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대한민국 건국 100주년 기념 KB국민은행 서울 수담(手談)이 대통령직속 3·1만세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로부터 국민참여 기념사업에 뽑혔다. 지난 11월 3일 서울 올림픽공원 평화의 광장에서 열린 대한민국 건국 100주년 기념 KB국민은행 서울 수담(手談)은 프로기사와 바둑팬 등 1919명이 운집해 성황리에 열렸다. 중심 행사인 프로기사 다면기에는 특별 초청된 독립유공자 유족 33명을 포함한 바둑팬 1,000여 명이 참가해 133명의 프로기사에게 지도기를 받았다. ‘대한민국 건국 100주년 기념 KB국민은행 서울 수담(手談)’은 KB국민은행,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체육진흥공단이 후원했고 한국기원이 주관했으며 독립유공자유족회와 대한바둑협회가 협력했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2021년 하반기 개관 예정인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의 전시와 조사 연구 등을 위해 14일(화)부터 2020년 제1차 국내외 독립운동관련 자료 구입 공고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자주독립과 민주공화제의 정신이 자랑스러운 역사로 재조명되어 후대에 전승될 수 있도록 현재 건립중에 있다. 특히, 작년 6월 첫 공개구입을 시작으로 등록문화재 제576호인 ‘한중영문중국판 한국애국가 악보’와 ‘독립신문’ 등 모두 1,800여점의 자료를 확보하였다. 구입 대상은 3·1만세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관련 자료, 광복ㆍ정부수립과 나라 안팎 독립운동 관련 자료로서 상태가 양호하고 역사, 학술적 값어치가 높은 자료를 수집할 계획으로 서류접수는 오는 28일(화)부터 31일(금)까지다. 팔 의사가 있는 개인이나 법인은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누리집(www.nmkpg.go.kr)에서 서식을 내려 받고 작성하여 전자우편이나 일반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으며, 접수된 자료 중 구입 목적과 부합하는 대상에 한해 2차의 평가위원회의를 거쳐 살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누리집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신 2020년 ‘1월의 독립운동가’ 정용기 선생을 뽑아 발표하였다. 정용기(1862.12.13~1907.9.2) 선생은 경북 영천 출신이다.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일제의 침략 책동이 노골적으로 드러나자 고종은 시종관(侍從官) 정환직을 불러 의병을 일으킬 밀지(密旨)를 내렸고, 부친 정환직은 고종의 밀지를 받들어 그날 관직에서 물러났다. 부친 정환직과 함께 의병을 모집하기 위해 고향으로 내려가 1906년 1월경 ‘영천창의소’를 설치하고, 권세가(勸世歌)를 지어 일본인들이 들어와 문명과 종사가 무너지는 것이 을사 5적들 때문임을 지탄하고, 충성심 있는 의사들이 의병을 일으켜 역적들과 왜적들을 이 땅에서 몰아내고 대한독립만세의 기치를 들고 모두 함께 의병으로 나설 것 등을 호소하였다. 1906년 영남지역에서 1,000여 명의 의병이 모였으며 선생을 대장으로 추대하고, 진호를 ‘산남의진(山南義陣)’으로 정하고 부대를 편성하였다. 선생은 신돌석 의진과 연합작전을 펴기 위해 진군하던 중 경주 진위대 간계로 대구감옥에 수감되어 4달 동안 고초를 겪고 석방되었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일제의 눈을 피해 비밀리에 인쇄한 독립선언서를 민족대표 33인이 낭독하고 만세삼창을 외쳤던 ‘태화관’부터 3.1운동이 시작됐던 ‘탑골공원’, 3월1일 이후 사대문 밖으로 확산된 만세운동 현장과 일제에 체포된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되고 순국했던 ‘서대문형무소’까지. 서울역사편찬원(원장 이상배)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3.1운동의 역사적 현장을 둘러보고 그곳에 새겨진 항일독립정신을 담아낸 답사기 <1919년 3월1일 그날을 걷다>를 발간했다. 