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신문 = 이나미 기자]
![]() |
||
▲ 고려 말기 및 조선시대 언론 활동, 풍속 교정, 백관에 대한 규찰과 탄핵 등을 관장하던 관청인 사헌부(司憲府)가 있던 자리에 놓인 표지석. 한자로 크게 써놓았다. |
서울 광화문 주변에는 예전 조선시대에 관청 자리였던 곳에 표지석을 세워놓거나 바닥에 글을 새겨놓았습니다. 그런데 어떤 곳에는 한자를 커다랗게 써놓고 한글을 작게 시늉만 한 곳이 있습니다. 제발 무엇이 먼저인지 분명히 했으면 좋겠습니다. 위의 "司憲府址"가 아니라 아래처럼 "형조 터"가 좋지 않나요?
![]() |
||
▲ 나라의 사법과 형벌에 관한 일을 담당하던 관청인 "형조"가 있었던 자리에 있는 표지석. 한글로 써놓았다. |
![]() |
||
▲ 고려·조선시대 궁중에서 쓰이는 기름·꿀·과일 등의 물품을 관리하던 관서인 "의영고(義盈庫)"터 표지석. 역시 한글로 쓰여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