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1817. 토종 앉은뱅이밀, 미국에서 녹색혁명을 일으킨 소노라가 되어

1817. 토종 앉은뱅이밀, 미국에서 녹색혁명을 일으킨 소노라가 되어

지금 우리가 먹는 밀가루는 대부분 서양에서 수입된 것들입니다. 토종 우리밀이라고 해봤자 우리 국민의 소비량 1%가 될까 말까 한 정도입니다. 1970년대만 해도 농촌에 가면 보리와 함께 밀이 자라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었지만 미국산 잉여농산물이 물밀듯 들어오면서 우리밀은 자취를 감추게 된 것이지요. 그러던 것이 1989년 농민 12명이 종자 1가마로 시작한 우리밀 운동이 결실을 보면서 조금씩 생산량이 늘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런데 원래 우리 토종밀은 키가 50~80센티미터로 앉은뱅이밀이라고 하지요. 1933년에 펴낸 <조선 주요 작물의 품종명>이란 책에는 이 앉은뱅이밀이 지방에 따라 밀양·자소맥·난쟁이밀 등 10여 가지나 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 앉은뱅이밀은 키가 작고 줄기가 굵어 바람에 잘 쓰러지지 않는 장점이 있었다고 합니다. 또 서양밀에 견주어 고소한 것이 일품이라고 하지요.

이 앉은뱅이밀을 1905년 즈음 일본인들이 가져가 달마라는 이름으로 개량하고 1936년에는 농림 10호를 탄생시켰습니다. 이를 미국의 생물학자인 사몬 박사가 1945년 미국으로 가져가 녹색혁명의 바람을 일으킨 <소노라>를 만들어낸 것입니다. 현재 미국에서 재배하고 있는 밀의 90%가 이 앉은뱅이밀의 핏줄을 이어받은 것이라니 이제라도 우리 것의 소중함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참고 : ≪돓씨약초 이야기≫, 허정윤·반재원, 인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