때 해가림을 해 주기도 하고 해를 싫어 하는 것은 해가림을 해 주지 않으면 안 되는 것도 있지요. 해가림 이야기를 하니 '비가림'이라는 말도 생각납니다. '사람, 동식물 따위를 보호하려고 비가 들지 않도록 가리거나 막음. 또는 그런 시설'을 가리키는 말이죠. 요즘은 우리 입으로 가는 열매 가운데 '비가림'을 해서 키우는 것이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땅가림'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한곳에 같은 지음몬(작물)을 거듭 심지 않는 일'을 가리키는 말이지요. 한곳에 같은 것을 거듭 이어서 심는 것을 '이어짓기'라고 하는데 이어짓기를 하면 거두어 들이는 게 많이 줄기 때문에 '땅가림'을 하지요. 이렇게 묻살이(식물)도 저마다 타고 난 됨됨에 따라 가려 주어야 할 게 많습니다. 저마다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땅가림'에서 얻는 슬기를 삶에, 가르침에 써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아래 국악원, 원장 직무대리 강대금)이 주최하는 제45회 온나라 국악경연대회 대상 경연과 시상식이 5월 29일(목)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열렸다. 온나라 국악경연대회는 국악인재 발굴을 위해 1981년 제1회 대회가 열렸으며, 45회째를 맞이하여 올해 경연대회는 모두 458명이 지원해 예선과 본선을 거쳐 11개 종목에서 금ㆍ은ㆍ동상 수상자 33명이 정해졌다. 이날 열린 대상 경연에서는 11개 종목의 1위(금상) 수상자들이 실력을 겨루었으며, 영예의 대상인 대통령상 수상자는 ‘피리독주 상령산’을 연주한 피리종목의 오대주(23세 남, 한국예술종합학교 4학년 재학) 씨가, 최우수상인 국무총리상은 대금종목 이수호(21세 남, 서울대학교 3학년 재학) 씨가 수상의 영광을 얻었다. 대상 수상자인 오대주 씨는 “여러 번 도전해 온 온나라 국악경연대회였는데, 이렇게 최고의 상인 대상을 받을 줄은 정말 몰랐다. 너무 기쁘다”라며, “이 시간까지 음악가의 길에 함께 해준 부모님과 스승의 은혜에 감사드린다”라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국립국악원 강대금 원장 직무대리는 “온나라 국악경연대회는 1981년 제1회가 열린 이후 40년이 훌쩍 넘는 기간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문화체육관광부과 한국저작권위원회(위원장 강석원, 아래 위원회)는 ‘공유마당 인공지능 원천데이터 활용 공모전’을 5월 29일(목)부터 7월 31일(목)까지 연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공유마당의 원천데이터를 활용해 실현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한민국 국민이면 개인 또는 팀 단위로 누구나 자유롭게 참가할 수 있으며, 응모 방법와 자세한 공모 요강은 별도의 누리집(https://gongu.spectory.net/ai)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접수된 응모작 가운데 1차 전문가 심사를 통과한 작품을 대상으로 지도와 투자 유도 강의가 제공될 예정이다. 이후 2차 전문가 심사를 거쳐 최종 수상작을 뽑으며, 대상인 위원장상(상금 300만 원)을 포함해 모두 700만 원의 상금을 준다. 특히 올해 대상 수상작에는 별도 심사를 통해 내년 행정안전부 주관 ‘범정부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본선에 진출할 자격을 줄 예정이다. 