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유홍준)은 7월 25일(금)부터 12월 28일(일)까지 상설전시관 기증 1실에서 광복 80돌 특별전 《두 발로 세계를 제패하다》를 연다. 이번 특별전은 광복 80돌을 기려 손기정(孫基禎, 1912~2002) 선수가 우리 민족의 역사와 함께한 발자취를 조명하는 전시다. 손기정 선수는 1936년 8월 9일,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을 획득하며 우리 민족의 긍지와 기상을 전 세계에 알렸다. 그는 1945년 광복 뒤 지도자로 참여한 1947년과 1950년 보스턴 마라톤대회를 ‘KOREA’의 이름으로 제패하며 세계를 놀라게 했고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성화를 봉송하며 또 한 번 국민에게 깊은 감동을 안겼다. 전시 제목인 《두 발로 세계를 제패하다》는 1947년 백범 김구(1876~1949) 선생이 손기정이 지도한 서윤복(1923~2017) 선수의 보스턴 마라톤 우승을 축하하며 써준 휘호 “족패천하(足霸天下)”에서 인용한 것이다. 이번 전시에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 금메달과 월계관, 특별 부상품이었던 고대 그리스 투구를 비롯하여 손기정 선수의 여정을 함께한 전시품 18건을 선보인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 금메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광복 80돌을 맞이하여 7월 17일부터 국립중앙박물관 열린마당 실감 전광판과 명동 신세계스퀘어*에서 실감콘텐츠 <데니태극기>를 공개한다.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가 디지털 애셋으로 구축되어 대형 전광판에서 다시 펄럭이는 영상에는 1890년부터 135년 동안 이어진 우리의 역사와 눈부신 현재를 오롯이 담았다. * 신세계백화점 본점 외부 대형 전광판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 데니태극기 데니태극기는 고종(高宗, 재위 1863-1907)이 미국인 데니Owen N. Denny(1838-1900)에게 내려준 태극기로 202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데니는 1886년 조선 정부의 외교 고문으로 부임해 4년 동안 고종의 곁에서 외교, 법률, 경제 분야의 정책을 입안하였고 조선의 주권을 주장한 외교관이다. 데니는 1890년 미국으로 돌아갔는데, 이때 고종이 이 태극기를 데니에게 내려준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남아있는 옛 태극기 가운데 크기가 가장 크며, 초창기 태극기의 형태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1981년 후손 윌리엄 랠스턴William C. Ralston이 국립중앙박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허동현)와 함께 광복 80돌 기림 전시“ 광복 80주년, 다시 찾은 얼굴들”을 연다. 이번 전시는 오는 7월 15일부터 10월 12일까지 상설전시관 1층 대한제국실에서 열린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주요 독립운동 관련 자료와 함께 국사편찬위원회가 보존해 온 ‘일제 주요 감시 대상 인물 카드’의 실물이 처음으로 공개된다. 또한, 조국의 독립을 보지 못하고 순국한 안중근, 유관순, 이봉창, 윤봉길, 안창호 등 다섯 분의 독립운동가 얼굴을 인공지능(AI) 기술로 복원해 새로운 시대의 대한민국에서 환한 미소로 다시 마주할 수 있다. ‘일제 주요 감시 대상 인물 카드’ 실물 최초 전시 이번 전시에서는 ‘일제 주요 감시 대상 인물 카드’의 실물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된다. 이 카드는 일제가 독립운동가들의 신상 정보, 수감 상황, 수배 이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해 제작한 신상 정보 자료로, 체포 직후 촬영되었거나 수집된 사진이 부착되어 있다. 1980년대 초 치안본부(현 경찰청)에서 우연히 발견된 6,264매의 카드는 현재 국사편찬위원회가 보존·관리하고 있다. 유관순, 안창호,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용산 개관 20돌 기림 특별전 <새 나라 새 미술: 조선 전기 미술 대전> 연계 학술 행사를 7월 17일(목)과 7월 18일(금) 이틀에 걸쳐 연다. 연계 학술 행사는 특별전 출품작과 조선 전기 미술의 값어치를 한층 더 깊이 이해하고 싶은 이들 모두를 위해 마련한 것이다. 