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현대 사람들은 다양한 질병을 한 번에 치료하는 약은 없다고 생각하지만, 여전히 만병통치약은 원한다. 그렇다면 언제부터 만병통치약을 꿈꿔온 걸까? 놀랍게도 선사시대부터이다. 양귀비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아편은 모든 통증을 없애는 만병통치약으로 오랜 역사 속에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코카콜라는 처음 출시할 때만 해도 미국의 모르핀 중독자를 치료하기 위해 코카인을 넣어 개발한 신약이었다. 마약으로 정의된 아편과 코카인을 지금이라면 약으로 사용할 수 없겠지만, 역사 속에서 약에 대한 인식은 크게 변화해 왔다. 책에는 가짜 만병통치약의 비밀, 특이한 약의 재료와 치료 방법, 진시황, 프로이트 등 유명인이 먹었던 놀라운 약과 같이 다양한 약이 등장한다. 저자는 약으로 보기에 수상쩍은 재료를 분석하여 구성 요소가 화학적으로 어떤 작용을 하며 어떻게 사용되어 왔는지 등 약의 역사를 흥미롭게 보여 준다. 약국에는 없지만, 인류의 욕망이 만든 약 이야기를 책 속에서 찾아보자. 《약국에 없는 약 이야기》: 가짜 약부터 신종 마약까지 세상을 홀린 수상한 약들 지은이 박성규, 엠아이디출판 <자료: 국립중앙도서관 제공>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아베 다케시(阿部建) 씨는 1933년 함경도 청진에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 조선땅에서 살았던 그는 조부모를 비롯하여 일가(一家) 40명이 조선에서 나고 죽었다. 그런 인연 때문이었는지 아베 다케시 씨는 고향 청진을 무대로 한 일제강점기를 다룬 소설을 쓰고자 2016년 7월, 노구(84살)를 이끌고 서울에 왔다. 소설의 무대인 북한 청진에는 가보지 못하지만 북한땅이 건너다보이는 임진각에 가보고 싶다고 하여 통역 겸 안내를 한 것이 인연이 되어 이후에도 누리편지 등 소식을 전하고 있던 터였다. 그런 아베 다케시 씨는 각고의 노력 끝에 소설 《중천의 반달(中天の半月)》을 완성하여 2년 전(2018년) 11월 17일 일본 오사카에서 출판기념회를 했다는 소식을 전해왔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지난해(2019년) 5월 31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그의 죽음을 계기로 지인들이 아베 다케시 씨를 추모하는 문집을 만들고자 한다며 나에게도 ‘아베 다케시 씨와의 인연’에 대한 글 한 편을 보내 달라는 전갈이 왔다. 아랫글은 그의 추모집에 넣기 위해 쓴 글이다. 추모집에는 일본어로 들어갔지만, 한글로 쓴 부분의 일부를 아래에 싣는다. 그리운 아베 다케시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어린아이에게 인형은 단순한 장난감 그 이상의 의미일 것이다. 자신의 마음을 나누고 걱정과 두려움을 공유하면서 아이는 인형과 함께 성장한다. 성인이 되어서도 누군가에게는 인형이 마음의 안식을 주는 소중한 존재이기도 하다. 이렇듯 인간과 오랜 시간을 교감해 온 인형이 ‘언제부터 생기고, 어떻게 발전해 왔을까?’라는 호기심에서 시작한 이 책은 인형의 변천사를 다루고 있다. 크게 2개의 장으로 나누어 1장에서 고대시대 인형의 시초를 살펴보며 그 속에 담긴 의미를 해석해주고 2장에서는 주요 각국에서 인형이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알려준다. 다산과 풍요의 기원을 담은 고대시대 인형에서부터 마담 투소의 밀랍인형, 식기류의 주재료인 자기로 만든 포슬린 인형, 패션 인형의 대명사인 바비 인형에 이르기까지 인간에게 친근한 존재가 된 인형의 역사를 풀어내고 있다. 특별부록으로 특이한 인형들까지 소개해주어 마지막까지 흥미롭게 읽어볼 수 있다. <인형의 시간들> 지은이 : 김진경 지음 출판사 : 바다출판사 발행년 : 2019 <자료: 국립중앙도서관>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아부지 초가 한 칸 손보러 왔습니다 그동안 자주자주 찾아뵌다 해 놓고서 어느덧 일 년 세월이 훌쩍 지나갔습니다 다짐을 저버리고 목구멍만 풀칠하다 벌초는 해야겠다, 번뜩 생각에 고삐조여 뒤늦게 맨주먹으로 염치없이 뵈옵니다 지갑이 얇은 탓에 상석도 가벼워서 당신이 하신 말씀 박주산채 뿐이오니 허물을 나무라시고 흠향 많이 하십시오(뒷 줄임) 이희동 시인은 ‘아부지를 뵈옵니다’에서 그렇게 말했다. ‘다짐을 저버리고 목구멍만 풀칠하다’는 표현이 필자를 두고 하는 말 같아 가슴이 아리다. 