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일본인의 평균 결혼 비용은 얼마일까? 주식회사 리크루트 마케팅 파트너인 ‘젝시결혼트렌드’ 조사에 따르면(2018년 10월) 평균 357.5만 엔(한화 약 3,900만 원)으로 밝혀졌다. 이 금액은 결혼식, 피로연 파티를 모두 포함하는 금액이다. 그런데 이러한 결혼식 비용은 2012년 조사 때 보다는 13만 7천 엔(한화 149만 원)이 증가한 금액이다.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결혼 비용의 증가에 반비례하게 초대 손님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2012년에 견주면 평균 69명이 줄었다고 한다. 이에 대해 결혼식 관련 업계 소조(SoZo) 대표인 아츠미유리카 씨는 ‘드레스 비용과 음식’이 결혼 비용을 늘어나게 한 원인이라고 한다. “신부될 사람들이 SNS라든가 친구의 결혼식 등에서 결혼에 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좀 더 좋은 드레스라든가 좀 더 좋은 음식에 대한 기대감이 전체 비용을 늘어나게 하는 요소”라고 한다. 신랑될 사람도 드레스 비용이 비싸더라도 신부가 기뻐한다면 문제없다는 의식이 깔린데다가 피로연의 음식의 경우 음식이 너무 초라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싶지 않기에 가격이 올라가더라도 그쪽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 이하 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이동휘(1873.6.20.~1935.1.31.)선생을 2019년 7월의 독립운동가로 뽑았다. 1873년 6월 20일 함경남도 단천에서 빈농의 아들로 출생한 선생은 1904년 러일전쟁 발발 이후 일본의 침략이 가속화되자, 1905년 보창학교(普昌學校)를 설립하여 민족교육운동에 헌신하였다. 이후, 대중을 자각시켜 구국운동에 나서게 하기 위해 교육문화 활동을 펼치는 한편, 기독교야말로 쓰러져 가는 나라를 구할 수 있는 종교라는 신념에서 기독교 전도활동에 힘썼다. 선생은 서북학회(西北學會)와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의 지도자로서 구국운동을 펼쳤으며, 1911년 3월 안명근ㆍ양기탁사건에 연루되어 일제총감부에 체포되었고, 인천 앞 바다에 있는 무의도에서 1년 동안 유배생활을 해야 했다. 1912년 6월 유배에서 해제된 선생은 1913년 2월경 압록강을 건너 북간도로 탈출하였다. 선생은 북간도 한인자치기관인 간민회(墾民會)를 지도하는 한편, 북간도 각지를 순회하며 신교육 보급과 기독교전도활동을 계속하며 동포사회의 단결과 민족의식을 드높였다. 러일전쟁 10돌이 되는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침상에 오랫동안 누워계시는 오희옥 지사의 모습을 보니 눈물이 왈칵났어요. 이 무더위에 얼마나 답답하실까 하는 생각도 들었구요. 자녀분들도 노고가 크시다는 걸 병실에서 느꼈습니다. 어서 쾌차하시길 빕니다." 이는 어제(13일) 생존 애국지사인 오희옥 지사 병실을 찾은 마츠자키 에미코(松崎恵美子) 씨가 한 말이다. 마츠자키 씨는 ‘조선침략을 반성하는 모임’인 일본 도쿄 고려박물관 회원으로 이번에 특별히 오희옥 지사 병문안을 위해 방한했다. 일본 고려박물관은 지난 6월 말까지 ‘3.1독립운동 100년을 생각하며 – 동아시아 평화와 우리들(3.1独立運動100年を考える–東アジアの平和と私たち)-’를 기획하여 전시한 바 있다. 기자는 지난 6월 9일 학교도서관문화운동네트워크(이하 학도넷) 김경숙 대표 등과 함께 오희옥 지사를 병문안 한 이래로 1달 여 만에 다시 마츠자키 씨와 오희옥 지사 병실을 찾았다. “어머니는 주말마다 영양제 주사를 24시간 맞습니다. 식사를 못하시니까 이 영양제가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팔에는 혈관이 안 잡혀 다리에 주사를 꽂으시기에 휠체어를 타시려면 바지 입히는 일이 여간 힘든 게 아닙니다.” 오희옥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장마철이라지만 푹푹 찌는 된더위로 숨쉬기조차 힘들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 7월도 중순으로 들어서고 보니 이제 꼼짝없이 된더위의 한가운데로 들어서는 셈이다. 