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6월 26일 낮 2시 정부대전청사 회의실(3동 204호)에서 <제2회 당산나무 할아버지 전국대회> 행사를 연다. 문화재청이 지난해부터 시작한 ‘당산나무 할아버지 제도’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 인근에 있는 자연유산의 상태를 상시로 점검하고, 자연유산과 관련 있는 민속행사를 열 때 임무를 맡는 등 자연유산 보존ㆍ관리ㆍ활용에 앞장서 활동하는 마을 대표에게 명예 활동 자격을 주는 제도로, 자연유산 마을공동체 활성화 방안의 하나이다. * 당산나무(堂山나무): 마을 지킴이로서 신이 깃들어 있다고 여겨 모셔지는 신격화된 나무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마을의 자연물을 신성하게 여기어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 당산신ㆍ성황신 등에게 마을의 평안과 번영을 비는 지역공동체적 의례가 전해 내려왔다. 이러한 자연과 인간의 소통방식은 자연유산을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효율적인 장치로 작용하기 때문에 자연유산의 최일선을 담당하는 당산나무 할아버지들의 역할이 의미가 있고, 중요하다. 행사는 당산나무 할아버지 활동지침서 소개, 2022년부터 시행 중인 자연유산 민속행사 상시점검 우수사례 발표, 새롭게 활동하게 되는 20명의 당산나무 할아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산북동 공룡발자국 화석 산지, 선유도 망주봉, 말도 습곡구조 등 군산 내 우수한 지질자원이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됐다. 군산시에 따르면 국가지질공원은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한 곳으로 이를 보전하고 교육ㆍ관광 등에 활용하기 위해 환경부 장관이 인증한 곳이다. 이번 인증은 지난 7일부터 13일까지 서면으로 열린 제28차 환경부 지질공원위원회에서 고군산군도의 국가지질공원 인증(안)이 최종 의결됐다. 이번 신규 인증으로 전북서해안권, 진안ㆍ무주에 이어 도내에 3번째 국가지질공원이 탄생했으며, 국가지질공원은 전국 13곳에서 15곳으로 늘어났다. 이번 인증으로 군산시는 환경부로부터 연간 약 1억 원, 전라북도로부터 약 5천만 원의 운영비를 지원받게 된다. 고군산군도 국가지질공원은 자연이 만들어낸 수려한 자연경관을 간직한 도서형 지질공원으로 전체 면적은 113.01km2(도서 및 해역 68.4, 육상 44.61)이며, 지질명소 10곳이 분포돼 있다. 군산시 관계자는 "앞으로 고군산군도 국가지질공원 운영을 활성화하고, 전라북도와 협의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적극 추진해 세계적인 명소로 발돋움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전라남도 강진군에 있는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康津 白蓮寺 大雄寶殿)」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하였다. 강진 백련사는 고려말 원묘국사 요세(1163~1245)의 결사처(結社處 : 불교의 혁신운동)로써 조선시대에도 많은 승려가 수행했던 절이며, 주불전인 대웅보전은 1760년 화재 이후 1762년에 중수한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의 단층 건물이다. 대웅보전은 공포의 형식과 초각 등 세부기법이 화려하고, 기둥 상부의 용머리 조각, 천장 상부의 용머리 장식 등은 해학적이고 섬세하게 표현되었다. 실내를 채운 여러 마리의 용과 봉황 장식 등은 18세기 이후 불전 건축이 장식화되는 특징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서 역사적인 값어치가 있다. * 공포(栱包): 전통목조건축에서 처마의 무게를 받치기 위해 기둥 상부에 짜 맞추어 올린 부재 * 초각(草刻): 건축부재에 다양한 무늬를 새겨서 장식하는 것 또한 대웅보전 중수 기록인 《만덕산백련사대법당중수기》와 절 기록인 《만덕사지》 등을 통해서 대웅보전의 중수 배경과 불사에 참여한 장인의 계보와 교류를 확인할 수 있어서 불교사와 건축사를 고찰할 수 있는 학술적인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안형순)은 6월 22일 낮 1시 국립무형유산원(전북 전주시) 원장실에서 ‘2023년 국립무형유산원 무형유산 자료 기증식’을 연다. 이번에 기증된 자료는 고(故) 김봉룡 나전장 보유자, 고(故) 김소희 판소리 보유자, 고(故) 성계옥 진주검무 보유자의 유품과 이흥구 학연화대합설무 보유자의 소장자료 등 모두 592건이다. 