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안승열의 명리학 다가가기

음기/양기와 음/양이 어떻게 다른가?

1편 입문. 2장 음양. 1절 기의 물리적 의미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일과 에너지

 

명리학은 기를 에너지로 이해하고 있다. 에너지란 무엇인가? 에너지는 화학적 개념에 가깝지만 그 뿌리는 물리학에 있다. 물리학은 고전, 근대, 현대로 이행되면서 많은 물리적 현상들을 좀 더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그들을 통합하는 원리를 발견하게 되는데 에너지와 일도 그런 과정을 거치게 된다. 우선 일의 개념부터 살펴보자.

 

서구에선 주로 말의 힘으로 일을 해왔다. 18세기 초 뉴튼은 (말이 하는) 일의 크기는 그(말의) 힘으로 이동한 거리의 단순 곱이라고 정의 하였다. 이를 수식화하면 일= 힘x 이동거리가 된다. (아직도 기계가 내는 힘의 단위로 마력(HP-horse power)을 쓴다.

 

에너지에 대해 알아보자. 예를 들어, 석탄을 태우면 열에너지가 발생하며 열로 물을 끓이면 수증기를 얻는다. 수증기의 활력이 피스톤을 움직이면 피스톤의 운동이 쇠바퀴를 돌려서 말보다 몇 백배 강력한 철마가 달리는 일을 하게 한다.

 

이 과정을 과학적으로 풀어 쓰면 1) 석탄을 태우면 석탄에 내재되어 있던 화학적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바뀌며 2) 열 에너지는 수증기 즉 물 분자를 격렬하게 움직이는 일을 하고 3) 그 움직임은 피스톤이 움직이는 일로 4) 그리고 쇠바퀴를 움직이는 일로 변형된다.

 

이 같은 성찰로 19세기 초 프랑스의 카르노가 에너지와 일이 같은 물리량임을 밝혀낸다. 이어서 19세기 중반 영국인 줄(Jule)은 아래와 같은 고속 믹서가 4.185 Jule 이라는 일을 하면 1cal의 열 에너지가 발생함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여 에너지와 일이 동일한 물리량임을 증명하였다. 현대물리학은 전자의 이동이 전기에너지를 만들고 열에너지는 분자나 원자의 분주한 움직임을 만든다는 사실을 여러 이론과 전자현미경 등의 도구에 의해 밝혀낸다. 그래서 원자 전자 빛 등이 만드는 에너지의 단위도 일의 단위인 jule을 쓴다.

 

간단히 정리해 보면, 고전물리학은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큰 물체가 만드는 것은 일이라고 불렀고 아주 작아서 그 움직임을 확인하기 어려웠던 작은 물체가 만드는 일은 에너지라고 불렀던 것이다. 물이 떨어지며 하는 일로 전기 에너지가 만들어지며 이렇게 만들어진 전기 에너지로 모터를 돌리고 그 일로 물을 다시 높은 곳으로 끌어 올려서 다시 전기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이는 전기에너지와 일이 같은 물리량임을 단적으로 입증한다.

 

▲믹서의 프로펠라가 회전하는 기계적인 일이 열을 발생하여 물의 온도가 얼마나 오르는지 측정하는 장치(왼쪽, 출처 위키백과)과 양자강의 삼협 댐(오른쪽).

 

기와 음양의 참 모습

 

위의 증명을 수식으로 종합하면, 기= 에너지= 일= 힘x이동거리, 즉 기= 힘x이동거리=에너지가 된다. 이 수식은 자연계의 기가 힘의 순환(이동)으로 발생하는 에너지라는 것과 기의 근원이 힘임을 말해준다. 이는 음기, 양기의 명리적 근원인 음, 양이 힘임을 시사한다.

 

기존의 명리서는 음양을 과정 또는 운동과정으로 정의하는데 애매한 표현이다. 자연계의 현상인 음양은 물리적으로 확실히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음기 양기를 이런 과정이 만드는 운동 에너지라고도 하는데 여러 종류의 에너지를 포괄하는 기를 운동에너지로 국한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음양은 힘이고 음기 양기를 에너지라 할 때 그들의 정의 그리고 관계까지 물리적으로도 명확해진다.

 

만약, 이 정의에 무리한 점이 있다면 가설로 여겨도 좋다. 그러나 음양을 힘으로 정의하는 것이 명리학의 제반 원칙이나 주제들을 기존의 정의보다 더 잘 설명한다면 이 가설을 정설여겨야 된다. 현대 과학은 가설을 세우고 이를 귀납(개개의 특수한 사실이나 원리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명제나 법칙을 유도해 내는 것)적으로 증명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으니 음양의 정의도 그렇게 해 보자는 것이다.

 

※ 다음 연재는 ‘2절 음기 양기의 명리적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