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단종실록》 4권, 단종 즉위년(1452년) 11월 28일 기록에 보면 “춘추관에서 《고려사》를 인쇄할 것을 청하니 그대로 따르다.”란 내용이 보입니다. 《고려사》는 조선전기 문신 김종서ㆍ정인지ㆍ이선제 등이 세종의 명으로 고려시대 전반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여 문종 원년에 펴낸 기전체의 역사서지요. 여기서 기전체란 역사적 인물의 전기를 중심으로 기술하는 체제를 말합니다. 태조에서 공양왕까지 32명 임금의 연대기인 세가 46권, 천문지에서 형법지까지 10조목의 지 39권, 연표 2권, 1,008명의 열전 50권, 목록 2권을 합해 모두 139권 75책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고려사》를 펴낸 목적은 조선이 고려의 역사를 정리함으로써 새 왕조의 정통성을 확보하고자 했으며, 고려 말기의 부패와 멸망의 필연성을 강조하는 관점이 반영되었지만, 사료 선택의 엄정성과 객관적 서술 태도는 유지되었습니다. 특히 그 편찬 체재가 기전체였으므로 반복되는 기사도 모두 실을 수 있었으며, 그 당시에 구할 수 있는 자료를 빠뜨리지 않고 거의 모두 수록했는데 인물 평가에도 객관적인 서술로 고쳐서 썼으며, 한 개인에 대한 칭찬과 비판의 자료가 있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물때지식」을 국가무형유산 새 종목으로 지정 예고한다. 「물때지식」은 밀물과 썰물로 발생하는 바닷물의 주기적인 변화를 인식하는 전통적 지식체계로, 지구에 대한 해와 달의 인력 때문에 발생하는 조수간만(潮水干滿)에 따라 변화하는 조류의 일정한 주기를 역법(曆法)화 한 것이 대표적이다. 물때의 지식체계는 자연환경을 관찰하고 경험하며 축적한 전통 지식과 지구와 달의 관계를 역법으로 표현하는 천문 지식이 결합한 것으로, 어민들의 생계수단인 어업활동뿐 아니라 염전과 간척, 노두(路頭)* 이용, 뱃고사* 등 해안 지역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지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 노두: 섬과 섬 사이 갯벌에 돌을 깔아 두 지역을 연결하는 일종의 다리 * 뱃고사: 바다에서 배를 부리는 사람이 항해의 안전과 풍어를 빌며 지내는 제사 하루 단위의 밀물과 썰물에 관한 내용은 《고려사》에 등장하고, 보름 주기의 물때 명칭이 《태종실록》에 기록되어 있어, 조선시대 이전부터 15일 주기의 물때 순환체계를 인식하여 이용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조선 후기에는 강경포구의 조석 현상을 바위에 새겨 기록하거나, 실학자인 신경준이 「조석일삭진퇴성쇠지도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직무대리 황성운)은 우리 전통음악의 기억을 기록으로 담은 《국립국악원 구술총서 의 스물여덟 번째 도서인 국가무형유산 종묘제례악 명예보유자 이상룡 명인 편》을 펴냈다. 국립국악원 발간 구술총서는 국악 원로와 명인들의 생애와 전승 경험을 직접 기록해 우리 음악의 흐름과 역사적 값어치를 체계적으로 보존하고자 2009년부터 추진해 온 사업이다. 올해 펴낸 제28집은 지난 국악원 구술총서에 담지 못했던 대금분야 인물을 뽑고 대금정악과 종묘제례악 전승과 교육사를 담았다. 이상룡 명인은 1956년 국악사양성소 제2기생으로 입소해 서울대학교와 연세대학교에서 수학하고 1969년부터 40여 년 동안 국악사양성소와 국립국악고등학교, 단국대학교에서 국악 교육에 헌신한 국악 교육자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07년에는 홍조근정훈장과 2015년에는 KBS 국악대상 국악 교육자상을 받았다. 면담과 채록 연구는 용인대학교 정소희 교수가 맡았다. 발간 도서에는 이상룡 선생의 유년 시절 국악 입문 계기, 국악사양성소에서의 학창시절, 국악 교육자로서의 교육철학, 대금정악과 종묘제례악 전승ㆍ보존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다. 올해는 특별히 국악방송과 협업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