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53. 국악과 서양음악, 서로 다른 것이 각자의 특징이다

 



 

 

53. 국악과 서양음악, 서로 다른 것이 각자의 특징이다

 

 

<국악>이란 용어를 글자의 뜻 그대로 새기면 “대한민국 음악”이다. 이를 줄여 부르는 이름이 곧 “한국음악”이다. 우리말을 <국어>, 또는 <한국사>라고 부르고 대한민국의 역사를 <국사>, 또는 <한국사>로 부르는 것처럼 <국악>이란 용어나 <한국음악>이란 말은 우리나라의 음악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국악>이란 용어가 현재 우리나라에서 쓰이고 있는 모든 한국의 음악이란 포괄적인 개념을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일부 제한적인 의미로 쓰이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국의 음악 속에는 100여 년 전부터 이 땅에 유입된 서양 음악의 영향을 받고 서양음악의 음계나 리듬, 하모니 등 서양어법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음악들이 <음악>이란 이름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국악>이란 용어는 한국 음악 가운데서도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전래해 오고 있는 전통적인 음악, 또는 이 전통음악을 바탕으로 해서 새로 창작된 음악 등을 지칭하는 일부 제한된 의미가 진한 것이다. 음악계의 최대행사로 알려진 <대한민국음악제>가 있고 <대한민국국악제>가 별도로 열리고 있는 점으로도 충분히 이해가 되리라 믿는다.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전해오는 음악이나 이를 바탕으로 창작된 음악, 곧 전통음악 속에는 한국인의 사상이나 감정이 가장 한국적인 표현 방법으로 녹아들어 있기 때문에 한국인들이 받아들이기에 가장 편안한 것이다. 곧 한국인의 사상, 감정, 철학, 생활풍속 등이 전통음악을 이루고 있는 여러 음악적 요소 안에 그대로 녹아있다는 말이다. 여러 음악적 요소란 형식, 선율, 장단, 시김새, 창법, 음색, 강약 등 음악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필요한 조건들이다.

가령. 전통음악은 대부분 느리게 시작하여 점차 빨라지는 형태의 음악이 많다. 이러한 틀의 구조에서부터 굴곡을 만들어 가다가 점점 낮은 음으로 낮아져 끝나는 선율의 흐름이라든가, 또는 3분박이 중심을 이루는 장단의 형태 등을 말한다. 또 있다. 전통음악의 특징을 여실히 나타내고 있는 농현(弄絃)을 비롯한 다양한 시김새가 그것이다. 노래 부르는 스타일의 창법(唱法)이나 음색, 강약의 변화도 매우 중요한 음악적 요소인 것이다.

한국인의 사상이나 감정이 이러한 여러가지 형태의 방법으로 표출되고 있기에 한국인들에게 있어서 국악은 가장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음악인 것이다. 이 다양한 표출방법들이 바로 국악의 특징이다.

그런데 국악을 처음 대하는 사람들은 매우 낯설어한다. 많은 애호가도 국악의 특징들을 있는 그대로 감상하고 이해하기에 앞서 국악이 서양음악과 다르게 표현되는 점에 의아심을 갖고 있는 것이다.

국악은 빠르지 않고 느리게 진행한다는 빠르기에서 친근감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음과 음의 연결이 곧게 이어지지 않고 흘리거나 밀어올리고, 혹은 강하고 약하게 떨어주면서 연결해 나가는 음의 운동이라든가, 1박자를 3분박하거나 2분박으로 구분하고 또는 2분박과 3분박이 혼합되는 리듬형 위에 강약을 변화시키는 표현 등이 생소하다는 것이다.

어려서부터 생활 속에서 또는 학교교육에서 자연스럽게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니면 감상자가 먼저 경험했던 서양음악을 기준 잣대로 삼고 그 기준으로 전통음악을 감상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당연히 많은 다른 점을 발견하게 될 것이 분명하다.

이유는 간단하다. 한국의 전통음악과 서양 음악은 생성과정부터 발전단계가 서로 다른 음악이기 때문이다. 각자의 다른 점들이 곧 서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고, 그 특징들이 바로 독특한 미적(美的) 가치를 느끼게 하는 개성임을 긍정적으로 깨달아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동양사람과 서양사람, 구체적으로 미국인과 한국인을 견주는 문제가 있다면 서로 다른 점이 무엇인가 하는 점을 찾아야 비교가 가능할 것이다.

팔과 다리를 비교하여 또는 눈과 귀의 수를 비교하여 각각 둘이라는 비교를 했다거나 또는 코와 입을 비교하여 각각 하나씩 지니고 있다는 대답을 얻어내기 위한 비교를 했다면 이 비교는 양자(兩者)를 특징지을 수 있는 비교가 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점, 예를 들면 백색이나 흑색의 피부색이냐 아니면 황색 피부를 가지고 있느냐 하는 비교를 한다든지, 또는 눈동자의 색깔이 검은색이냐 아니면 노랗거나 파란 색이냐 하는 비교를 해야 한다. 피부색이나 눈동자의 색깔을 비교하는 일 외에 언어나 문자의 비교로도 동서양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고, 생활습관 속에서도 다른 많은 점을 찾아 비교를 할 때에, 동양인과 서양인, 한국인과 미국인은 그 특징들이 분명하게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서로 다른 점이 각자의 특징이 된다는 말, 서로 다르므로 각자가 특징을 지니게 된다는 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서로 다른 점이 각자의 특징이 된다는 말을 분명하게 이해하게 된다면 흰색 피부를 가진 서양인이 황색 피부를 가진 동양인 앞에서 우월감을 갖는 행위가 얼마나 우스운 일인가를 알게 될 것이고, 반대로 검은 눈동자의 한국인이 파란 눈동자의 서양인을 보고 놀려대는 일도 얼마나 교양 없고 천박한 짓인가를 알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