이러한 된더위에 일본인들은 안부편지인 “쇼츄미마이(暑中見舞い)”를 쓴다. 쇼츄미마이는 대개 엽서를 보내는데 엽서에는 파도치는 그림이라든가, 시원한 계곡 그림, 헤엄치는 금붕어 등이 그려져 있어 엽서를 받는 사람이 보기만 해도 시원한 느낌이 들게 배려한 것들이 많다. 그뿐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직접 안부를 묻고 싶은 사람 집에 찾아가기도 한다. “쇼츄미마이(暑中見舞い)”를 보내는 때는 보통 장마가 갠 뒤 소서(小暑)부터 대서(大暑) 사이에 많이 보내는데 반드시 이때를 고집하는 것은 아니다. 대체적으로 입추까지 보내면 무난하며 이때까지는 안부 편지 앞머리에 ‘맹서(猛暑, 된더위)’라는 말을 쓴다. 바쁜 일이 있어 이때 못 보내고 이 이후에 보내면 ‘잔서(殘暑, 한풀 꺾인 더위)’라는 말을 앞머리에 넣는다. 이것을 “잔쇼미마이(殘暑見舞い)”라고 한다. 그러고 보면 쇼츄미마이는 여름 된더위가 시작되어 끝나가는 날까지 보내는 풍습인 셈이다. 안부편지는 나름의 어여쁜 편지지를 골라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 누리집에는 공훈전자사료관(https://www.mpva.go.kr)을 두어 누구나 독립유공자의 공훈을 살펴볼 수 있게 해두었다. 이사료관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으로서 그간 정확하지 않은 자료라든지 한자어투, 사진 미비 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바 있고 많이 개선되어 기쁜 마음 그지없다. 하지만 여전히 정확한 자료제공이라는 면에서는 미흡한 점이 있어 이의 시정이 요구된다. 국가보훈처에서는 2019년 2월 26일치 <보도자료>에서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독립유공 포상자는 1949년 포상이 시작된 이래 건국훈장 10,965명, 건국포장 1,280명, 대통령표창 3,266명 등 총 15,511명(여성 432명)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실제 공훈전자사료관의 <독립유공자공훈록>에는 이 <보도자료>와 서훈자 숫자가 다르다. 여성독립운동가의 경우 2019년 2월 26일 현재 <보도자료>에서 432명이라고 밝혔으면서도 실제 <독립유공자공훈록>을 보면 430명의 이름만 나온다. 빠진 2명은 누구란 말인가! 국가보훈처에서 말하는432명 이름을 갖고 있지 않은 필자로서는 빠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교토의 3대 마츠리라고 하면 5월 15일의 아오이마츠리(葵祭), 7월 17일의 기온마츠리(祇園祭), 10월 22일의 지다이마츠리(時代祭)를 꼽는다. 오래된 순서를 꼽으라면 아오이마츠리 (567년), 기온마츠리(863년), 지다이마츠리(1895년) 순이지만 가장 화려하고 볼만하다는 평을 듣는 것은 기온마츠리(祇園祭)다. 기온마츠리의 유래는 전염병이 확산 되지 않도록 신에게 기도하는 의례에서 생겨났다. 지금부터 1,100여 년 전 교토에 전염병이 크게 번져 죽는 사람이 속출했는데 오늘날과 같은 전염병 대책이 없던 당시에는 전염병 발생을 신 곧 우두천왕(牛頭天王, 일명 스사노미코토)의 노여움으로 알았다. 그 노여움을 풀어주려고 기온사(祇園社, 현 야사카신사)에서 병마 퇴치를 위한 제사를 지냈는데 당시 66개의 행정구역을 상징하는 가마 66개를 만들어 역병(疫病)을 달래는 “어령회(御靈會)”를 지낸 데서부터 기온마츠리는 시작되었다. 흥미로운 것은 스사노미코토가 신라의 우두신이란 기록이 있다. 《교토 속의 조선(京都の中の朝鮮)》을 쓴 박종명 씨는 서기 656년 가라쿠니(韓國)의 대사 이리지사주(伊利之使主)가 일본에 건너올 때 신라국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무주구천동 계곡으로 유명한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에는 조선 후기 화단의 거장(巨匠)으로 이름을 떨친 최북미술관이 자리하고 있다. 무주 출신인 최북(1712-1786?)을 기념하여 세운 최북미술관은 순수비평문학의 선구자인 이곳 출신 김환태(1909-1944)문학관과 같은 기념관을 쓰고 있다. 붓으로 생업을 잇는다는 뜻의 호생관(毫生館)이란 호를 가진 최북(崔北)은 북(北)자를 나누어 칠칠(七七)이라고도 불렀다. 