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r> 상고시대 한국치마의 기본은 고구려벽화(4~6세기)에서 알 수 있지요. 치마는 삼국시대까지 여자들이 입었으나, 신라 때 당나라의 복식(服飾)이 전해지면서 남자들도 입게 되었고, 조선시대에는 관리들이 예복에 덧두르는 옷으로 입기도 했습니다.
치마 종류를 보면 홑치마, 겹치마, 누비치마가 있으며, 모양에 따라 뒤를 여미고 입는 풀치마와 뒤가 막힌 통치마가 있지요. 그밖에 일 할 때 입는 앞치마가 있으며, 겉치마 밑에 받쳐입는 속치마가 있습니다. 또 예전 궁중 예복용인 스란치마와 대란치마, 속치마처럼 속에 받쳐입는 무기치마가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