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먹거리

항바이러스 단백질, 유산균으로 닭 몸속까지 옮긴다

미니항체(3D8) 유산균 먹은 닭,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우리문화신문=성제훈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유산균(L. paracasei1)이 닭의 몸속으로 미니항체(3D8 scFv) 단백질2) 을 옮기는 운반체 기능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선행 연구에서 미니항체 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닭이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에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항바이러스 소재 물질로써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미니항체 단백질을 동물의 항바이러스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동물 몸속으로 소재 물질을 옮겨줄 운반체가 필요하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유산균을 미니항체 단백질의 운반체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미니항체 단백질 유전자를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유산균에 도입해 형질전환(3D8 scFv) 유산균을 만들었다. 이 형질전환(3D8 scFv) 유산균을 바이러스에 감염된 닭에게 먹여 미니항체 단백질을 닭의 몸속으로 운반했다.

 

 

그 결과, 형질전환(3D8 scFv) 유산균을 먹은 닭에서 바이러스 검출량이 줄어들었다. 이는 형질전환(3D8 scFv) 유산균이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9N2)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유산균이 효과적으로 미니항체 단백질을 닭의 체내로 운반할 수 있으며, 운반체로써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박응우 동물바이오공학과장은 “지금 형질전환 유산균을 직접 가축에 활용하기는 어렵지만, 이번 연구는 항바이러스 단백질 운반체로써 유산균의 활용 가능성을 학술적으로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라며 “재조합 미니항체 단백질을 직접 항바이러스 소재로 이용하는 연구도 추진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헝가리 수의학회지(Acta Veterinaria Hungarica)3) 2019년 12월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