조선 후기 영ㆍ정조 시대에 활동한 대표적인 직업화가로 꽃과 풀, 새와 짐승, 바위, 고목, 메추라기와 호랑나비를 특히 잘 그려 최메추라기, 최산수(崔山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최북은 술을 좋아했으며 괴팍한 성격으로 숱한 기행과 일화를 간직한 화가이기도 하다. 순조 때 재상을 지낸 남공철(1760~1840)이 지은 《금릉집》의 최북 전기를 보면 최북은 주량이 하루 5~6되씩 되었으며 술을 마시고 취하면 광기와 호기를 부려 ‘주광화사’라고 불리기도 했다고 한다. 남공철 기록에는 “칠칠(최북)은 술을 좋아해 책 나부랭이 등을 모두 술값으로 주어 버려 살림이 어려웠다. 칠칠은 결국 평양과 동래로 떠돌아다니며 그림을 팔게 되었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앞줄임) 마음속 다짐에도 애상에 젖는 그 밤중 황톳물 소용돌이에 휩쓸려 할미와 네가 자꾸 떠내려가는 꿈 깨어나 시계보고 또 잠들어 꾸는 흉몽 흰옷 입은 내 몸에 무수히 달라붙는 검은 나비 떼에 놀라 몸서리치는 순간 일제히 하늘로 오르는 검은 리본 (뒷줄임) -허정분 ‘불길한 꿈’- 86개월(7년 여)이란 짧은 생을 살다가 간 손녀를 보살피던 할머니 시인은 늘 이처럼 불길한 꿈을 꾸었을지 모른다. 그 손녀를 하늘나라에보내고 할머니는 슬픔에 젖었다. “어여쁜 손녀가 하늘나라별이 되고 난 후 온 집안을 장악한 적막, 거실에 안방에 놀이방에 있어야 할 아이가 없는 공간에 피붙이들의 눈물과 회한이 자리 잡고 슬픔을 깔았다. 내애기, 내손녀, 어린 천사가 피우던 웃음꽃 울음꽃이 한순간에 사라졌다. 송아지 눈망울로 말문이 트여 책 읽는 소리가, 고사리 손의 그림들이 손녀와 함께 사라진 집에서 참척의 애달픔이 할미의 넋두리로 흩어지곤한다. ” 슬픔과 회한과 그리움 덩어리를 허정분 시인은 《아기별과 할미꽃》 (학이사.2019.5.5.)으로 승화해 내었다. 유진이 할미 허정분 시인은 노래한다. “그 절집에 너를 버리고 와서 텅 빈 집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빠알간 앵두의 계절이다. 하늘도 높고 푸르른 경북 상주 '푸른누리 마음닦는 마을'뒷뜰에는 지금앵두와 서양보리수가 한창이다. 새콤달콤한 맛이 바라다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도는 앵두와 서양보리수를 입술이 빨개지도록실컷 따먹어본다.푸른누리 뜰에는 서양보리수도 빨갛게 익었다. 이제 무더워지는 유월이다.덥지만 앵두처럼 빨갛고 정열적인 여름을 보내볼까? <상주 푸른누리 마음닦는 마을은?> ‘푸른누리 마음닦는 마을’은 속리산 국립공원 기슭, 산 높고 소나무 많아 공기 좋고, 물 맑은 물아이골에 자리 잡고 있다. 게다가 소나무와 흙과 왕겨숯과 흙벽돌로 지은 마음닦는 곳과 잘 곳, 부엌과 밥집이 잘 갖춰져서 마음닦으러 오면 혼자서 방을 쓰면서 말없이 오직 마음을 깨끗이 하는 데만 마음을 쏟을 수 있어 마음닦고 쉬기에는 안성맞춤인 곳이다. 거기다 꼼꼼하게 한걸음 걸음 이끌어 주는 스승이 있고, 날마다 저녁에는 빼어난 참말을 들려주어 마음닦는 이들을 잘 이끌어 주는 곳이다. * <푸른누리 마음닦는 마을> 경북 상주시 화북면 입석리 654(입석 5길 189-8) 전화 : 054-536-9820 , <다음 까페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회도서관이 변화를 꾀하고 있다. 어떻게 변하고자 하는 것일까? 그 답을 어제 (26일) 열린 행사에서 찾아보자. 어제 열린 행사는 “국회도서관 지식정보 SOC(Share, Open, Connect) 전략 선포식”을 기념하여 국회도서관 보존서고 최초 개방을 표방하며 ‘국회도서관 서고 어디까지 가봤니?’라는 이벤트 행사였다. 국회도서관에서는 보존서고 최초 개방에 참가할 일반인을 모집하여 어제 20명씩 두 차례에 걸쳐 보존 서고를 개방했다. 기자도 신청하여 공개 추첨에 당첨되어 오후 4시부터 보존서고 구경에 따라 나섰다. 이날 보존서고를 안내한 사람은 국회도서관 기록정책과 이미경 과장이었다. 일반에게 최초로 공개한 보존서고는 의정관 지하 1~3층 서고 가운데 4곳이었다. 4곳은 학위논문실, 정기간행물실, 서양서(西洋書)실과 수장고(收藏庫)였다. 현재 국회도서관 책은 이용자가 직접 책을 찾아 볼 수 있는 개가식(開架式)과 폐가식(閉架式)으로 운영되는데 어제 공개한 곳은 폐가식 서고였다. 국회도서관 누리집에서 자신이 읽고자 하는 책을 검색해보면 개가식으로 가서 직접 찾아야하는지 아니면 폐가식에 있는 책인지 알려준다. 이때 폐가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