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날마다 걸어 오는 길에서 어제까지 못 본 봉숭아꽃을 보았습니다. 어제도 피어서 그 자리에 있었지만 제 눈에 띄지 않았었는데 오늘은 제 눈에 들어왔다고 해야 맞을 것 같습니다. 그렇게 같은 자리에 씨앗이 떨어져 싹을 틔워 자라서 꽃을 피울 때까지 제 눈에 띄지 않다가 비로소 눈에 띈 것은 예쁜 꽃때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떤 것은 하얗고 또 어떤 것은 붉은 빛깔을 입고 있었지요. 제가 하고 있는 토박이말 살리는 일도 곧 꽃을 피워 많은 분들의 마음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더욱 애를 써야겠습니다. 오늘 알려드릴 토박이말은 '해껏'입니다. 둘레 사람한테 '해껏'이라는 말을 아느냐고 물으니 처음 듣는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무슨 뜻 같으냐고 물었더니 뭔지 모르지만 가벼운 것과 관련이 있을 것 같다고 했습니다. 왜냐하면 제가 사는 고장 사투리로 '가볍다'를 '해껍다'라고 하는데 '해껍다'는 말이 떠올라서 그렇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하늘에 떠 있는 '해'와 아랑곳한 말이라고 했더니 잘 모르겠다고 했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신지요? "오늘 하루 종일 일만 했어." "너 하루 종일 그것 밖에 못 했어?" 우리가 살면서 '하루 종일'이라는 말을 자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오는 7월 16일(수) 낮 1시 30분부터 특별전 《일본미술, 네 가지 시선》(전시기간: 2025. 6. 17.~8. 10.) 연계 강연회를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연다. 한일 국교 정상화 60돌을 기려 일본 도쿄국립박물관과 공동 주최하는 특별전 《일본미술, 네 가지 시선》은 꾸밈, 절제, 감동, 유희 네 가지 시선으로 일본미술에 담긴 다채로운 아름다움을 음미할 수 있는 전시다. 이번 강연회는 전시에서 소개하는 일본미술 특유의 미의식과 주요 전시품을 더 깊게 이해하고 즐기는 기회가 될 것이다. 강연은 모두 4가지 주제로 마련했다. 첫 번째 강연은 “간결(簡潔)-와비차를 다시 보다”라는 제목으로, 도자사 연구자인 미카사 게이코(三笠景子) 도쿄국립박물관 동양실장이 일본의 다도와 ‘와비차(侘茶)’ 개념을 설명한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거칠고 투박한 질감의 다도 도구와 일본의 간소한 다도를 일컫는 ‘와비차’의 관계를 짚어볼 예정이다[도1, 2]. 두 번째 강연은 “<마키에 다듬이질무늬 벼루 상자>의 장식에 담긴 ‘아와레(あはれ)’”라는 주제로 일본 궁정 문화와 칠기 전문가인 이노쿠마 가네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7월 11일 아침 10시 ICC호텔 크리스탈볼룸(대전 유성구)에서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10돌을 맞이하여 그동안의 보존ㆍ관리 성과와 앞으로의 과제를 심도 있게 살펴보는 <백제, 10년의 여정> 학술대회를 연다. 「백제역사유적지구」는 공주의 공산성, 무령왕릉과 왕릉원, 부여의 관북리 유적과 부소산성, 정림사지, 나성, 왕릉원, 익산의 미륵사지와 왕궁리 유적까지 8개 유적으로 구성된 문화유산으로, 지난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1개의 기조연설과 5개의 주제발표, 종합토론으로 진행된다. 먼저, 초대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 준비단’ 단장을 역임하고 「백제왕도 핵심유적복원·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했던 배병선 전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장이 기조강연을 맡아, 당시 ‘검이불우 화이불치(儉而不隅 華而不侈)’의 정신으로 보존 관련 기본계획(마스터플랜)을 수립했던 과정과 진솔한 소회를 들려줄 예정이다. * 검이불우 화이불치(儉而不隅 華而不侈): 검소하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나 사치롭지 않다 <삼국사지 백제본기 온조왕 15년조 기사> 주제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