이 책은 3.1운동을 기획하고 준비했던 공간, 실제 만세시위 현장과 시위대의 노정, 도심 밖으로의 확산 현장, 일제에 체포돼 재판받고 옥고를 치르다 순국의 길로 떠난 열사들의 흔적을 따라가는 답사기다. 독자가 시간 순서대로 읽으면서 직접 답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1919년 3월 1일 서울 탑골공원에서 시작된 만세 함성은 전국으로 퍼져나갔다. 일제의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남녀노소 누구나 할 것 없이 만세 시위에 나섰다. 100년 전 우리 선조들의 숭고한 역사가 있었기에 오늘날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그날의 뜻을 되새기며 3.1절 기념식
[우리문화신문=전수희 기자] 안중근(安重根) 의사(義士)는 1909년 10월26일 만주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 현장에서 체포돼 중국 뤼순 감옥에 수감됐다. 이듬해인 1910년 단 7일 만(2.7.~14.)에 6회에 걸쳐 공판(公判)을 받았으나 재판은 일본인만에 의해 형식적으로 진행됐고, 14일 열린 마지막 공판에서 일제의 각본대로 사형이 선고됐다. 서울시가 안중근 의사와 관련된 유물 총 5점을 문화재청에 국가 문화재로 등록‧지정 신청했다고 11일(수) 밝혔다. 1910년 공판 당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관련 자료 2점(등록문화재)과 40일 간의 옥중에서 남긴 유묵 3점(보물)이다. 우선, 공판 관련 자료는 당시 참석한 일본 도요신문사(土陽新聞社) 기자가 스케치한 그림 <안봉선풍경 부 만주화보(安奉線風景 附 滿洲畫報)>와 공판 방청권(公判 傍聽券)이다. 공판 스케치는 1910년 2월10일 열린 제4회 공판 장면을 시간의 흐름대로 총 4쪽에 걸쳐 구체적으로 그렸다. 시는 이 2점을 국가 등록문화재로 등록 신청했다. 정확한 공판 날짜와 재판 참석자, 재판장 분위기 등이 그림과 함께 기록된 현존 유일본이자, 근대 동아시아 국제법 사료의 일면을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제78주년 대한민국임시정부 대일 선전포고 기념식’이 오는 10일(화) 오전 11시,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사)한국광복군동지회(회장 김영관) 주관으로 진행된다. 이날 기념식에는 오진영 서울지방보훈청장, 김원웅 광복회장을 비롯한 원로 애국지사, 독립운동 관련 단체장과 회원, 시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회사 및 축사, ‘대한민국임시헌장’과 ‘대일선전성명서’ 낭독, 국방군악대의 독립군가, 만세삼창 등의 순으로 진행되며, 이어 ‘한국광복군 창군 및 대일선전포고의 역사적 의의’에 대한 학술강연이 있을 예정이다. 참고로,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일본이 진주만을 습격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키자, 1941년 12월 10일에 김구 주석과 조소앙 외무부장 명의로 ‘대일선전성명서(對日宣戰聲明書)’를 발표하고,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의지를 세계만방에 드러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대일선전성명서」 우리들은 3천만 한국인 및 정부를 대표하여 중ㆍ영ㆍ미ㆍ하ㆍ가ㆍ호(中ㆍ英ㆍ美ㆍ荷ㆍ加ㆍ濠) 및 기타 제국의 대일선전을 삼가 축하한다. 그것이 일본을 격파하고 동아(東亞)를 재조(再造)하는 데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나는 그냥 평범한 사람으로 지내고 싶어. 내가 잘 난 사람도 아니고 뭐 큰일 했다고... 남이 알아주면 그것이 좋은 일이지. 지금 이렇게 편하게 살 수 있게 해준 나라에 감사한 거지. 다른 나라의 독립운동가에 대한 복지보다는 덜하다는 게 아쉽지만.” 이는 오희옥 애국지사의 이야기가 담긴 《마지막 증언》 집에 나오는 오희옥 지사의 말이다. 《마지막 증언》(2019.7. 북앤스토리) 은 여성독립운동가 오희옥 지사의 증언을 토대로 박숙현 씨가 쓴 책이다. 오희옥 지사(94)는 생존 애국지사로 구순이 넘은 나이에도 광복군 시절을 증언하는 등 활약하다가 지난해 3월 쓰러져 1년 9개월 째 서울 중앙보훈병원에서 입원 치료중이다. 어제(7일) 네 달 만에 오희옥 지사의 병실을 찾았다. 