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18:00~21:00)에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큐레이터와의 대화’에서는 큐레이터의 해설과 함께 전시품을 관람할 수 있다. 성황리에 열리고 있는 두 개의 특별전과 한 개의 심화전, 그리고 상설전 전시품의 다양한 이야기를 큐레이터와의 대화로 만나볼 수 있다. 특별전 <삼국삼색-동아시아의 칠기> 큐레이터와의 대화는 매주 수요일 저녁 6시에 상설전시관 내 특별전시실에 마련되었다. 아시아 고유의 천연 칠인 ‘옻칠’공예의 아름다움을 해설과 함께 감상할 수 있다. 14~19세기에 제작된 삼국의 대표 칠기를 소개한다. 특별전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큐레이터와의 대화는 8월 둘째, 넷째 주 수요일 저녁 7시에 기획전시실에서 진행된다. 국내에서 처음 전시되는 미국 덴버박물관 소장품들을 만날 수 있으며, 북미 원주민의 다양한 문화와 세계관을 보여주는 전시품에 대한 생생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또한, 14일에는 제79주년 광복절 기념 심화전 <독립을 향한 꺼지지 않는 불씨, 나석주> 주제 큐레이터 대화가 대한제국실에서 진행된다. 특히 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울산광역시 남구에 있는 「울산 개운포 경상좌수영성(蔚山 開雲浦 慶尙左水營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한다. 「울산 개운포 경상좌수영성」은 조선 시대에 낙동강 동쪽의 경상도 행정구역을 일컫는 ‘경상좌도’ 수군의 총 지휘부(현재의 해군사령부)가 있던 경상좌도수군절도사영(이하 ‘경상좌수영’)의 성곽이다. 개운포는 입지상 동해안에서 외부 침입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조선 초기 태종대에 수군 만호진이 설치된 것을 시작으로, 세조 5년(1459년) 경상좌수영으로 개편되었다. 중종 5년(1510년)에 돌로 쌓은 석성이 축조되어 중종 39년(1544년)까지 경상좌수영성으로 사용되었다. 임진왜란 당시에는 의병활동의 배후지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 만호진 : 각 도 해안의 요충지에 파견된 무관인 ‘만호(萬戶)’를 지휘관으로 하는 진 개운포 수군이 부산으로 진을 옮긴 조선 후기에는 울산도호부 읍전선(邑戰船)의 정박처인 선소(船所)로 사용되는 등, 「울산 개운포 경상좌수영성」의 변천과정을 통해 조선시대 수군체제의 변화와 발전 과정을 살필 수 있어, 역사적, 학술적으로도 값어치가 높은 유적으로 평가된다. * 읍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오랫동안 마을과 관아에서 지역의 역사를 같이한 노거수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와 「부여 석성동헌 탱자나무」를 국가지정자연유산 천연기념물로 각각 지정 예고한다.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가 있는 군산시 옥서면 남쪽 끝자락의 하제마을은 원래 섬이었으나 1900년대 초부터 간척사업을 통해 육지화되고 군사시설 등이 들어서며, 팽나무를 돌보던 마을 주민들은 떠나고 팽나무만이 마을을 지키고 있는 곳이다. 하제마을 팽나무는 2020년 537(±50)살로 측정되어 생장추로 수령을 측정한 팽나무 가운데 가장 나이가 많으며, 나무높이 20m, 가슴높이둘레 7.5m로 규모도 크다. 또한 나무 밑둥으로부터 3m 높이에서 남북으로 갈라져 평야를 배경으로 하는 타원형의 수형이 아름다우며 생육상태도 우수하다. 과거 배를 묶어두던 기둥인 계선주(繫船柱)의 역할을 하며 조선 초기부터 마을 주민들의 안녕을 기원하던 하제마을 팽나무는 마을에 항구가 생기고 기차가 들어서며 번성하던 모습부터 마을 사람들이 하나둘 떠나며 사라져간 지금의 모습까지 모두 지켜보며 하제마을을 굳건히 지켜왔다는 점에서 뛰어난 역사적 값어치를 지녔다. 「부여 석성동헌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무형유산 ‘태평무’ 이명자(1942년생) 명예보유자가 노환으로 8월 3일 세상을 떴다. 빈소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장례식장 302호(02-923-4442)이며, 발인은 8. 6.(화), 장지는 서울시립승화원(동화경모공원)이다. 유족으로는 홍성수(아들)가 있다. 국가무형유산 ‘태평무’ 고 이명자(1942년생) 명예보유자의 주요경력은 1994년 태평무 전수교육조교(현 전승교육사)로 인정되었고, 1996년 예총 예술문화상 ‘공로상’과 1999년 예총 예술문화상 ‘대상’ 수상, 2013년 한국무용협회 무용예술가상을 받았다. 