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인간이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 나라에 충성하고 항상 올바른 마음을 굳게 지녀야 한다.” 이는 임진왜란 의병장 고경명 선생의 좌우명 ‘세독충정(世篤忠貞)’의 글귀다. 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 뛰어들어 장렬히 순국한 고경명(1533∼1592) 의병장의 비각은 충남 금산군 금성면 양전리에 야산에 있다. 초겨울 날씨지만 이른 아침에 찾은 비각으로 오르는 산기슭은 떨어진 낙엽이 수북이 쌓여있었고 아침 이슬까지 머금어 촉촉이 젖어 있었다. 비각을 세운 이 일대가 고경명 의병장이 왜군과 장렬히 싸우다 전사한 곳이라니 땅을 밟는 것조차 숙연해진다. 현재의 비각은 효종 7년(1656) 고경명 의병장이 순국한 뒤 이곳에 세웠는데 일제침략기인 1940년, 일본 경찰의 만행으로 파괴된 것을 후손들이 조각난 비각 파편을 모아두었다가 1962년에 지금의 석조비각(石造碑閣)을 건립한 것이다. 금산군의 일제강점기 때 비각 만행 장소는 또 다른 곳에도 있다. 고경명 선생 비각에서 차로 20여 분 거리에 있는 천년 고찰 보석사(寶石寺)가 그곳이다. 만행의 흔적이 남아있는 곳은 보석사 입구에 서있는 의병승장 영규대사의 비석이다. 의병승장비는 1592년(선조25) 8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과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관장 정진영), 안동대학교 인문대학은 만주망명 110돌을 맞이하여 경북지역 여성들의 항일투쟁기를 주제로 모두 6회에 걸친 기획 보도를 진행하고 있다. 제5편은 망명한 독립운동가 3세대라 할 수 있는 허은과 이해동에 대해 집중 조명한다. 경북지역 독립운동가들은 1910년대부터 만주로 망명을 떠났다. 당시 어린 소녀였던 허은과 이해동 등은 만주망명 1~2세대에 의해 민족의 대들보로 자라나고 있었다. 어린 나이에 이국땅에서 자라면서 모진 고초를 감내하며 조국 독립을 열망하였다.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을 온 몸으로 견딘 ‘허은’ 여사 허은(1907~1997)은 1907년 1월 경북 선산에서 태어났다. 조부는 범산(凡山) 허형(許蘅, 1843~1922)이며 재종조부로 방산(舫山) 허훈(許薰), 성산(性山) 허겸(許蒹), 허위(許蔿) 등이 있다. 모두 당대 의병을 이끌거나 부민단을 조직한 독립지사들이다. 이러한 집안의 내력으로 일제 치하에서 항상 감시와 억압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결국 1912년부터 순차적으로 만주 망명을 떠났고 1915년 9살 어린소녀였던 허은도 만주로 이주했다. 만주 망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간도(만주지역)라고 하면 ‘일제 침략기에 항일독립운동이 펼쳐지던 곳’이라고 대답하는 사람들이 많다. 사실 기자 역시 간도에 대한 인상은 이 이상을 넘지 못했다. 특히 이 지역을 답사한 적이 있는 사람들 대부분이 ‘독립운동가들의 발자취를 찾아서’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그러나 우리들이 갖고 있던 ‘간도’에 대한 이미지를 일찌감치 털어버린 사람이 있다. 바로 사진작가 류은규 씨다. 류 작가는 한중수교 무렵부터 지금까지 약 30 여년에 이르는 동안 중국 동북삼성 곧 간도 전역을 찾아다니며 중국동포(조선족)들을 촬영했다. “자기가 찍은 사진만이 사진가의 역할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역사의식을 갖고 오래된 사진을 후대에 넘겨주는 것 또한 사진가의 임무이자 역사에 대한 책무라고 봅니다. 개인의 기록이 정리되면, 자료가 되고, 자료가 모여 시간이 흐르면 사료(史料)가 된다는 것을 깨닫고 중국동포들이 갖고 있는 자료사진이나 기념사진을 수집하기 시작했지요.” 듣고 보니 그렇다. 평소 사진가란 자신의 작품을 남기는 것이 전부라고 여겨왔던 생각이 류 작가의 이 말에 그만 허물어지고 말았다. 하지만 이내 한 가지 의구심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조선신궁 낙성식때 참석한 뒤 “화려했지만 왠지 쓸쓸한 모습” 이라고 낙성식 참석 소감을 촌평한 신도학자(神道学者) 오가사와라 쇼조(小笠原省三, 1892~1970)는 “일본 신사지만 조선신(단군)을 모셔야한다”고 주장한 사람이다. 일본신사에 단군을 모셔야한다는 주장은 언뜻 보면 조선을 위하는 것 같지만 사실 내용면에서는 맞지 않는 이야기다. 