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춘곡 임치정(林蚩正, 1880. 9. 26 ~ 1932. 1. 9 )선생은 1880년 평안남도 용강군 산남면 홍문동에서 태어났다. 스무 살이 되던 1900년까지 약 7~8년간 한문을 수학한 선생은 1903년 하와이 노동이민에 자원하여 아내를 고국에 남겨둔 채 단신으로 도미하였다.
하와이 호놀룰루에 도착한 선생은 사탕농장에 배속되어 노동자로서 미주생활을 시작하였다. 1903년 8월 7일 선생은 홍승하, 윤병구, 안정수, 이교담, 박윤섭, 문홍석, 임형주, 김정국 등 주로 기독교 감리교 출신 인사와 유학생들과 함께 구국정신 고취와 항일운동을 목적으로 미주 최초의 정치운동단체인 신민회를 창립하였다.
신민회 창립 후 선생 등은 동족단결, 민지계발(民智啓發), 국정쇄신을 강령으로 설정하고 홍승하를 회장으로 선임하는 한편, 같은 해 12월 2일에는 하와이 카우아이(kauai)와 카파(kapaa) 지방에 지회를 설립하기도 하였다.
1907년 8월 27일 이강이 국내로 파견된 것을 기점으로 이재명, 오대영이 파견되었고, 10월 24일에는 이재명의 매국적 처단 협조와 국내와의 통신연락을 위해 선생이 국내로 파견되었다. 선생은 1907년 겨울 국내로 들어와 [대한매일신보]사 회계부에 입사, 부총무 겸 회계주임으로 근무하게 되었다.
선생이 [대한매일신보]사에 근무하게 된 것은 첫째, 양기탁과 친분을 쌓은 뒤 신민회 조직결성을 종용하기 위한 것과 신민회 결성 후의 활동지원, 둘째, 각종 정보수집에 유리한 [대한매일신보]사를 거점으로 공립협회와의 연락을 취하기 위한 것, 셋째, 1906년 이후 고종으로부터의 정기적인 자금지원이 고종퇴위로 말미암아 중단되자, [대한매일신보]사의 재정지원을 위해 회계부에 입사한 것으로 보인다.
1908년 이후 의병전쟁이 점차 쇠퇴하자, 현실적인 힘의 열세를 직감한 공립협회는 전면적인 독립전쟁론에서 독립군기지 개척으로 방략을 전화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신민회 활동에 주력하던 선생은 안창호, 이교담, 김성무 및 신민회원들과 접촉하면서 독립군기지 모색을 위한 논의를 거듭하였다. 동시에 1909년 여름부터는 안창호, 이승훈, 안태국 등과 더불어 이재명의 매국적 처단을 적극 후원, 계획하였다.
그러던 중 10월 26일 안중근의 이토 처단 의거가 발생하였고, 동년 11월 동아찬영회와 대한상무조합 등에서 이토추모회 및 송덕비 건립문제를 제기하자, 선생은 양기탁과 함께 이를 맹렬히 비난하는 한편, 미국 공립협회 시절부터 익히 알고 있던 이재명 등 권장회 회원들과 함께 이완용 등 매국적 처단에 필요한 거사를 준비하였다. 1909년 12월 23일, 이재명 등 권장회 회원들은 벨기에 황제의 추도식에 참석하고 명동 천주교당에서 나오는 이완용을 처단하려다 미수에 그치고 말았다. 이 사건으로 이재명은 사형에 처해졌으나, 선생은 이교담, 안태국, 송종원 등 신민회원 13명과 함께 불기소 되었다.
일제는 평안도 일대의 독립운동가와 신민회를 탄압하기 위하여 1910년 11월 압록강철교 준공식에 참석하는 데라우치 총독의 암살 모의 혐의를 조작하였고, 1911년 9월 소위 데라우치총독암살음모사건(일명 105인사건)을 일으켜 선생은 출감 하루 만에 다시 재수감되게 된다. 그뒤 대구복심법원으로 호송된 선생 등 6인은 동년 7월 15일 다시 징역 6년이 언도되자, 재차 불복하여 고등법원에 다시 상고하는 등 법정투쟁을 벌였으나 1913년 10월 9일 상고가 기각되어 형이 확정되었다. 그리하여 대구감옥에서 옥고를 치르던 중, 1915년 2월 일본 소헌황태후(昭憲皇太后) 대상(大喪)으로 4년여의 옥고 끝에 출감하였다.
출감 뒤 1919년 2월 중순 경 선생은 이승훈의 지시에 따라 대규모 독립운동을 계획하였다. 선생의 계획에 따라 노윤길 등은 평양의 이승훈과 접촉하면서 거사준비를 진행하였고,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를 기점으로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진남포에서 거행된 3.1운동은 3월 28일까지 지속적으로 전개되었으며, 수백 명의 피검, 투옥될 정도의 대규모적인 조직적 거사였다. 비록 시위 전면에 나서지는 않았지만, 진남포의 3.1운동은 신민회의 활동을 바탕으로 한 선생의 주도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1932년 1월 9일 오후 6시 그는 서대문 자택에서 뇌일혈로 별세하였다. 그의 사망소식이 전해지자, [동아일보]는 그를 광무, 융희 연간의 민중운동 거두로 칭송하며 죽음을 애도하였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자료: 국가보훈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