위원회 강석원 위원장은 “이번 공모전을 통해 인공지능 원천데이터를 활용한 아이디어가 실제 서비스로 연결되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 공유마당 누리집에서 제공하고 있는 인공지능 원천데이터의 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단오 - 윤보영 음력 5월 5일 오늘은 단오! 내 그리움에 그네를 메고 그대에게 가면 어떻게 할 건데? 걱정마 왜 왔냐고 물으면 돌아오면 되니까 앞으로 간 만큼 뒤로 돌아오는게 그네니까...... 오늘은 우리 겨레가 예부터 설날ㆍ한식ㆍ한가위와 함께 4대 명절로 즐겼던 ‘단오’다. 단오는 단오절, 단옷날, 천중절(天中節), 포절(蒲節 : 창포의 날), 단양(端陽), 중오절(重午節, 重五節)이라 부르기도 하며, 우리말로는 수릿날이라 한다. 단오의 '단(端)'자는 첫 번째를, '오(午)'는 다섯으로 단오는 '초닷새'를 뜻한다. 중오절(重午節)은 오(五)의 수가 겹치는 음력 5월 5일을 말하는데, 우리 겨레는 이날을 양기가 왕성한 날이라 생각했다. 음양철학에 따르면 홀수를 '양(陽)의 수'라 하여 좋은 수로 여겼다. 따라서 이 양의 수가 중복된 날은 단오와 함께 설(1월 1일), 삼짇날(3월 3일), 칠석(7월 7일), 중양절(9월 9일) 따위로 모두 명절이다. 단오에는 명절음식으로 수리떡ㆍ앵두화채ㆍ제호탕 등을 해 먹으며, 단옷날 아낙네들이 특별히 하는 화장 ‘단오장’ 풍속이 있고, 동지에 달력을 나눠주는 것과 함께, 단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국내에서 처음 열리는 ‘저소음 버스킹 오디션’은 그 문이 활짝 열렸다. 함께 즐기고 누려야 할 지역의 문화예술이 누군가에게는 소음이 되면서 지역문제와 사회갈등으로 대두되는 때에 소음 없는 지역의 음악문화를 이끌고자 실력 있는 음악가들에게 오디션의 마당을 연 이번 축제는 그 대장정의 막을 내리고 시상식이 열렸다. 어제 30일 낮 3시 구로아트밸리 소강당서 열린 시상식은 대상에 mèan(민), 최우수상에 신재호(CLUAD, 클루어드), 우수상에 선영ㆍ윤환, 인기상에 손현채(팀탈출구)가 받았고, 이 페스티벌에 남성복 의류로 후원해준 (주) 티그린에게 기부상을 주었다. 이재윤 예술사회적협동조합 그린나래 이사장은 심사평에서 “‘저소음 버스킹 오디션’은 1차 라이브 방송 ‘좋아요’ 점수와 2차 전문가 평가로 심사하기로 했지만, 라이브 방송 ‘좋아요’에 대한 우려가 대두되어 원칙을 지키되 공정성을 잃지 않기 위해 ‘좋아요’는 점수에 환산하지 않고 가장 많은 ‘좋아요’를 받은 순위만 발표했다. 특히 전문가 평가에는 음악, 기술융합, 연출, 관객소통을 중심으로 평가했다.”라고 말했다. 심사위원들은 대상을 받은 mèan(민)에 관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내일은 우리 겨레가 예부터 설날ㆍ한식ㆍ한가위와 함께 4대 명절로 즐긴 단오입니다. 이제 그 명맥이 끊길 위기에 놓였지만, 단오도 명절이기에 단오장, 단오첩, 부채나누기, 대추나무 시집보내기, 씨름 같은 여러 가지 세시풍속이 있었습니다. 이 가운데 특히 ‘단오장(端午粧)’이란 세시풍속은 단옷날 아낙네들이 특별히 하는 화장을 말합니다. 아낙네들은 창포뿌리를 잘라 비녀로 만들어 머리에 꽂아 두통과 재액(災厄)을 막고, 창포 삶은 물에 머리를 감아 윤기를 냈지요. 또 단옷날 새벽 상춧잎에 맺힌 이슬을 받아 분을 개어 얼굴에 바르면 버짐이 피지 않고 피부가 고와진다고 생각했습니다. 또 아낙네들이 단오장을 할 때 남자들은 단옷날 창포뿌리를 허리에 차고 다니는데, 그렇게 하면 '귀신을 물리친다.'라고 믿었지요. 단옷날 가운데서도 낮 11시부터 1시까지 곧 오시(午時)가 가장 양기가 왕성한 때로 농가에서는 약쑥, 익모초, 찔레꽃 따위를 따서 말려두는데, 오시에 뜯은 약쑥을 다발로 묶어서 대문 옆에 세워두면 재액을 물리친다고 믿었습니다. 그리고 창포주 등의 약주를 마시는 것도 나쁜 일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했지요. 동지의 달력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