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제강점기 격렬했던 수원 지역 저항의 역사는 100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도 구도심 곳곳에 남아 있다. 총칼 앞에서도 독립을 향한 굳게 의지를 지켰던 의인들은 사라졌지만, 그 흔적은 근대 건축물과 공간에 그대로 새겨져 있다. 광복 80돌을 맞아 수원지역 독립운동의 길을 더듬어 볼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다. 수원시가 만든 근대 인문기행 가운데 대한독립의 길을 따라 걸어보는 것이다. 모두 4.5㎞가량을 둘러보는 데 넉넉하게 3시간가량이 소요되니 더위가 시작되기 전에 수원의 독립운동 핵심지와 독립운동가의 숨결이 머물렀던 공간들을 돌아보길 추천한다. 만세운동을 기억하며, 연무대~방화수류정 독립의 길 코스의 시작은 ‘연무대’다. 지금의 평온한 모습과 달리 100여 년 전 이곳 연무대에는 독립을 염원하는 민초의 함성이 울려 퍼졌다. 수원 장날이었던 1919년 3월16일 일본의 침탈로 핍박받던 상인을 중심으로 모인 수백 명의 수원사람이 창룡문 안 연무대부터 만세를 외치며 팔달문과 종로 방향으로 번져 나갔다. 연무대는 정조대왕의 친위대인 장용영 군사들이 무예를 연마하던 훈련장으로 사용된 넓은 공간으로, 푸른 잔디밭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사시사철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5월 6일부터 오는 5월 15일까지 서울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에서는 연극 <시추>가 무대에 오른다. 연극 <시추>가 2022년 초연 이후 3년 만에 대학로로 돌아왔다. 극단 문지방의 첫 번째 [6개월 프로젝트] 과정을 통해 탄생한 연극 <시추>는 밀양공연예술축제, 서울미래연극제, 부산국제연극제 등 다수의 연극제에 초청되었고 평단의 호평과 수상이라는 쾌거를 이룬 극단 문지방의 대표작이다. 연극 <시추>는 2030세대의 젊은 연극인들의 끈끈한 팀워크와 연극에 대한 진지한 열정으로 만들어졌으며 동시대 한국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결핍에 대한 고찰과 사유를 날카롭게 나열한다. 연극 <시추>는 한국에 터 잡고 살던 사람들이 남극이라는 국적 불문의 세계로 떠났으나, 사람들의 뼛속 깊이 여전히 잔존하고 발현되는 한국식 열등감에 주목한다. 남극이라는 극한의 기후 속에서 서로를 의지하지 않으면 살아나올 수 없는 극지연구소라는 제한된 공간 안에서도 여전히 드러나는 한국인 월동대원들의 심리적 변화를 통해, 관객들은 오늘날 우리를 절망의 심연으로 이끄는 것이 무엇인지 '시추'하고 다시 반추해 보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유니세프 한국위원회(회장 정갑영)는 광진구 능동 서울어린이대공원(원장 손성일)에 ‘유니세프 맘껏정원’을 새롭게 조성했다고 밝혔다. 이번 ‘유니세프 맘껏정원’은 앞서 2017년 서울어린이대공원에 개장한 ‘맘껏놀이터’에 이어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와 서울어린이대공원이 협업한 두 번째 공간으로, 어린이들이 맘껏 뛰놀고 꿈꾸며 건강하게 성장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기획됐다. 유니세프 광장, 빛의 정원, 바닥 놀이터를 비롯해 마음건강 허브존, 유니세프 물류센터를 표현한 기차마을 등을 통해 어린이들이 자연스럽게 나와 친구의 권리를 체험할 수 있도록 나눔, 휴식, 놀이의 공간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개장일인 5일 어린이날에는 얼굴 그림그리기(페이스 페인팅), 풍선 잔치, 숨겨진 유니세프 구호품을 찾는 ‘긴급구호 탐험대’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돼 어린이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미진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은 “’유니세프 맘껏정원’은 놀이와 나눔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라며 “전 세계 모든 어린이의 꿈과 희망을 응원하는 ‘유니세프 맘껏정원’에서 많은 어린이가 즐겁고 뜻깊은 시간을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