자주 찾아뵙던 병실을 네 달 동안 찾아뵙지 못했던 것은 기자의 친정어머니가 노환으로 지난 9월 말 돌아가셨기 때문이었다. 언제나 주말이면 병실을 지키는 아드님과 오희옥 지사를 휠체어에 태워 밖이 내다보이는 창가 복도로 나왔다. 지난여름 찾아뵌 이래 가을도 훌쩍 지나버리고 어느새 겨울로 들어선 병원 밖은 잎새를 모두 떨군 황량한 은행나무 가지만 쓸쓸히 서 있었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관장 주진오)은 연말을 맞아 올 한해 3․1운동 100년의 기념활동을 돌아보는 현대사 토크콘서트를 연다. 2019년 12월 11일 저녁 7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3층에서 열릴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현대사 구술채록 프로그램인 <토크콘서트 : 한국 현대사를 만나다>의 네 번째이자 올해 마지막 순서로 진행된다. 1919년은 대한독립이이라는 간절한 염원이 함성의 열기로 바뀌어 온 거리를 가득 채운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뜨거웠던 시절이었다. 그로부터 100년이 지난 2019년, 《1919: 대한민국의 첫 번째 봄》의 저자 박찬승 교수(한양대)와 《오늘과 마주한 3.1운동》의 저자 김정인 교수(춘천교대)와 함께 3·1만세운동과 3·1만세운동 100년 기념활동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자리를 마련한다. 이번 토크콘서트에는 역사학을 전공한 방송인 정재환이 진행을 맡았으며, 장유정 교수(단국대)와 신혜승 교수(연세대)가 3·1만세운동의 기억과 기념이 담긴 음악 공연을 펼친다. 토크콘서트 참가 신청은 선착순 모집으로 박물관 누리집 링크를 통해 할 수 있다. 신청은 누구나 할 수 있고 별도의 참가비는 없다. 보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윤봉길(1908.6.21~ 1932.12.19) 의사를 2019년 12월의 독립운동가로 뽑았다고 밝혔다. 윤봉길 의사는 1908년 6월 21일 충남 예산군 덕산면에서 태어났다. 1927년 《농민독본(農民讀本)》 3권을 써서 한글교육 등 문맹퇴치와 민족의식 드높임에 심혈을 기울였으며, 1928년에는 부흥원(復興院)을, 1929년에는 월진회를 설립하여 농촌계몽운동을 하였다. 1930년 3월 의사는 ‘장부출가 생불환(丈夫出家 生不還)’ 곧 ‘대장부가 집을 떠나 뜻을 이루기 전에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는다’라는 비장한 글을 남긴 채 정든 가족을 뒤로하고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으로 망명길에 올랐다. 이후, 중국 상해에서 백범 김구 선생을 만나 의열투쟁의 구체적인 방안을 찾던 중 “1932년 4월 29일 일왕(日王)의 생일인 천장절(天長節)을 일본군의 상해사변 전승 축하식과 합동으로 상해 홍구공원(虹口公園)에서 거행할 예정이다.”라는 ‘상해 일일신문‘의 보도를 접하고 의거를 결심하였다. 의거 3일 전 1932년 4월 26일에, 의거가 개인적 차원의 행동이 아니라 한민족 전체의사를 대변한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슬프다. 시대의 선각자요, 여성의 등불인 그는 삼일운동 때 피 흘려 청춘을 불살랐고 청운의 뜻을 품고 일본으로 건너갔으나 품은 이상 이루지 못한 채 애달픈 생애 딛고 여기 길이 자노니 지나는 손이여. 비 앞에 발 멈춰 전사의 고혼(孤魂)에 명복을 빌지어다. 여기 뜻있는 이 모여 정성들여 하나의 비를 세우노니 구천에 사무친 외로운 영이여 고이 굽어 살피소서.” 이는 제주시 황사평 천주교 공원묘지에 세워져 있는 강평국(姜平國, 1900 – 1933) 지사의 추도비에 새겨져있는 글이다. 지난 11월 8일(금) 낮 1시, 강평국 지사의 추도비를 찾아간 제주의 하늘은 더없이 맑고 푸르렀다. 추도비가 있는 곳은 공원묘지 입구에서 정면으로 나있는 조붓한 길을 걸어가면 나오는데 중간에 성모상이 서 있고 그 뒤를 조금 더 걸어가면 ‘황사평 순교자 묘역’이라는 커다란 봉분이 나온다. 바로 그 봉분 왼쪽 편에 강평국 지사의 추도비가 작고 아담한 모습으로 서 있다. 추도비에는 ‘아가다 강평국 선생 추도비’라는 글귀가 빗돌에 새겨져 있다. 아가다는 강평국 선생의 세례명이다. 강평국 지사는 1900년도 제주읍 일도리에서 아버지 강도훈과 어머니 홍소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