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양인선 기자] 누군가 사월은 잔인하다 했고 또 흔한 말로 봄이 왔어도 봄이 온 게 아니라는 뜻의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란 말도 자주 듣게 되는 봄이다. 춘래불사춘이란 말은 왕소군(王昭君)을 두고 지은 시 가운데 나오는 글귀다. 왕소군은 중국의 전한(前漢) 원제(元帝) 때 절세미인 궁녀였는데 흉노와의 화친정책에 의해 흉노왕에게 시집을 가게 된 불운한 여자였다.
![]() |
||
모두 밭으로 나와 차분히 자신들의 일을 찾는 일손들 |
그 여자를 두고 지은 동방규의 시에, 이 땅에 꽃과 풀이 없으니 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는 뜻에서 호지무화초(胡地無花草)를 시작으로 춘하추동을 나타내는 "춘사불래춘(春來不似春), 추래불사추(秋來不似秋), 동래불사동(冬來不似冬)"이라는 말이 나왔다.
4월은 세월호 참사 2주기가 있었고 또 20대 국회의원 선거 등도 있어 다른 어느 해보다 분주한 느낌이 들었지만 농촌 들녘은 언제나 평온하게 계절의 순리대로 모든 것이 제자리에서 차분히 제 몫을 하고 있다.
![]() |
||
벌써 보리는 어느새 성큼 아이들 키만큼 자랐다. |
겨우내 눈 속에서 추위를 이겨낸 보리밭의 보리는 어느새 성큼 아이들 키만큼 자랐다. 보리밭 옆에서는 고추모종, 완두콩, 강낭콩을 심고 지지대를 세우느라 여념이 없고 밭 가는 트랙터를 모는 농군의 손놀림도 바쁘다.
![]() |
||
밭갈이를 나서는 농기구의 활기찬 움직임 소리가 귓가에 들리는 듯하다. |
농촌 사람들은 때가 되면 조용히 논밭으로 나와 자신의 할 일을 묵묵히 한다. 말만 무성한 도시에서 살던 기자에게 농촌의 삶은 무언의 철학 교과서 같다. 때를 놓치지 않되, 더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씨앗을 뿌리고 거둘 가을의 풍요를 고요히 내면으로 반기는 모습이 아름답다.
![]() |
||
출하를 기다리는 잔디의 포장 모습 |
![]() |
||
![]() |
||
![]() |
||
![]() |
||
![]() |
||
무성한 한여름의 나무보다 파릇한 새싹이 더 어여쁜 4월의 나무와 꽃망울 같은 농촌 들녘이 마음에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