나라 안팎 으뜸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연구 성과와 다양한 시각은 조선 전기 미술을 한층 더 가깝게 느낄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동아시아 맥락에서 본 조선 전기 미술, 나라 밖 연구자 초청 강연 7월 17일(목) 낮 2시부터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나라 밖 연구자 초청 강연을 연다. 동아시아 회화와 불화를 연구해 온 이타쿠라 마사아키(板倉 聖哲) 도쿄대학 교수와 이데 세이노스케(井手 誠之輔) 규슈대학 명예 교수 두 학자의 강연이 준비되었다. 이타쿠라 교수는 동아시아 회화 연구의 권위자로, 일본에 전해지는 조선 회화 작품을 발굴하는 데 크게 이바지해왔다. 이번 강연에서는 ‘조선 전기 산수화 재고-몇 가지의 해후를 계기로’라는 주제로 특별전에 출품된 작품을 포함한 조선 전기 산수화를 심층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이데 교수는 중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18:00~21:00)에 ‘전시기획자(큐래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조용하고 쾌적한 전시 공간에서 전시기획자와의 해설과 함께 전시품을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시간으로 마련되었다. 이번 ‘전시기획자와의 대화’는 현재 박물관에서 진행 중인 세 개의 특별전뿐만 아니라 상설전시실에서도 다채로운 해설이 준비되어, 관람객들에게 폭넓은 전시 감상의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특별전 《새 나라, 새 미술: 조선 전기 미술 대전》은 조선의 시작과 함께 꽃핀 15~16세기 미술을 한자리에 모은 전시로, 백자와 수묵화, 불교미술의 다채로운 변주를 백(白), 묵(墨), 금(金)의 세 가지 색으로 상징화해 선보이며,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특별전시실 1에서 진행된다. 또한, 국내에서 처음으로 오세아니아의 문화를 조망하는 특별전 《마나 모아나-신성한 바다의 예술, 오세아니아》는 전통 예술품과 현대 작품을 통해 오세아니아 사람들의 삶과 문화, 예술 세계를 다채롭게 들여다볼 기회를 제공하며, 전시기획자의 해설은 7월 첫째 주와 셋째 주에 운영된다. 세계문화관 306호에서 열리는 특별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2025년 상반기 관람객 수가 전년 동기 대비 64% 늘어난 270만 명을 기록했다. 이는 용산 이전 개관 이후 20년 만에 최고치다. 같은 기간 박물관 문화상품 ‘뮷즈’ 매출액도 약 34% 늘어나 역대 최대치인 115억 원에 달했다. 이 같은 증가세는 글로벌 한류 콘텐츠의 인기가 전통문화로 확장된 데 따른 결과다. 2024년 전 세계 박물관 관람객 순위 8위인 국립중앙박물관은 외국인 관람객의 꾸준한 증가 속에서 K-컬쳐의 중심지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방탄소년단 RM이 특별전 <새 나라 새 미술: 조선 전기 미술 대전>을 관람한 뒤 이암의 <화하구자도>를 인스타그램에 게시하면서 나라 밖 팬들의 방문도 늘어났다. 넷플릭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엠넷 ‘월드 오브 스트리트 우먼 파이터 ’한국팀‘범접’의 공연에 등장한 작호도(호랑이, 까치가 함께 그려진 전통 민화), 갓 등 한국 전통문화 요소가 주목받으며 박물관 문화상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까치 호랑이 배지’, ‘흑립 갓끈 볼펜’ 등은 입고 즉시 품절되고 있으며 ‘뮷즈’ 온라인숍 일 평균 방문자 수는 26만여 명에 달하고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보존과학 전문 학술지인 《박물관 보존과학》 제33집을 펴냈다. 이번 학술지에는‘미국 클리블랜드 박물관 소장 호렵도 병풍의 보존처리와 조사분석’, ‘광주 조선백자 요지 출토 폐자기의 보존처리’, ‘테라헤프츠 파의 특성을 이용한 내부 구조 진단 연구’ 등 모두 8편의 논문을 수록하였다. ‘미국 클리블랜드 박물관 소장 호렵도 병풍의 보존처리와 조사분석’은 국립중앙박물관이 외국박물관 한국실 지원사업의 하나로 클리블랜드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시대 <호렵도(虎獵圖) 8폭 병풍>을 2023년부터 약 2년 동안 보존처리 하며 규명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보존처리 과정에서 확인된 병풍의 원래 규격과 원 장황 직물의 문양 등을 바탕으로 19세기 우리나라 전통 병풍 형식을 복원하였다. 