어머니 가신지 석 달 엿새! 이희동 시인은 초가 한 칸일지언정 아부지를 음택에 모셨건만 필자는 어머니를 캐비닛 같은 납골당에 모셨다. 한줌 재로 변한 어머니를 납골당 그 비좁은 곳에 모시고 이희동 시인처럼 자주자주 뵙는다면서 ‘목구멍 풀칠하느라’ 외면하고 있다. 아 어머니시여! 그리고 이땅의 아버지시여! 아는 듯 모르는 듯 깊어지는 주름살은 세월의 수레바퀴 되돌릴 수 없는 자국 자신도 모르는 사이 종착역이 보이네 -‘황혼의 신호등’ 가운데서- 시인도 나이를 먹는다. 끝내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가신 그 길을 가야한다. ‘황혼의 신호등’에서 종착역이 가까운 시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지나간 세상은 흘러간 송장이요, 앞으로 올 세상은 지금과 상관없는 미래지사예요. (중간줄임) 직장생활을 하고 돈 벌고 하는 것들은 다 무엇을 의미합니까? 다 살려고 하는 것이지요. 그러면 이 세상 산다는 뜻이 어디 있겠는가. 고깃덩어리 백 년 동안 꿈틀거리다 가는 그게 과연 참 삶이냐 말입니다. 그대로는 백년 사나 이백년 사나 깨진 독에 물 붓기입니다. 하루를 살더라도, 한 찰나를 살더라도 사는 이치를 알 때 영원히 사는 빛나는 인생을 맛볼 수 있습니다.” 이는 서암 스님의 법어(法語) 가운데 하나다. 서암 스님의 법어집 《그건 내부처가 아니다》(2013. 정토출판)을 읽으며 한 말씀 한 말씀이 옥구슬이란 느낌이 든다. 흔히 좋은 문장을 주옥(珠玉) 같다고 하는데 서암 스님의 법어가 거기에 딱 맞는 말이다. 어느 구절을 펴도 공감이 가는 말들로 그득하다. “우리는 위대한 마음의 힘을 계발하지 못하고 몇 푼어치 안 되는 현대문명에 현혹되어 몸과 마음이 약해져 온갖 병 속에 쩔쩔매며 산다. 잘 먹고 전 세계를 돌아다닌다해서 행복한 게 아니다. 조용히 앉아서 내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나를 보는 게 중요하다.” 방학만 되면 아이들과 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경자년 새해가 밝았다. 일본은 명치(明治) 이후 음력을 버리고 양력만을 쓰고 있으며 설 또한 양력을 기준으로 한다. 설날은 우리네 풍습처럼 가족끼리 모여서 설음식(오세치요리)을 먹으며 오붓한 시간을 보내지만, 우리와 다른 점이 있다. 두 가지만 든다면 조상에게 설날 아침 제사를 드리는 ‘차례 문화’가 없는 점과 상당수 일본인이 정초에 신사참배(하츠모우데)를 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사람이라고 해서 모두 ‘차례’를 지내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 일반적인 문화로 설날 아침에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는 풍습이 있는 게 한국이며, 일본에는 제사 문화가 아예 없기에 설이나 한가윗날 ‘차례’도 당연히 없다. 그런가 하면 정초에 특별히 신사참배하는 풍습이 있는데 이를 ‘하츠모우데(初詣)’라고 한다. 하츠(初)란 처음을 나타내는 말이고 모우데(詣)는 참배를 뜻하므로 하츠모우데는 신사참배 가운데 유독 ‘정초 참배’만을 가리켜 부르는 말이다.필자도 일본에 있을 때는 지인을 따라 정초 하츠모우데를 여러 번 따라가 본 적이 있다. 하츠모우데는 유명한 절이나 신사에서 하는데 연말이 되면 각종 언론이나 매스컴에서 전국의 유명한 절과 신사를 앞다투어 소개하느라 바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신 2020년 ‘1월의 독립운동가’ 정용기 선생을 뽑아 발표하였다. 정용기(1862.12.13~1907.9.2) 선생은 경북 영천 출신이다.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일제의 침략 책동이 노골적으로 드러나자 고종은 시종관(侍從官) 정환직을 불러 의병을 일으킬 밀지(密旨)를 내렸고, 부친 정환직은 고종의 밀지를 받들어 그날 관직에서 물러났다. 부친 정환직과 함께 의병을 모집하기 위해 고향으로 내려가 1906년 1월경 ‘영천창의소’를 설치하고, 권세가(勸世歌)를 지어 일본인들이 들어와 문명과 종사가 무너지는 것이 을사 5적들 때문임을 지탄하고, 충성심 있는 의사들이 의병을 일으켜 역적들과 왜적들을 이 땅에서 몰아내고 대한독립만세의 기치를 들고 모두 함께 의병으로 나설 것 등을 호소하였다. 1906년 영남지역에서 1,000여 명의 의병이 모였으며 선생을 대장으로 추대하고, 진호를 ‘산남의진(山南義陣)’으로 정하고 부대를 편성하였다. 