고 김봉룡(金奉龍, 1902~1994)은 평생을 나전공예에 바친 장인으로, 그가 생전에 직접 그린 나전 도안(圖案)이 이번에 다수 기증되었다. 도안은 나전작품을 만들 때 설계도 역할을 하는 밑그림으로, 꽃당초무늬 도안을 비롯해 십장생무늬, 산수무늬, 문자무늬 도안 등이 있다. * 나전공예 : 조개껍데기를 오려서 만든 자개로 칠기의 표면을 꾸미는 전통공예 판소리 <춘향가> 보유자였던 고 김소희(金素姬, 본명 김순옥, 1917~1995)와 관련해서는 소리 입문 시절인 1930년대에 음반 취입을 마치고 스승들과 찍은 사진, 여성국극단 시절 사진, 명창으로 활발히 활동하던 때에 취입한 판소리 음반과 국악계에서 받은 각종 상장과 상패, 훈장 등 소리꾼으로서의 일생 전반을 보여주는 자료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지역주민과 함께 6월 22일 아침 10시 향일암 일출광장(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에서 「여수 금오산 향일암 일원」의 자연유산 명승 지정 기림행사를 연다. 「여수 금오산 향일암 일원」은 남해 수평선 위로 뜨겁게 솟아오르는 아름다운 해돋이 경관과 하늘과 맞닿은 봉황산(금오산의 모산) 지평선, 수려한 해상경관을 볼 수 있는 자연 조망지로 널리 알려진 곳이다. 거북이(금오산 지형)가 경전(향일암)을 등에 짊어지고 남해 용궁으로 들어가는 지형적 형상과 기암절벽 사이의 울창한 동백나무숲, 불교 건축물 등이 서로 조화를 이뤄 아름다운 경관이 형성된 곳으로의 자연유산적 값어치를 인정받아 지난해 12월 20일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행사는 ▲ 전통 민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공연 ‘민요 메들리’를 시작으로 ▲ ‘여수 금오산 향일암 일원’ 소개영상 상영, ▲ 국가지정문화재 관리단체 지정서 교부, ▲ 여수 금오산 향일암 일원 명승 지정경과와 보존ㆍ활용 보고(여수시) 등으로 진행된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조선시대 구국의 영웅 충무공 이순신의 숭고한 행적이 서려 있는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이던 「이순신 장도(李舜臣 長刀)」를 국보로 지정 예고하고, 옥로(갓 위를 장식하는 옥공예품)와 요대(허리띠), 잔과 받침으로 구성되어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이순신 유물 일괄」에는 요대(腰帶) 보관 원형 나무함인 「요대함(腰帶函)」까지 추가시켜 지정 예고한다. 또한, 「이순신 유물 일괄」에 포함된 ‘잔과 받침’ 유물은 ‘도배구대’라는 이름에서 ‘복숭아모양 잔과 받침’으로 이름을 변경 예고한다. 「이순신 장도」는 이번에 국보로 따로 지정 예고됨에 따라 보물 「이순신 유물 일괄」 구성에서는 빠지게 됐다. 국보로 지정 예고된 「이순신 장도」는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이순신 유물 일괄」에 포함되었던 칼로, 길이가 약 2m에 달하며 크기와 형태가 거의 같은 한 쌍(두 자루, 2병)이 각각 칼집을 갖추고 있다. * 규격 - 장도1: 칼몸 196.8cm, 칼날 137.3cm, 칼자루 59.5cm, 무게 4.32kg - 장도2: 칼몸 197.2cm, 칼날 137.8cm, 칼자루 59.4cm, 무게 4.20kg - 칼집1: 칼집 길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익산 미륵산성은 미륵사터의 뒤에 있는 미륵산(해발 430.2m) 꼭대기와 동쪽 비탈을 감싼 포곡식산성으로 북쪽으로 낭산산성, 남동쪽으로 선인봉산성, 당치산성 등이 바라보이고 동쪽으로는 용화산성과 천호산성으로 연결되어 넓은 범위의 조망이 가능한 방어의 요충지라 할 수 있다. * 포곡식산성(包谷式山城): 산 꼭대기에서 계곡을 포함하고 내려온 능선부에 성벽을 축조한 산성 미륵산성에 대한 발굴조사는 1990년을 시작으로 모두 3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남북국시대 이후로 추정되는 동문터, 남문터, 옹성, 치성, 건물터 등이 확인되었지만 백제시대 유구는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백제시대 토기 조각은 다수 출토되었는데, 이번 발굴조사 지역인 미륵산성 꼭대기(장군봉) 아래 평탄지에서도 기존 백제시대 지명인 ‘금마저(金馬渚)’가 쓰인 기와를 거둔 적이 있어 백제시대와 관련된 유적을 추가로 파악할 수 있는 지점으로 추정하고 있다. * 옹성(甕城): 성문 앞에 축조된 항아리 모양의 시설물로서 적이 직접 성문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목적으로 설치한 것 * 치성(雉城): 성벽 일부를 돌출시켜 적의 접근을 조기에 관찰하고 성벽에 접근한 적을 정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문화유산의 과학적 보존처리 및 분석, 박물관 환경 분야 전문 등재학술지 《박물관 보존과학》 제29집을 펴냈다. 