또 2019년 태평무 보유자로 인정됐고, 2024년 태평무 명예보유자로 인정받았다. ※ 국가무형유산 태평무(1988. 12. 1. 지정) ‘태평무(太平舞)’는 나라의 평안과 태평성대를 축원하는 내용을 담은 춤으로, 경기지역 무속에서 비롯된 춤과 음악을 바탕으로 고 한성준 등 예인(藝人)들이 예술적으로 재구성하여 전승되고 있다. 화려한 궁중 복식과 함께 현란한 발 디딤과 절제된 기교가 멋으로 꼽힌다. 1942년에 태어난 이명자 명예보유자는 1964년 고 강선영 보유자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한국의 아름다운 자연유산을 널리 알리기 위해 8월 5일부터 데브시스터즈(대표이사 조길현)와 ‘쿠키런’ 상표를 이용한 자연유산 원정대 운동을 시작한다. 운동은 동물ㆍ식물ㆍ지질ㆍ명승 4개 분야에서 한국을 대표할 만한 자연유산을 국민에게 묻는 설문조사(8.5.~8.31.)로 시작한다. 국민은 ▲ 수달과 반달가슴곰, 두루미 등의 동물 분야와 ▲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와 보은 속리 정이품송 등 식물 분야, ▲ 단양 고수동굴, 화성 뿔공룡 골격 화석 등의 지질 분야, ▲ 광한루원과 설악산 울산바위 등 명승 분야에서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유산들을 뽑으면 된다. 설문조사는 8월 5일부터 국민신문고 누리집 ‘국민생각함(https://www.epeople.go.kr/idea/index.npaid)’에 접속하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설문 참여자 100명에게는 추첨을 통해 커피 교환권을 준다. 국가유산청은 국민이 선호하는 자연유산들을 11월부터 서울 도심의 주요 전광판에 상영될 예정인 쿠키런 영상의 배경과 소재로 활용할 예정이며, 2025년부터는 쿠키런 협력 상품과 서비스로도 개발할 계획이다. 참고로, 국가유산청과 데브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이재필)는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최영창)과 8월 5일부터 9월 8일까지 ‘고궁 속 아름다운 한복 이야기’를 주제로 한 사진 공모전을 연다. ‘고궁 속 아름다운 한복 이야기’ 사진 공모전은 오는 10월 열리는 「2024년 제10회 가을 궁중문화축전」(10.9.~10.13.)의 하나로, 고궁에 관한 관심을 환기하고 우리 한복의 아름다움을 알리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공모전은 대한민국 국민이거나 국내에 사는 외국인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최근 1년 이내에 4대궁(경복궁, 창덕궁, 덕수궁, 창경궁)과 종묘에서 한복을 입고 찍은 인물 사진을 제출하면 된다. 공모 기간은 오는 5일부터 9월 8일까지이며, 공모전 누리집(www.한복이야기사진공모.com)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1인당 출품할 수 있는 작품 수는 많아도 2점이다. 자세한 사항은 궁능유적본부 누리집(royal.khs.go.kr) 또는 궁중문화축전 누리집(kh.or.kr/fest)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공모전 누리집은 8월 5일부터 접속 가능 제출된 작품에 대해서는 1, 2차 심사를 통해 모두 50개의 작품을 뽑으여 상장과 상품을 준다. ▲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복온공주가 홍장삼과 대대(福溫公主家 紅長衫과 大帶)」를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하였다. 「복온공주가 홍장삼과 대대」는 조선 제23대 왕 순조(純祖)의 딸인 복온공주(福溫公主, 1818~1832)의 혼례복에서 유래한 유물로, 홍장삼은 앞과 뒤를 정교하고 아름다운 자수로 장식한 예복이고, 대대는 홍장삼을 입을 때 가슴 부분에 두르는 폭이 좁고 긴 장식띠이다. 조선 왕실에서 홍장삼은 후궁과 공주ㆍ옹주(翁主), 왕자 부인이 혼례복으로 입었다. 복온공주는 1818년(순조18) 순조와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의 둘째 딸로 태어나 1830년(순조30) 4월 창녕위(昌寧尉) 김병주(金炳疇, 1819~1853)와 가례(嘉禮)를 올렸다. 