선생은 신돌석 의진과 연합작전을 펴기 위해 진군하던 중 경주 진위대 간계로 대구감옥에 수감되어 4달 동안 고초를 겪고 석방되었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스물일곱의 청년 윤동주 시인, 그는 일본 유학길에 올라 한국어로 시를 쓴다는 이유로 잡혀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억울한 죽음을 당했다. 그런 윤동주 시인을 추모하기 위해 <후쿠오카・윤동주 시를 읽는 모임(福岡・尹東柱の詩を読む会)> 이 후쿠오카에서 결성되어 해마다 그의 탄생일에 그를 추도하고 있다. 1994년에 결성된 <후쿠오카・윤동주 시를 읽는 모임(福岡・尹東柱の詩を読む会)>은 마나기 미키코(馬男木美喜子)가 대표로 있으며 회원들은 매달 윤동주 시를 읽어가며 그가 추구했던 조국애와 인생, 사랑, 평화, 순수 등에 대한 담론을 나누는 순수한 시민 모임이다. 이 모임은 내년(2020) 2월 26일 낮 2시부터 윤동주 시인이 숨진 후쿠오카에서 “윤동주 추도 75주년 기념식과 교류회”를 연다. 추도식은 과거 형무소가 있던 후쿠오카 모모치니시공원(百道西公園)에서 거행하며 교류회는 모모치팔레스 3층 시청각실로 옮겨 진행할 예정이다. 교류회의 주제는 ‘내가 좋아하는 윤동주 시, 타인에게 권하고 싶은 윤동주 시’로 정했으며 각자 좋아하는 윤동주 시를 가지고 와서 낭독하는 시간으로 꾸며진다. <후쿠오카・윤동주 시를 읽는 모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기해년 돼지해가 어느덧 지나가고 있다. 이제 새해는 경자년 쥐해다. 한 해가 저물어 갈 무렵 일본에서는 오오소우지(대청소)를 하고 연말이면 도시코시소바(해넘이 국수)를 먹는다. 그런가 하면 집 대문에 시메카자리(금줄, 注連飾り)를 매달고 집이나 상가 앞에 카도마츠(소나무장식, 門松)를 세워 나쁜 잡귀를 물리치고 복을 기원한다. 시메카자리는 연말에 집 대문에 매다는 장식으로 짚을 꼬아 만든 줄에 흰 종이를 끼워 만드는데 요즈음은 편의점 따위에서 손쉽게 살 수 있다. 이러한 장식은 농사의 신(稻作信仰)을 받드는 의식에서 유래한 것인데 풍년을 기원하고 나쁜 액운을 멀리하려는 뜻으로 신도(神道)에서 나온 것이라는 설도 있고 한편으로는 일본의 나라신(國神)인 천조대신(天照大神)과 관련된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시메카자리는 12월 말에 대문에 내달고 지역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개 1월 7일 이후에 치우는 게 보통이다. 관서지방에서는 1월 15일에 치우고, 미에현(三重縣 伊勢志摩) 같은 지방에서는 1년 내내 장식하는 곳도 있는 등 곳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카도마츠”는 12월 13일에서 28일 사이에 집 앞이나 상가 앞에 세워두고 치우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위안부와 강제징용 문제를 둘러싼 위기 상황이 계속되는 일한관계, 모든 문제의 출발점인 1910년이 한일병합의 합법성, 유기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양국 정부의 인식에 커다란 간격이 있으며 대화를 저해하는 큰 요인을 이루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병합 실행 과정을 상세히 검증하고 일본정부의 주장이 오류임을 명백히 밝힌다.” 이는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81살) 도쿄대 명예교수가 지은 《한국병합 110년 후의 진실 – 조약에 의한 병합이라는 기만(韓国併合110年後の真実ー条約による併合という欺瞞)》이라는 책의 요점이다. 이 책은 일본 이와나미(岩波) 출판사에서 지난 12월 4일 출간된 따끈따끈한 책으로 와다하루키 교수는 이 책을 직접 가지고 지난 12월 10일 방한했다. 와다 하루키 교수는 12월 10일(화),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3.1운동 정신 확산 학술포럼- 3,1운동 정신과 동아시아 평화-> 학술포럼 참석차 한국을 방문하였으며 이 학술포럼은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위원장 한완상) 주최 행사였다. 이날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는, 우치다 마사토시 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