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불암산 정상과 함께 본 석천암 전경 커다란 암벽에 새겨진 미륵불이 장관인, 석천암! 석천암(石泉庵)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산 97번지 불암산 자락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석천암 미륵불. 석천암의 중심 커다란 암벽에는 중생 구제의 염원을 가지신 미륵불이 몸을 나투고 계신다. 말법시대 중생들의 귀의처인 이 미륵불은 1966년 설봉스님이 조성하신 것으로 오늘날 석천암의 상징이 되고 있다. 봄이 싱그러운 석천암 신라 흥덕왕 때 지증국사가 창건했다고 하지만 정확한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1882년(고종 19)에 병역제도의 개편으로 오위제도가 해체되자, 오위장(五衛將) 이장군(李將軍)이 옛터에 암자를 짓고 수도하였다. 그 후 1902년에 거사(居士) 김한구(金漢九)가 낡은 건물을 수리하고 이곳에서 공부하였으며, 1956년에는 주지 창근(昶根)스님이 요사채를 중수하고, 1960년에는 법당을 세웠다. 아늑한 느낌의 석천암을 나무사이로 본다. 하지만 대웅전이 낡고 협소하여 수년전 중건하던 중 낙성을 보지 못하고 화재로 전소되어 신도들과 남양주시의 원력으로 어렵게 다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를한자로 표현하면 양수리가 됩니다. 두강이 만나는 곳에 물이 실어다 놓은 흙들이 쌓여서 비옥한 토지가 되었고, 또 강과 산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치를 이루고 있습니다. 겨우내 앙상한 가지들에도 새잎이 나고, 검은 무채색 나무와 연꽃밭에도 새잎이 나고보니푸른 강변이 생동감이 넘칩니다. 또마른 풀만 뜯어먹던 염소도 이제 막 돋아난 새잎을 먹고보니 염소도 입맛이 돋습니다. 서울 경기에서는 언제고 갈 수 있는 가까운 곳이지만, 교통체증이 심한 곳이니, 이른 시간에 다녀오면 붐비지도 않고 아름다운 풍경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잠시 머리도 식힐겸 다녀오시면 어떨런지 추천합니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봄부터 가을까지 꽃향기 물씬 풍기는 향원정! 봄에는 진달래 개나리 철쭉향기 풍기고 있다가 여름부터 가을까지는 연꽃향기 물씬 풍깁니다. 연꽃을 피우기 위하여 연잎도 이제 막 돋아나고 있는 향원정의 봄꽃향기 다 시들기전에 한 번쯤 가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방지네모로 방정한 연못) 안 원형의 섬위에 떠있는 향원정 물속에 비친 모습은 마치 용궁의 정원과도 같이 아름답습니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불혹의 포토클럽 회원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광화문 광장에 불밝힌 미륵사지 석탑모형등 애닯은 슬픔을 가진 모든 이들도 마음의 위로와 삶의 희망을 되찾길 빌어본다. 익산 미륵사는 백제 무왕이 용화산 밑 연못을 지날때 미륵불이 나타나자 왕비가 이곳의 못을 메워 큰 절을 직기를 소원하여 이룩한 사찰이다. 미륵사는 백제가 망한뒤 폐사기 되었으나, 근래 발굴해본 결과 세계에서 가장 큰 절이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폐사된뒤 절에남아있던 모든 건물은 자취를 감추었고절 중심에 높이 솟아있던 탑으로는 2기의 석탑과 1기의 목탑이 있었으나 목탑은 화재로 소실되고 석탑중서측에 있던 1기만이반쯤 남아 있었다. 이를 추정하여 다시금 세운 탑이 근래미륵사의 동측에 복원되었고, 이를 다시 모방하여 광화문 광장에 세웠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슬픔에 잠긴 모든 이들을 위하여... 책임을 다하지 못한 사람들의 과오들로 희생된 사람들이여 !!! 야속한 사람들 원한일랑 품지 마시고 부디 극락왕생 하소서!!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불혹의 포토클럽 회원
