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항일독립운동

두만강 건너 국내 진공작전을 벌인 독립군 '문창학'

국가보훈처,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문창학 선생 선정

[우리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승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만주에서 일제 군경과 밀정을 처단하기 위해 맹렬히 활동한 대한군정서 소속 독립군 문창학 선생(1882-1923.12.20.,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2016년 5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선생은 함경북도 온성 출신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교통총장을 지낸 문창범 선생의 사촌동생이다. 선생은 1919년 3.1운동에 참가한 뒤, 간도로 망명하여 대한군정서 독립군으로 활동하였다. 1922년 1월 2일 대한군정서 대원들과 함께 웅기항의 일제 기관을 공격하고자 하였으나 일제 군경의 경계가 심하여 함경북도 경원군 소재 신건원주재소로 공격목표를 바꾸었다.

 

   
 

중국 화룡현을 떠난 대원들은 두만강을 건너 1월 5일 새벽에 신건원주재소에 도착하였다. 주재소를 급습하여 일제 순사를 사살하고 폭탄을 투척하여 일경 숙소를 파괴하였으며, 일제 군경과 교전 후 복귀하였다.

이후 만주 훈춘 등지에서 일제 군경 공격과 밀정처단 등의 활동을 계속하다 1922년 12월 13명의 독립군과 함께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청진으로 압송되었다. 선생은 1923년 5월 함흥지방법원 청진지청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1923년 12월 20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사형 순국하였다.

정부는 일제 기관 파괴와 밀정처단 활동을 벌이다 순국한 문창학 선생의 공적을 기려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신건원주재소 습격 범인은 결국 사형으로 결정"이라는 매일신보 1923.11.15. 기사

 

한편, 문창학 선생은 예전 우리 겨레의 애창곡이엇던 "눈물 젖은 두만강"이란 노래의 주인공이다. "눈물 젖은 두만강"은 김용호 작사, 이시우 작곡, 김정구 노래로 1938년 발표된 대중가요다. 이 노래의 작곡가인 이시우가 중국 도문(圖們)의 한 여관에 머물 때 우연히 한 여인의 애절한 통곡 소리를 들은 것이 계기가 되었다.

그 소리는 문창학의 아내가 억울한 죽음을 당한 남편에게 생일 날 술 한잔을 올리다가 낸 울음소리였다. 울음소리를 들은 이시우는 말없이 흐르는 두만강의 푸른 물결이 나라를 잃고 헤매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피눈물처럼 보여 노래를 만들게 되었다고 전한다. 그날은 문창학의 생일이었다.

독립기념관은 5월 1일부터 31일까지 한 달간 야외 특별기획전시장에서 문창학의 공적을 기리는 전시회를 연다. 이 자리에서 일제강점기 두만강 등 관련 자료 9점을 선보일 예정이다.

 

   
▲ '"눈물 젖은 두만강"을 작곡한 이시우가 악보를 구상하고 있는 장면 그림. [국가보훈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