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정 박성춘의 고매한 삶
[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지난번 우리는 1898년 어느날 백정 박성춘(1862-?)이 종로에서 열린 대규모 민중 대회에서 개막연설을 하는 현장을 지켜보았다. 박성춘은 당시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요인 가운데 한 명이었다.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했을까? 우선 당시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에는 박성춘 말고도 상인 등의 하층계급이 요인으로 활동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백정 출신(해방된 백정)으로서는 박성춘이 거의 유일한 요인이었던 것 같다. 당시 활동을 주도한 인사들의 면면을 보면, 서재필ㆍ윤치호ㆍ이상재ㆍ지석영ㆍ주시경ㆍ오세창ㆍ이승만ㆍ안창호ㆍ이승훈ㆍ남궁억ㆍ정교ㆍ이준ㆍ장지연ㆍ박은식ㆍ이동녕ㆍ신채호ㆍ한규설ㆍ이동휘 등이다. 당시 제도적으로는 신분제도가 철폐되었지만, 실제에 있어선 백정이 교육받거나 사회활동을 할 수 없었다. 그렇다면 박성춘은 어떻게 쟁쟁한 명사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인물이 될 수 있었을까? 아들 박서양의 효성이 촉매가 되었다. 교육을 받지 못한 박성춘은 아들에게만큼은 저주스러운 운명을 물려주고 싶지 않았다. 하지만 조선 천지 어떤 학교가 백정의 자식을 받아 줄 것인가? 번민에 번민을 거듭한다. 정규 학교는 보낼 수 없으므로 당시 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