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아인슈타인은 이야기합니다. "어제와 똑같이 살면서 다른 미래를 기대하는 것은 정신병 초기 증세이다." 아인슈타인의 말은 마치 나를 향해 던진 화살처럼 느껴집니다. 아침마다 똑같은 루틴을 반복하며 살아가는 나에게, ‘과연 다른 미래를 꿈꿀 자격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 것이지요. 어쩌면 우린 어제와 조금씩 다른 오늘을 살고 있다고 착각하는지도 모릅니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우리의 하루는 대부분 똑같은 유형으로 반복되고 있지요. 출근, 근무, 퇴근 뒤의 피로감까지도 어제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내일은 더 나은 날이 될 것이라고 막연하게 기대합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의 말처럼, 어제와 똑같은 삶을 살면서 다른 미래를 기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만약 우리가 진정으로 다른 미래를 원한다면, 먼저 우리의 현재를 바꿔야 하지요. 작은 습관 하나를 바꾸는 것부터 시작해, 조금씩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익숙한 것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지만 작은 변화들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날마다 아침 더 일찍 일어나 책을 읽거나, 새로운 운동을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강원도에는 접경지역이 많습니다. 화천이나 철원의 북한이 바라다보이는 전망대에 서면 갈 수 없는 땅이 눈 앞에 펼쳐집니다. 애처로운 70년이 앞에 있는 것이지요. 그런데 보잘것없는 크기인 새는 국경을 자유로이 날아다닙니다. 그 새들이 참으로 부럽기도 하지요. 푸른 하늘을 나는 새들을 보면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넓은 세상을 마음껏 누비며, 아무런 걱정 없이 하늘을 나는 모습은 인간에게 영원한 꿈이죠. 그런데 새들이 날아갈 때 흥미로운 사실이 있습니다. 바로 뒤를 돌아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새들은 항상 앞만 보고 날아갑니다. 과거에 머물러 있거나, 지나간 일을 후회하는 듯한 모습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이는 우리에게 중요한 삶의 교훈을 남깁니다. 과거에 얽매이지 않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는 뜻이죠. 인간은 누구나 과거의 경험이 있습니다. 그중에는 기쁜 추억도 있겠지만, 슬프거나 아픈 기억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과거에 사로잡혀 계속 뒤돌아본다면, 앞으로 나아갈 수 없습니다. 새처럼 과거는 뒤로 하고, 미래를 향해 날아가야 합니다. 물론 과거를 완전히 잊으면 안 되겠지요. 과거의 경험은 우리에게 소중한 교훈을 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