조선의 조상인 단군을 모시려면 단군사당을 지어서 모셔야하는 것이지 왜 일본신사를 지어 단군을 모셔야한다고 주장한 것일까? 이러한 사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는 한마디로 '일본과 조선의 조상이 같다’라는 이론으로 기다 사다기치(喜田貞吉, 1871~1939) 같은 학자는 〈일선양민족동원론〉이라는 논문을 통해 일본과 조선 두 민족은 유물·언어·신화·풍습 등 다방면에서 같다고 주장하기에 이른다. 그 밑바닥 정서는 일제의 조선식민화를 합리화하기 위한 것임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일선동조론은 3·1운동 이후 내선일체라는 구호를 통해 정책적으로 한층 심화되었으며, 만주사변 이후 한국인에게 강요된 창씨개명 등의 황국신민화 정책과 민족말살정책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과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관장 정진영), 안동대학교 인문대학은 만주망명 110돌을 맞이하여 경북지역 여성들의 항일투쟁기를 주제로 모두 6회에 걸친 기획 보도를 진행하고 있다. 제4편은 영화 ‘암살’에서 직접 독립운동에 뛰어든 여걸 ‘안옥윤’ 역할의 모델이 되었던 남자현 지사의 무장독립투쟁에 대해 집중 조명한다. 남자현 지사는 1919년 만주로 망명한 이후 8년의 기간은 주로 후방에서 교육과 생활 안정에 이바지하였다. 그러나 사이토 마코토 총독의 암살 계획을 수립한 1927년부터 본격적인 무장투쟁에 나서게 되었다. 1930년대는 일본이 만주국을 수립하면서 만주전역에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던 시기였다. 더욱이 여준, 지청천과 같이 독립을 이끌었던 인사들의 죽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는 때였고 이상룡이 사망도 겹쳤기 때문에 동포사회가 매우 불안정하였다. 이러한 어수선한 시국에서 국제연맹이 만주로 조사단을 파견하여 일본의 만주침략을 조사한다는 소식이 들렸다. 남자현 지사는 독립 의지를 알릴 기회라 여겨 손가락을 잘라 혈서를 쓰기로 하였다. 남자현 지사는 하얼빈의 한 음식점에서 왼쪽 무명지 두 마디를 잘라서 조선(한국)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우리가 몰랐던 그곳, 그 시절 1993년부터 나는 중국 동북 삼성(만주지역)을 돌며 재중 동포(중국 조선족)를 촬영하고, 지난 역사를 증명하는 자료사진이나 기념사진을 수집하는 작업을 계속해왔다. 이번에 선보이는 사진은 해방 전부터 1980년대까지 대략 반세기 동안의 기록물이다. 한중수교 이전 우리는 재중 동포의 삶에 대해 아는 바가 없었고, 수교 이후엔 우리의 시각으로 그들을 바라보기에 바빴다. 이번에 전시하는 [류은규 간도사진관]은 우리가 몰랐던 그들의 삶, 재중 동포가 겪어온 시대와 걸어온 노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아카이브 사진전이다. 오래된 사진을 보는 재미를 느끼면서 그 속에 담긴 재중 동포의 희로애락을 읽어내며, 그들과 마음을 함께하는 정겨운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류은규의 ‘사진사회학’ ‘간도’는 우리에게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곳인데도 불구하고, 어려운 시절에 힘든 유랑민이 넘어가서 고생했다는 ‘동토凍土’의 이미지로만 인식되어있는 점을 나는 늘 아쉽게 생각한다. ‘간도’가 만주국 간도성이 되고, 연변조선족자치주가 되었던 과정에 대해서도 우리는 잘 모르는 채 지내왔다. 중국에서 오랜 세월 동안 학생들한테 사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1925년(대정14년) 10월 15일, 하늘은 맑았다. 일제는 경기도 경성부(당시 표기, 지금의 서울) 남산에 천조대신과 명치왕을 제신으로 하는 '관폐대사 조선신궁(官幣大社 朝鮮神宮)'의 진좌제(鎭坐祭)를 봉행했다. 진좌제란 신사(神社)에서 건물을 지어 영령께 고하는 의식을 말한다. 이날 아침 10시 10분, 의장대가 연주하는 국가의 진혼이라는 음악에 맞춰 다카마츠 시로 궁사(宮司) 이하 제원(祭員)들과 참례자 대표인 이왕가의 이강공(李岡 公)을 비롯하여 조선총독 사이토 마코토 부부, 각국 영사, 총독부 고위관료, 사단장 이하 군인, 은행가, 실업가 등이 대례복 또는 정장 차림으로 3,500여명이 모여 신전에 납폐와 공물을 올리며 진좌제를 열었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이날 진좌제에 참석했던 신도학자(神道学者)인 오가사와라 쇼조(小笠原省三, 1892~1970)의 참배 소감이다. 