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구춘선(具春先, 1857~ 1944. 3. 20) 선생은 함북 온성에서 태어나 향리에서 한학을 공부하고 1886년 하급 군졸로서 온성군 영달진에서 근무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그는 뛰어난 학식과 인품, 출중한 체력으로 행영(行營)의 도시(都試)에 선발되어 서울의 궁궐을 수비하는 군인이 되었다.
그는 남대문 수문장 등 중앙군의 일원으로 봉직하다가 청일전쟁과 을미사변 후인 1895년 낙향하였다. 그리고 1897년 북간도로 이주하였다. 1903년 간도관리사 이범윤이 사포대를 조직하여 한인의 보호에 나서자 선생은 온성 대안 양수천자(凉水泉子)에 보호소와 병영을 설치하고 만주에 살고 있는 동포 보호에 진력하였다.
![]() |
||
▲ 구춘선 선생 |
1905년 이범윤이 노령으로 망명한 후 한인보호소를 운영할 수 없게 되자 선생은 용정촌으로 거점을 옮겼다. 1907년 캐나다 선교사 구예선(본명: r.grierson)을 만나 기독교에 입교하였다. 같은 해에는 용정시교회, 1913년에는 하마탕 교회 설립에 크게 기여하였다. 1913년 연길현 국자가(局子街)에서 김약연, 백옥보 등이 중심이 되어 한인 자치기구를 조직하자 이에 가담하여 부회장으로 활동하였다.
1919년 3월 1일 국내에서 3.1운동이 전개되자 같은 해 3월 13일 길림성 용정에서도 서울에서의 독립선언에 대한 축하식이 거행되었다. 연길현 국자가(局子街)에 본부를 두고 있던 조선독립의사회에서 주관한 이 만세운동은 30,000명 이상의 조선인이 참가한 가운데 성대히 이루어졌다.
이를 계기로 3월 13일 북간도 지역의 독립운동인사들이 대부분 참석한 가운데 독립운동을 보다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전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조선독립의사회는 조선독립기성총회로 개편되었다. 선생은 이 단체에서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3.1운동 직후 이익찬, 윤희준, 방달성 등과 함께 용정에서 대한독립신문을 간행하였다.
![]() |
||
1919년 4월 상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조직되자 조선독립기성총회는 그 명칭을 대한국민회로 개칭하였는데, 이때 그는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대한국민회는 노령지역과도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활동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대한국민회가 조직된 후 연계투쟁을 위하여 노령을 다녀왔고, 유예균과 함께 1919년 8월 23일 군정사후원회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11월에는 임시정부 군무부의 왕청현(汪淸縣) 교통부 책임자로 활동하였다.
1919년 12월 20일경에는 연길현 춘양향(春陽鄕) 하마탕에서 동지 약 20명과 비밀 집회를 갖고 간도에 국민회 지회 72개소를 설치하고 각 지회에 30명 이상의 간부를 두고 군자금을 대대적으로 모집할 계획을 세웠다. 1920년 2월에는 노령방면으로부터 군총을 입수하여 독립군의 무력을 강화하였다. 같은 해 10월 29일에는 간도에 있는 간북대한의민회, 대한신민단, 대한광복단, 대한국민회 등이 병합하여 임시정부의 지휘 감독을 받는 총판부를 결성하였을 때, 그는 연길, 화룡, 돈화, 액목 등을 담당하는 간북(間北) 남부총판부 총판으로서 부총판인 방우룡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1920년 12월에 밀산(密山)에서 대한독립군단을 조직할 때 참여하여 노령으로 이동하였다가 자유시사변을 겪은 후 다시 동만(東滿)으로 돌아왔다. 1921년 12월 돈화현 양수천자(凉水泉子)에서 총판부를 조직하여 사관학교의 설립과 국내에 진공하여 일경을 암살할 계획을 세우는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한편 같은 해 12월에는 자유시사변의 책임과 관련하여 대한국민의회 문창범과 함께 고려혁명군정의회를 성토하는 성토문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선생은 1926년 하마탕을 거쳐 왕청현 백초구(百草溝)로 돌아왔다. 그 후 그는 무장운동에서 종교운동, 교육운동으로 전환하였다. 1927년에는 국민회 동지들과 북간도 대한국민회 재건운동에 착수하였고, 1928년 11월에는 돈화현에 있는 마진에게 대한국민당 조직을 명하였다. 1934년에는 한국교회 희년(禧年)을 맞이하여 문재린 등과 함께 동만주 기독교 세력의 지하조직을 구축하는 등 활동을 계속하다가, 1944년 3월 20일 세상을 떠났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96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국가보훈처는 2007년 7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여 고인의 공훈을 기렸다.
<자료: 국가보훈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