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김혁 [1875∼1939] 선생은 경기도 용인(龍仁) 사람으로 대한제국 육군정위(正尉)로 근무하던 중, 1907년 8월 군대가 해산되자 비분하여 항일투쟁을 결심하고 고향으로 내려갔다. 1919년 3·1독립만세시위에 참가한 후 일경의 눈을 피하여 만주로 망명하였다. 1920년에 산업의 진흥과 아울러 무력투쟁을 계획하여 백두산 아래 화룡현(和龍縣)에 자리잡은 대종교 총본사(大倧敎總本司)와 백두산 동북쪽인 왕청현(汪淸縣)에 있던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 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무장항일 투쟁을 하던 흥업단(興業團)의 부단장으로서 활동하였다. 한편 1920년 봄에는 북로군정서의 총재 서일(徐一)과 경리담당인 계화(桂和)가 계속 병력증강에 힘써 백초구(百草溝) 기타 각지에서 약 300여명의 장정을 모집하고 또 이성규(李成奎)를 국내로 보내어, 대한제국시대의 육군 장교로 활약하던 김규식(金奎植)·홍충희(洪忠熹)·김찬수(金燦洙)·박형식(朴亨植) 등을 동반하여 올 때 그도 유우석(柳佑錫)과 함께 무송현(撫松縣)으로부터 와서 북로군정서에 참가하여 대일 항쟁에 전념하였다. 또한 1922년 8월 30일에 환인현 남구 마권자(桓仁縣南區馬圈子)에서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푸르른 신록이 대지를 눈부시게 하는 5월 5일은 일본의 ‘어린이날(고도모노히, 子供の日)’이다. ‘어린이의 인격을 존중하고 어린의 행복을 꾀함과 동시에 어머니에게 감사드리는 날’의 취지로 1948년 제정된 이래 올해가 70년째를 맞는다. 세계에서 가장 먼저 어린이날을 만든 나라는 터키로 1920년 4월 23일이었고 이후 1925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6월 1일을 ‘국제 어린이 날(International Children's Day)’로 삼은 이래 1954년에는 유엔에서 11월 20일을 ‘세계 어린이 날Universal Children's Day)’로 정했다. 그러나 나라마다 어린이날은 약간 씩 다르며 일본은 전통적으로 지내오던 단옷날을 오늘의 어린이날로 삼고 있다. 어린이날을 ‘탄고노셋쿠(端午の節句)’라고도 하는데 원래 이날은 남자 아이들의 성장을 축하하고 건강하게 자라도록 기원하는 풍습에서 유래했다. 이날은 형형색색의 모형 잉어를 띄우는데 이를 “고이노보리(こいのぼり)”라고 한다. 예전에는 남자 아이가 있는 집안에서는 긴 장대에 모형잉어를 매달아 놓았지만 아파트 생활을 하는 현대는 아파트 베란다에 모형잉어를 장식하기도 한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백년편지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년 (2019년)을 맞아 쓰는 편지글 형식의 글입니다. 2019년 4월 13일까지 계속 접수를 받습니다.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문의 : 02 -733-5027】 이월봉 지사님! 꽃보라 흩날리는 4월입니다. 이르는 곳마다 봄처녀들은 삼삼오오 흐드러진 봄꽃 곁에서 사진을 찍거나 연인들과의 데이트로 즐거운 시간을 보내느라 여념이 없는 계절입니다만 청춘의 한 시절을 이역 땅에서 여자 광복군으로 보내야했던 지사님의 봄은 어떠셨는지요? 지사님께서 한국광복군 제2지대 여군반장 시절 군복 입은 모습의 흑백사진을 바라보고 있자니 부끄러운 질문을 드린 듯해 죄송한 마음이 듭니다. 나라를 일제에 빼앗기고 중국 땅에서 광복군에 지원 입대하여 뛴 세월을 굳이 계절로 말하라면 눈보라치는 겨울이 아닐는지요. 그것도 아주 혹독한 칼바람이 부는 한겨울에 해당되겠지요. “당시 광복군에 속한 여군들은 여자라고해서 특수한 임무가 주어지거나 하는 일은 전혀 없었습니다. 남자와 똑같은 일을 했지요. 토치카를 파면 같이 파고, 벽돌을 나르고, 모든 힘겨운 일을 남자와 똑같이 그대로 해냈지요” 이월봉 지사님께서는 1976년 한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세계 최고의 장수국이라고 일컬어지는 일본에서 평균수명 1위를 차지한 지역이 발표되어 세인의 관심을 끌었다. 4월 17일 일본 후생노동성이 발표한 2015년 시구정촌(市区町村)별 평균수명 순위에 따르면, 남성 장수 1위는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아오바구(青葉区)로 평균 83.3살이었으며 2위는 가와사키시로 83.1살, 3위는 도쿄 세다가야구로 82.8살이었다. 