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한국양금협회(회장 윤은화)가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6회 국제양금음악제’에서 한국 전통악기 양금의 예술적 값어치와 독창성을 국제 사회에 알리는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이번 행사와 연계된 ‘2025 베이징 세계양금대회’에서는 한국 대표단이 최고상을 비롯한 다수의 상을 받으며 양금의 세계적 위상을 입증했다.
지구촌 무대에서 빛난 한국 양금의 진가

지난 8월 1일부터 5일까지 베이징 창핑구 양금가족민족악기박물관에서 열린 이번 음악제는 아시아 국가들이 참여한 대규모 축제로 치러졌다. 한국 대표단은 개막식과 폐막식 공연을 비롯해 단독 콘서트, 국제 콩쿠르, 학술회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주도하며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양금의 매력을 선보였다.
특히 박물관 개관 기념으로 진행된 협회장들의 ‘민요 즉흥연주 협업 무대’에서는 윤은화 회장이 한국의 전통민요인 아리랑을 연주하여 관객들의 큰 손뼉을 받으며 문화적 교류를 이끌었다. 그뿐만 아니라 한국양금협회와 청로국악기가 공동 연구로 제작한 전통양금이 세계 최초의 양금박물관에 기증되었다. 박물관 내 특별 전시 공간에는 한국의 전통양금과 현대적 개량버전이 나란히 전시되어 전통음악의 계승과 발전을 동시에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가 되었다.

세계양금대회서 한국, 금상ㆍ은상은 물론 최고상까지 석권
2025년 8월 2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세계양금대회에서는 한국 대표단이 청소년부부터 전공부까지 모두 7개 부문에 출전하여 금상, 은상은 물론 최고상까지 휩쓰는 쾌거를 이뤘다.

개인 부문에서는 신자빈(해외 전공 성인 1조 부문), 임은별(해외 전공 성인 2조 부문)이 각 부문 최고상에 해당하는 ‘최고상’을 수상하며 국제무대에서의 실력을 입증했다. 또한 단체 부문에서는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비전공 청소년 부문)가 최고상을 받았으며, 이 밖에도 한국 대표단은 금상과 은상을 다수 받으며 대회의 중심에 섰다. 특히 주목할 점은, 한국양금협회 소속의 임은별 양이 2년 연속 최고상 수상이라는 전무후무한 성과를 이룬 점이다.
더불어, 한국양금협회 윤은화 회장은 본 대회에서 ‘최고지도자상’을 받으며, 탁월한 예술적 지도력을 다시 한번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윤 회장은 수상 소감에서 “양금은 현대음악과의 융합을 통해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악기입니다. 이번 수상은 한국 양금의 독보적인 예술성과 창의성을 세계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밝히며, 세계무대에서 한국 양금의 도약을 예고했다.
학술회 개최로 양금의 정체성과 미래 비전 공유
8월 5일 열린 ‘아시아 양금 학술회’에서는 윤은화 회장이 「한국 양금 연주 기법의 역사적 변천」을 주제로 발표하며 한국 양금의 예술적 방향성을 국제 사회에 공유했다. 이번 학술회는 전통 국악의 계승과 혁신을 모색하는 논의의 장으로, 아시아 각국의 양금 연주 기법과 문화적 특성을 비교 연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전통과 현대의 조화, 세계로 뻗어가는 양금”
이번 제6회 국제양금음악제는 한국 양금이 전통의 뿌리를 지키면서도 현대적 실험을 통해 세계화하는 과정을 증명한 무대였다. 한국양금협회는 앞으로 ‘전주세계소리축제’(8월 17일 일요일 저녁 5시,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명인홀)와 ‘2025 아시아양금축제’(8월 19일 화요일 저녁 7시, 서울남산국악당)를 통해 나라 안팎 관객과 소통하며 국제 문화 교류의 새 지평을 열어갈 계획이다.
윤은화 회장은 “양금은 단순한 전통 악기가 아닌, 시대와 호흡하는 살아있는 예술”이라며 “앞으로도 한국 양금의 다층적 가능성을 세계에 전파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 문의: 한국양금협회 사무국 (전화: 010-9315-2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