오가사와라는 진좌제 참배 소감을 다음과 같이 말했다. “왠지 그림책을 펼쳐 놓은 듯한 풍경이었으나 어딘가 쓸쓸한 느낌이 들었고 부족함이 느껴졌다” 이에 대해 스가 코우지(菅浩二) 씨는 그의 저서 《일본 통치하의 해외신사》에서, 오가사와라를 다음과 같이 평했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나는 오늘 쓰레기를 얼마나 만들었을까? 내가 가장 오래 쓰고 있는 물건은 뭐더라? 나는 왜 제로웨이스트에 관심을 갖게 됐을까? 산두로 상점에 들어서면 이런 글귀가 벽면에 붙어 있다. 마치 나에게 하는 질문 같아 순간 가슴이 뜨끔해짐을 느낀다. 그렇다. 우리의 삶은 단 한 순간도 쓰레기를 배출하지 않고 살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마트에서 사 온 저녁 찬거리만 해도 모두 포장지에 겹겹이 싸여 있는 것들이라서 장바구니를 풀어 놓으면 한숨부터 나온다. 두부찌개 하나를 끓이려고 해도 플라스틱 두부 용기 속에 포장된 두부를 사야 하는 일부터 양파 한 개도 비닐 압축 포장이다. 거기에 청양고추도 비닐봉지에 들어 있고, 표고버섯이나 대파마저도 비닐포장이다. 어디 먹거리뿐인가? 먹고 나서 설거지를 하려는 주방의 풍경은 어떠한가? 프라스틱 용기에 들어있는 세제며 설거지용 수세미, 행주 등도 천연재료가 아니라서 쓰고 나면 처치 곤란한 쓰레기다. 먹거리야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하지만 적어도 주방에서 쓰는 물건이라도 천연재료를 사용할 수는 없을까? 하던 차에 ‘제로웨이스트(zero waste)운동'을 실천하는 가게를 만났다. 바로 고양시 산두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인생에서 88살이 가장 좋은 때다.” 라면서 99수를 누리다가 지난 11일 입적한 일본의 비구니 스님 세토우치 자쿠초(瀬戸内寂聴)! 서점 어딜 가나 세토우치 자쿠초 스님의 책들은 진열대 가장 앞줄에 놓이곤 했다. 심지어는 나리타공항이나 간사이공항 내의 기념품 겸 서점 코너에서도 쉽게 만날 수 있어 나 역시 가끔 세토우치 스님의 책을 사서 읽었다. 그의 책은 읽기 쉽고, 읽는 순간 고개가 끄떡여진다. 자신도 모르게 마음이 편안해지고 입가에 미소가 떠오른다. 그의 웃는 모습은 해맑다. 해맑다고 밖에는 달리 표현할 수 없을 만큼 편안하다. 화나는 일이 있어도 금새 기분이 좋아질 만큼 밝은 기운을 선사한다. “현대 여성의 삶을 그린 소설로 인기를 끌어 반전·평화를 호소하는 사회 활동에도 정력적이었던 작가이자 승려, 문화 훈장 수상자인 세토우치 자쿠초(瀬戸内寂聴)씨가 9일,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99살이었다. 토쿠시마시 태생, 이름은 하루미로 불렸다. 도쿄 여자대학 재학 중에 결혼해, 졸업 후에는 남편의 근무처였던 북경으로 건너갔으며, 패전으로 1946년에 귀국, 이후 남편의 옛 제자와 사랑에 빠져 어린 외동딸을 남겨두고 교토로 옮겨 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우리가 몰랐던 그곳, 그 시절 1993년부터 나는 중국 동북 삼성(만주지역)을 돌며 재중 동포(중국 조선족)를 촬영하고, 지난 역사를 증명하는 자료사진이나 기념사진을 수집하는 작업을 계속해왔다. 이번에 선보이는 사진은 해방 전부터 1980년대까지 대략 반세기 동안의 기록물이다. 한중수교 이전 우리는 재중 동포의 삶에 대해 아는 바가 없었고, 수교 이후엔 우리의 시각으로 그들을 바라보기에 바빴다. 이번에 전시하는 [류은규 간도사진관]은 우리가 몰랐던 그들의 삶, 재중 동포가 겪어온 시대와 걸어온 노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아카이브 사진전이다. 오래된 사진을 보는 재미를 느끼면서 그 속에 담긴 재중 동포의 희로애락을 읽어내며, 그들과 마음을 함께하는 정겨운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류은규의 ‘사진사회학’ ‘간도’는 우리에게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곳인데도 불구하고, 어려운 시절에 힘든 유랑민이 넘어가서 고생했다는 ‘동토凍土’의 이미지로만 인식되어있는 점을 나는 늘 아쉽게 생각한다. ‘간도’가 만주국 간도성이 되고, 연변조선족자치주가 되었던 과정에 대해서도 우리는 잘 모르는 채 지내왔다. 중국에서 오랜 세월 동안 학생들한테 사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