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조시원(趙時元, 1904. 10. 23 ~ 1982. 7. 18)은 1904년 10월 23일 경기도 양주군 남면 황방리에서 아버지 이화제(理化齊) 조정규(趙禎奎)와 어머니 박필양(朴必陽) 사이에서 7남매 중 6남으로 출생하였다.
아버지 조정규 선생은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 조성룡(趙性龍)의 외아들로 학덕을 겸비한 신망이 높은 유생이었다. 일제강점기에 그 슬하에 장남 용하(鏞夏, 1977 독립장), 차남 소앙(1989 대한민국장), 3남 용주(鏞周, 1991 애국장), 4남 용한(鏞漢, 1990 애국장), 딸 용제(鏞濟, 1990 애족장), 5남 용진(鏞晋), 6남 시원(1963 독립장) 등 6남 1녀 중 6명을 비롯하여 손자 시제(時濟, 1990 애국장, 소앙의 2남), 인제(仁濟, 1963 독립장, 소앙의 3남), 손녀 순옥(順玉, 1990 애국장, 선생의 장녀, 안춘생 전 독립기념관장의 부인), 자부 이순승(李順承, 1990 애족장, 선생의 부인) 등 4명을 합하여 일가족 10명을 독립운동가로 육성하고 독립운동에 투신하게 하였다. 이들은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을 받은 독립유공자 집안이다.
![]() |
||
▲ 독립운동가 조시원 선생 |
조시원 선생은 1928년 상해에서 한인청년동맹 상해지부 집행위원회 정치·문화부 및 선전조직부 간부로 활동하였으며, 1930년에는 한국광복진선(韓國光復陣線)을 결성하였다.
1935년에는 조소앙·홍 진 등과 함께 월간잡지 『진광(震光)』을 발행하여 항일의식을 높였다. 1939년 10월 3일에는 임시의정원 경기도 의원에 선출되어 광복시까지 의정활동에 참여하여 항일활동에 전념하였다. 1940년 5월에는 3당 통합 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한국독립당을 창당하여 그 중앙집행위원에 선임되었다.
1940년 9월 17일에 한국광복군이 창설됨에 따라 광복군 총사령부 부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총사령부가 중경(重慶)에서 서안(西安)으로 옮겨짐에 따라 서안으로 가서 부관처장 대리로 복무하였다. 또한 임시정부 선전위원회의 위원을 겸직하기도 하였다.
![]() |
||
1941년에는 전시하에 급격히 소요되는 간부의 대량 양성을 위하여 일정한 기간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군사교육기관인 중국 중앙전시간부훈련 제4단 특과총대학원대 한청반(中央戰時幹部訓練 第四團 特科總大學員隊韓靑班)에서 안일청(安一淸)·한유한(韓悠韓)·송호성(宋虎聲) 등과 함께 군사 교관으로서 전술, 역사, 정신교육을 담당하며 민족정신 앙양에 진력하였다. 1943년에는 광복군 총사령부 군법 실장(軍法室長)에 피임되어 항일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광복군 정령(正領)으로 복무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주요 공적>
○ 1927 상해 한인청년동맹 결성
○ 1938 임시의정원 의원 선임
○ 1940 한국독립당, 한국광복군 창설 참여
○ 1942 광복군 법무처장, 정훈처장으로 활약
<자료:국가보훈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