복온공주 가례의 준비 내용과 진행 절차 등을 기록한 《복온공주가례등록(福溫公主嘉禮謄錄)》에서 공주의 혼례용 예복으로 홍장삼을 준비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복온공주는 불과 2년 뒤인 1832년 세상을 떠났으나, 홍장삼은 김병주의 후손들에게 전해졌으며 섭성(攝盛) 풍속에 따라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집안의 혼례복으로 쓰였다. * 가례(嘉禮): 경사스러운 예식 또는 왕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경복궁관리소(소장 조규형)는 8월 24일과 25일 이틀 동안 경복궁 흥복전(서울 종로구)에서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4년 「경복궁 청소년 문화학교」를 운영한다. 「경복궁 청소년 문화학교」는 1989년부터 ‘고궁 청소년문화학교’라는 이름으로 운영되어 온 궁궐 활용 프로그램으로, 올해부터는 경복궁에 특화된 체험형 교육 행사로 새롭게 운영된다. 참가 학생들은 경복궁 흥복전에서 진행되는 이론강의를 시작으로, 궁내 곳곳을 누비는 현장답사, 만들기 체험과 문제 맞히기(퀴즈) 대회 등으로 구성된 체험활동에 참여하며 경복궁의 역사ㆍ문화적 값어치를 체감할 수 있다. 올해는 초등 3~4학년과 5~6학년을 위한 두 개의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3~4학년을 위한 ‘경복궁에서 찾는 조상의 슬기’에서는 역사와 과학을 접목하여 궁궐 건축에 담긴 과학적 원리를 기와ㆍ온돌 등을 통해 살펴볼 예정이며, 5~6학년 대상의 ‘경복궁에서 찾는 수학 이야기’에서는 경회루 돌기둥과 자경전 담장 등을 통해 궁궐 건축에 담긴 수학적 원리를 배워보는 시간을 갖는다. 행사는 8월 24일과 25일 아침 9시 30분부터 낮 11시 30분까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최영창)과 8월 전국 각지에서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와 <전승자 주관 기획행사>를 연다.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는 무형유산의 대중화를 위해 전승자들이 직접 자신의 기량을 공개하는 행사로, 8월에는 모두 12개의 종목이 준비된다. 국립국악원(서울 서초구)에서는 ▲「악기장」(8.8.) 보유자 3인이 기량을 뽐내며 직접 제작한 우리 전통악기들을 다양하게 선보이는 연합 공개행사가 열린다. 또한, 무더위에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줄 전통음악 공연들이 펼쳐지는데, 민속극장 풍류(서울 강남구)에서는 ▲「가야금산조 및 병창」(8.17.), ▲「판소리」(8.29.) 예능공연이 준비되어 한여름을 즐겁게 보낼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할 것이다. 경남 창원시에서는 시조시(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에 곡을 붙여서 관현악 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우리나라 전통음악인 ▲「가곡」(8.8. / 국가무형유산 가곡전수관) 공연이, 경남 고성군에서는 ▲「고성오광대」(8.15.~8.17. / 고성군 문화체육센터 등) 60주년 기념행사가 열리며, 경남 밀양시에서는 상민과 천민들의 한이 익살스럽게 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는 2024 파리올림픽 개최 기간(7.26.~8.12.) 중인 7월 25일부터 8월 11일까지(현지 기준) 18일 동안 프랑스 파리의 ‘메종 드 라 쉬미(Maison de la Chimie)’에서 운영되는 ‘코리아하우스’에서 ‘화협옹주 도자에디션’을 전 세계에 선보인다. * 코리아하우스: 올림픽 기간 중 선수단 지원 및 스포츠 외교 등을 도모하고 한국의 음악과 드라마, 음식, 미용(뷰티), 전통문화 등 문화콘텐츠를 전시하여 우리 문화의 홍보를 위해 운영되는 공간 앞서 한국전통문화대학교와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용재), 코스맥스그룹(회장 이경수)은 지난 2020년 9월 첫 업무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화협옹주 묘에서 출토된 유물분석과 문헌조사를 통해 전통 재료의 성분을 복원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화장품(‘화협옹주 고운 손크림’, ‘연지립밤’, 연고 형태의 얼굴 보습제 ‘연지고’, 얼굴 마사지 도구(괄사) ‘미안자기’)을 개발했으며, 당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이정용 교수 연구팀과 코스맥스그룹 디자인 R&I이 조선시대 왕실의 화장품 용기인 청화백자를 바탕으로 전통 도자기 용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