이 조사는 5년 마다 실시되며 1위는 5년 전과 같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이다. 이곳에 살고 있는 한 주민은 “기쁘다. 장수 이유는 아마도 환경 덕인 것 같다. 이곳에서 10년째 살고 있는데 이곳은 푸르른 자연 환경이 아주 좋다.”고 했다. 한편 여성의 장수 1위는 3회 연속으로 오키나와에 있는 기타나카구스쿠촌(北中城村)으로 89.0살, 2위는 오키나와 나카구스크촌(中城村)으로 88.8살, 3위가 오키나와 나고시로 88.7살이다. 1위부터 3위까지 모두 오키나와가 차지했다는 것이 눈길을 끈다. 반면에 평균 수명이 가장 짧은 곳은 남녀 모두 오사카시 니시나리구(西成区)로 남성이 73.5살, 여성이 84.4살 이었다. 후생성은 “각 지역의 식생활과 생활습관 그리고 기후 등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자연경관이 빼어난 도봉산길(도봉동 512번지)에 고려시대 한 절이 있었다. 그 이름은 영국사(寧國寺)였다. 고려왕실의 후원으로 번성하던 이절은 조선시대로 들어오면서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 그러나 조선의 효령대군은 영국사를 되살려 국가차원의 불교행사를 치루는 등 한때 소생하는 듯 했지만 이후 쇠퇴의 길을 걸어 16세기에 이르면 절의 건물을 모두 추풍낙엽처럼 폐사하고 절터만 오롯이 남게된다. 그러나 이 영국사가 자리한 도봉산은 암벽이 장관을 이루고 산세가 아름다워 소금강(小金剛)으로 불렸던 만큼 조선시대 문인들이 이곳을 드나들면서 영국사 터를 이용하여 도봉서원을 짓게 된다. 도봉서원은 1573년, 폐허가 된 영국사 자리에 들어서는데 조광조와 송시열을 제사 지내면서 유생들을 교육하던 기관이었다. 사액서원(賜額書院)으로 한양도성 주변에는 풍광이 아름다울뿐더러 유명한조광조와 송시열 때문에 경기 지역에서는 위세를 떨칠만큼 이름난 서원이었으나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그만 문을 닫게 되었다. * 사액서원(賜額書院) : 임금으로부터 편액·서적·토지·노비 등을 하사받아 그 권위를 인정받은 서원 무릇 집이란 사람이 살지 않으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봄비가 추적거리고 내리는 어제 (14일, 토) 오후 2시, 기자는 서울중앙보훈병원에 입원 중인 생존 여성독립운동가이신 오희옥 애국지사(92살)의 병문안을 다녀왔다. 재활병동 3층에 입원 중인 오희옥 지사의 아드님은 기자의 방문에 맞춰 어머님(오희옥 지사)을 휠체어에 모시고 병실 옆 작은 휴게실에서 기다렸다. 지난달 3월 17일 갑작스럽게 쓰러지셔서 중환자실에서 의식을 회복하여 병실로 옮기신지 2주째로 일반인의 면회를 받을 정도로 많이 회복되어 기자는 오희옥 지사님의 손을 꼭 잡고 인사를 나누었다. 아직 코에 연결된 호스로 미음을 식사대신 들고 계셔서 영양 상태가 안좋아서인지전 보다 여의셨지만 의식만큼은 많이 회복되어 기뻤다. 그러나 완전한 회복을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듯한 상태로 의료진들과 가족들의 정성스런 간호가 이어지고 있었다. 현재, 치료비는 국가유공자이기에 100% 국가가 부담하고 있지만, 24시간 전문 간병인을 써야 하는 입장에서 간병비 자부담이 다소 부담스럽다고 했다. 다음은 오희옥 지사의 아드님께서 기자에게 보내온 그간의 ‘병실일지’이다. 원문 그대로를 싣는다. "어머님(오희옥 지사)이 의식을 잃고 쓰러지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1998년 동계 올림픽이 열렸던 일본 나가노 지역은 일본에서도 천혜의 자연 경관이 빼어난 곳으로 손꼽힌다. 또한 맑은 공기와 오염되지 않은 물은 일본인들에게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곳으로 이곳에 한국절 금강사(金剛寺, 곤고지)가 자리하고 있다. 이곳 금강사 대웅전에서 지난 4월 8일 오전 10시에 신임 주지 법현(法顯, 전 태고종 총무원 부원장)스님의 진산식(주지 취임)이 봉행되었다. 나가노 금강사는 재일동포들의 피땀으로 1977년 어렵게 마련한 절이지만 점차 신도들이 줄어들면서 한때는 절이 경매에 넘어갈 운명에 처한 것을 정정순 보살(91살) 등 재일동포들이 사재를 털어 절을 다시 살려 이 날 신임 주지로 법현스님을 추대한 것이다. 