이번 학술지에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의 바탕직물과 채색 분석’, ‘고려시대 대혜보각선사서의 보존처리 및 과학적 조사’ 등 모두 9편의 논문이 수록되었다. 특히, 2010년 보물로 지정된 《대혜보각선사서(송나라 선종 승려 대혜종고가 주고받은 편지글)》는 1387년에 제작된 고려시대 서책으로, 전체적인 열화로 인해 보존처리가 필요한 상태였다. 보존처리 과정에서 한지의 종류, 섬유 식별, 장황 등 서지학적 특징까지 연구할 수 있었으며 당대 서책 제작의 정보도 확인하였다.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소조보살상을 보존과학자와 고고학자가 공동 연구한 ‘CT 조사를 통한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소조보살상의 제작 기법과 재료적 특성 연구’를 비롯해 미디어 파사드 상영 광원의 영향에 관하여 조사한‘광원에 의한 경천사지 십층석탑 복원재 변화도 측정 조사 연구’, 회화 채색 재료와 내부 채색 여부를 규명한 ‘테라헤르츠 이미징을 이용한 금속 성분 회화 재료 진단 연구’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적용한 논문들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이 주최하고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이 주관하는 「제4회 2023년 세계유산축전」이 오는 7월부터 10월까지 백제역사유적지구(공주․부여․익산), 순천, 수원, 제주에서 열린다. 4회차를 맞는 올해에는 지난 2021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오른 자연유산 ‘한국의 갯벌(순천갯벌)’이 처음으로 축전에 참여하게 되며, 4곳의 축전들이 각각의 세계유산 값어치를 담은 특색 있는 프로그램으로 방문객들을 맞을 예정이다. * 2023년 세계유산축전-백제역사유적지구(공주․부여․익산) : 7.7.~7.23.(17일간) * 2023년 세계유산축전-선암사․순천갯벌 : 8. 1.~8. 31.(31일간) * 2023년 세계유산축전-수원화성 : 9. 23.~10. 14. (22일간) * 2023년 세계유산축전-제주 : 10.3.~10.8. (6일간) 세계유산축전은 국내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찾아오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공연, 체험, 전시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해당 유산의 값어치와 의미를 전달하고 즐길 수 있는 행사로, 참여 지자체는 해마다 공모를 통해 뽑고 있다. 축전을 처음 시작한 2020년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9개 서원과 경북(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종묘 신실에 봉안되어 전승된 「조선왕조 어보ㆍ어책ㆍ교명(御寶ㆍ御冊ㆍ敎命)」을 비롯해 「근묵(槿墨)」, 「아미타여래구존도(阿彌陀如來九尊圖)」, 「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順天 桐華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등 서첩 및 조선시대 불화, 불상 등 모두 4건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하였다. 보물 「조선왕조 어보ㆍ어책ㆍ교명」은 조선이 건국한 1392년부터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년 이후 일제에 강제로 병합된 1910년까지 조선왕조의 의례에 사용된 인장과 문서다. 어보ㆍ어책ㆍ교명은 해당 인물 생전에는 궁궐에 보관하였고, 죽은 뒤에는 신주와 함께 종묘에 모셔져 관리되었다. 어보란 임금ㆍ왕세자ㆍ왕세제ㆍ왕세손과 그 배우자를 해당 지위에 임명하는 책봉 때나 임금ㆍ왕비ㆍ상왕(上王)ㆍ왕대비ㆍ대왕대비 등에게 존호(尊號), 시호(諡號), 묘호(廟號), 휘호(徽號) 등을 올릴 때 제작한 의례용 도장이며, 어책은 어보와 함께 내려지는 것으로 의례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의미,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신분과 재질에 따라 어보는 금보(金寶)ㆍ옥보(玉寶)ㆍ은인(銀印) 등으로, 어책은 옥책(玉冊)ㆍ죽책(竹冊)ㆍ금책(金冊)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