앞에서 길을 인도하는 거위 할아버지 할머니 병아리 주변으로는 엄마 아빠가 호위합니다. 할아버지 할머니 길을 인도 합니다. 병아리를 호위하는 가족 여유로운 나들이 할아버지 할머니가 다시 뒤를 따릅니다.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이른 봄에 고이 품었던 알들이 아기거위로 깨어나 봄나들이 합니다. 깨끗한 연못을 여유롭게 노니는 거위가족의 가족사랑이 정말로 평화롭습니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그린경제/얼레빗 =최우성 기자] 어처구니 없다는 말이 있다. 상상하지 못했던 일이 생긴 경우에 하는 말. 하지만 이외에도 '어처구니'라는 말은 맷돌의 손잡이를 이르는 말이기도 하고, 또 궁궐이나 성문 왕릉의 정자각등 권위 있는 건물 기와등에 조각으로 만든 흙으로 만들어 기와처럼 구워만든 조각상들을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기와집 내림마루의 등에는 건물의 권위에 따라 적게는 3개에서 많게는 11개의 잡상이 올라간다. 사진은 경복궁의 정문 광화문의 내림마루에 있는 어처구니(잡상)들이다. 잡상의 이름은 삼장법사,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 이구룡, 마상귀, 삼살보살 등으로 서유기의 주인공과 조연들이라는 점이 흥미롭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고요한 산사에도 고요를 깨는 작지만 큰 소리를 내는 '풍경(風磬)'이 있다. 추녀나 사래끝에 매달린 풍경은 산들바람에도 땡그렁 소리를 내며 고요한 공간에 풍파를 일으킨다. 풍경은 범종의 모양을 축소한 작은 종이나 범종과는 달리, 바람이 불면 바람을 맞아 흔들리도록 납작한 물고기를 풍경의 안쪽에매달아 놓았다.가볍고 납작한 물고기의 옆면으로 바람이 스치면 물고기는 여지없이 흔들리면서 정적을 깨는 소리를 내는 것이다. 그러면 왜 절의 처마 밑에는 풍경을 매달아 놓았을까? 그 연유는 여러 설이 있으나, 어떻든 스님은수행자로서의 본분을 잊지 말고 열심히 정진하여 성불할 때까지 수행을 게을리 하지 말라는 것이다. 물고기는 흐르는 물속에서 살기에 잠을 자지 않고 늘 깨어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늘잠자지 않고 깨어있는 물고기를 본받아 출가수행자는 이생에 성불을 목표로 정진하라는 의미가 들어있는 것이다. 이런 의미가 깊은 '풍경'이지만 막상 풍경을 주제로 작품을 구상하기는 녹녹치가 않았다. 산들바람에도 늘 흔들거리는 붕어가 그 바람을 견디지 못하고 떨어져 나간 경우도 많았고, 또 있다하더라도 주변의 산천과 절의 전각들과도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한국의 사찰 가운데는 계단이 설치된 곳은 많지 않다. 계단(戒壇)이란 불교에 입문한 스님들이 출가하면서 기초 수행을 마치고 스님으로서의 지켜야할 철저한 계율을 지켜서 스님으로서의 삶을 살겠다고 스승님들을 모시고동료스님들 앞에서 자신을 향해 맹세하는 곳이다. 그런데 그런 중요한 맹세를 아무곳에서나 할 수는 없는 것! 그래서 선택된 곳이 계단인 것이다. 한국에는 통도사 금강계단이 가장 유명하지만, 전북 김제 금산사에도 방등계단이 있다. 금산사는 백제 법왕 원년(서기 599년)에 창건한 절로 그 창건 연대만도 1,400년이 넘는 유서깊은 절일 뿐 아니라, 백제에서 융성했던 미륵신앙의 본거지이기도 하였다. 통일신라 경덕왕 때에는 진표율사가 금산사를 중창하여 참회도량으로 크게 융성시켰다고 한다. 미륵불이 지상에 온다면 바로 이곳이 미륵불의 하강지라는 미륵성지신앙이 깊은 이곳에는 국내 유일의 3층정각인 미륵전과 더불어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진 것으로 알려진 방등계단이 있다. 방등계단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셨기 때문에 그 앞에 지은 전각에는 부처님의 상이 없이 방등계단이 보이는 곳에 유리창을 설치하였다.부처님의 진신이 있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아름다운 봄꽃이 거울 같은연못에 잔잔하게 되비칩니다. 전남 화순의 세랑지에는 새벽 물안개가 피어 오르는 가운데 봄꽃이 투영되는 모습을 찍기 위해 전국의 사진가들이 몰려 들어 진을 치고 있습니다. 새벽 3시! 기자도 밤새 포토클럽 동호인들과달려 와 일찌감치 좋은 자리에 카메라를 세우고 물빛 속을 바라다보았습니다. 아직 어둠이 가라앉은 세랑지는 잠에서 깨지 않았지만 사진기를 앞에둔 사진애호가들은 숨소리를 죽이며 여명 가운데 하나 둘 연못 속에 피어날 봄꽃의 속삭임에 귀를 기울입니다. 세랑지의 봄꽃은 아스라이 피어오르는 아침 물안개와 어우러져야 제격입니다만 오늘은 아쉽게 물안개가 그 모습을 나타내주지 않눈군요. 아쉽지만 비가 내리지 않은 것만으로도 다행으로 여기며 렌즈 속에 세랑지를 담아봅니다. 대충 오늘 전국에서 모인 분들이 200여명은 족히 됨직합니다. 날이 밝은 아침까지 카메라 맨들은 오직 '걸작 한 점' 을 찍기 위해 그 물빛 속에 시선을 담근채 무아지경에 빠져있습니다. -전남 화순 세랑지에서-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