음력을 쓰지 않는 일본에서 불기 2562년 사월 초파일 행사를 겸한 이날 주지 취임식에는 한국에서 태고종 중진 승려들의 모임인 보현도량의 회원스님,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사찰최고위과정 동문회원, 여러 종단 스님 등 40여명의 스님과 일본 국가 사찰인 나가노 젠코지(善光寺) 현증원 주지 후쿠시마 스님, 고야산의 무송스님을 비롯하여 정정순 신도회장, 문해룡 대표역원 등 재일동포 불자 등 140여명이 참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도시의 민속, 특히 서울의 대중문화는 자체의 물질적인 토대도 없이 이러한 계급적인 모순을 안은 채 이식된 외래문화의 영향 속에서 형성ㆍ확대되었다.(중간 줄임) 대중들은 마당극 대신 신극이나 영화를 즐기고 민요나 창 대신 창가(唱歌)를 들었다. 1908년 이후 동물원과 식물원으로 개조되어간 창경궁에서 벚꽃놀이를 즐기게 된 것도, 전차를 타고 다방이라는 밀폐된 공간에서 벗을 만나 차를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게 된 것도 도시의 대중들이 겪게 된 새로운 민속이다.” - 《신편 한국사》 ‘민속과 의식주’ - 봄이면 우리나라 곳곳에서 봄꽃잔치가 열리는데 그 가운데서 ‘벚꽃놀이’는 전국적으로 즐기는 꽃잔치의 하나로 자리 잡은 듯하다. 신문, 방송에서 날마다 벚꽃잔치 소식을 내보내고 있지만 썩 유쾌하지는 않다. 벚꽃이 일본의 나라꽃(국화)이기도 하지만 벚꽃놀이 풍습 또한 일본에서 유래한 것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일본은 봄이면 하나미(花見)라고 해서 대대적인 벚꽃놀이를 즐긴다. 그 역사만 해도 나라시대(奈良時代, 710~794)로 거슬러 올라갈 뿐 아니라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노래집인 《만엽집(万葉集), 8세기》에도 벚꽃 관련 시가 43수나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가사(袈裟)란 스님이 장삼 위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 입는 법의(法衣)를 말하며 종파에 따라 빛깔과 형식이 다르다. 불가(佛家)에서 가사를 받는다는 것은 법(法,Dharma)을 받는 것과 같다고 한다. 5조(祖) 흥인대사는 6조(祖) 혜능대사에게 <금강경>을 강설하고 밤늦게 따로 불러 가사를 전하며 ‘너를 6대조(六代祖)로 삼는다’고 했다. 흥인대사가 물려준 ‘가사’는 곧 ‘법’이었던 것이다. 지난 3월29일부터 4월1일까지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세택)에서 열린 ‘2018서울국제불교박람회’에서는 아주 특별한 전시가 있었다. “지혜가 깃든 옷, 가사전”이라는 주제의 특별전이 그것이다. 가사(袈裟)라고 하면 ‘스님의 옷’ 쯤으로 알았던 나에게 이번 전시는 ‘한국 가사의 기원과 변천’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아주 뜻깊은 자리였다. 궁궐에서 입던 호화로운 왕실의상이나 몇 백 년 전 무덤에서 운좋게 썩지 않고 더러 나오는 일반인의 옷도 ‘학문의 대상’인데, 하물며 2천년 불교문화의 역사를 지닌 나라에서 ‘가사’에 대한 고찰이 별반 없었다는 데서 가사(袈裟) 전시회는 그저대충 보고 지나갈 것은 아니란 생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윤현진(尹顯振, 1892. 9.16.~1921. 9.17.) 선생을 2018년 4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선생은 1892년 경남 양산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만성재(晩惺齋)에서 한학을 수학하고 15세가 되던 1907년 구포의 구명학교에서 신학문을 배웠다. 1909년 중국 상하이와 베이징을 탐방한 뒤 깊이 있는 신학문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일본 유학을 떠나게 된다. 선생은 22세가 되던 1914년 메이지(明治)대학을 입학한 이후 조선유학생학우회와 일본제국주의 타도를 목적으로 결성된 신아동맹당 당원으로서 반일운동에 앞장섰다. 1916년 고국으로 돌아와서는 약 3년 동안 대동청년단, 백산무역주식회사, 의춘상행(宜春商行), 기미육영회 등과 관계를 맺고서 비밀결사운동, 경제적 자립운동, 교육운동을 주도하였다. 3ㆍ1독립운동 직후인 1919년 3월 21일 상하이로 망명한 선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위원과 경상도위원, 국내 항일세력과 연락을 위한 의용단 조직, 독립신문 발기인 등을 맡으면서 임시정부의 중심인물로 부상하였다. 1921년 2월 임시정부의 중책인 재무차장에 취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