아울러 구조적인 손상과 수해, 충해 등으로 인한 병풍의 물리적인 손상을 정밀하게 복구하였으며 적외선 촬영, 섬유식별, XRF 분석 등을 통해 제작기법과 안료 성분도 밝혔다. ‘광주 조선백자 요지 출토 폐자기의 보존처리’는 경기도 광주 조선백자 요지에서 폐기된 도자기 편들을 모아 회청사기표형병, 황명백자발, 백자철화운룡문연적으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특별전 <마나 모아나-신성한 바다의 예술, 오세아니아>(이하 마나 모아나) 연계 학술행사로서 특별강연 “남태평양 원주민과 오세아니아 이야기”를 7월 2일(수) 낮 2시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열린다. 특별전 <마나 모아나>는 우리 문화와 타 문화의 공존과 통합이라는 값어치를 공유하며 문화 향유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이번 강연은 오세아니아 문화를 심층적으로 조명함으로써 타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나아가 대한민국 문화의 위상을 드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강연자 이태주 교수(한성대학교 소양ㆍ핵심교양학부)는 국내 최고의 오세아니아 지역전문가로서 오랜 기간 현지 조사를 수행하며 피지 사회를 연구했으며,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한국국제협력단(KOICA) 등에서 활동하며 국제개발협력과 공적개발원조(ODA)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 저서로는 <문명과 야만을 넘어서 문화읽기>,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공저) 등이 있다. 이태주 교수는 이번 전시 준비 단계에도 자문위원으로 참여하여 전시 내용 구성에 큰 도움을 준 바 있다. 이번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한일 국교 정상화 60돌을 맞이하여 특별전 《일본미술, 네 가지 시선》을 6월 17일(화)부터 8월 10일(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306호에서 연다. 일본 도쿄국립박물관과 공동으로 여는 이번 전시는 두 기관의 소장품 62건을 중심으로 일본미술의 외적 아름다움과 내면의 정서를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한일 국립박물관이 고른 일본미술 명품 전시 일본을 대표하는 미술품을 소장하고 있는 도쿄국립박물관은 일본 중요문화재 7건을 포함해 40건을 출품한다. 이 가운데 38건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선보인다. <가을풀무늬 고소데(소맷부리가 짧은 기모노)>(일본 중요문화재)[도6]는 일본 장식 화풍의 대가로 알려진 에도 시대의 화가 오가타 고린(尾形光琳, 1658~1716)이 직접 가을풀무늬를 그려 넣은 옷으로, 도쿄국립박물관의 대표 전시품이다. 이밖에 다도 도구인 <‘시바노이오리’라 불린 물항아리>(일본 중요문화재)[도4], 일본의 전통 시가인 와카(和歌)를 지을 때 사용했던 <마키에 다듬이질무늬 벼루 상자>(일본 중요문화재)[도7], 전통 무대 예술인 노(能) 공연에 사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용산 개관 20돌을 맞이하여 특별전 <새 나라 새 미술: 조선 전기 미술 대전>을 연다. 이번 전시는 조선이라는 새로운 나라의 시작과 함께 꽃핀 15~16세기 미술의 정수를 한 자리에 모은 대규모 기획이다. 도자, 서화, 불교미술 등 당시 미술을 대표하는 691건의 작품이 출품되며, 이 가운데는 국보 16건, 보물 63건을 포함한 다수의 국가지정문화유산이 포함된다. 국내에 처음으로 공개되는 작품도 23건에 달한다. 새로운 나라의 미술과 만나다 조선 건국 이후 200여 년 동안을 가리키는 조선 전기는 오늘날 우리 문화의 중요한 바탕이 형성된 때다. 유교를 통치 이념을 내세우면서 보편화된 유교적 가치관과 생활 규범은 오늘날 우리 삶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시기에 만들어진 훈민정음은 현재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소통 체계이자 시각 매체로 자리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 문화 형성에서 중요한 시기에 미술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그동안 조선 후기 미술과 견주면 조선 전기 미술의 면모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조선 후기에 견줘 현존 작품 수가 적으며, 주요 작품 가운데 다수가 나라 밖에 있어 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