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정성조)는 오는 21일 ‘서울 의릉’의 역사와 값어치를 담은 공간인 ‘서울 의릉 역사문화관(서울 성북구)’을 새로 개관한다. 의릉은 조선 20대 임금 경종(재위 1720~1724)과 그의 두 번째 왕비 선의왕후 어씨(1705~1730)의 능이다. 1724년 경종의 능이 먼저 조성되고 6년 뒤 선의왕후가 돌아가시자 바로 아래쪽으로 능이 조성되었다. 이런 동원상하릉(同原上下陵) 형태는 조선왕릉 42기 가운데 의릉을 비롯해 효종(재위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1619~1674)를 모신 영릉(寧陵, 경기도 여주 소재)에서만 나타나는 특색이다. * 동원상하릉: 같은 언덕에 위아래로 능을 조성한 것 의릉은 1961년 능역 안에 중앙정보부가 들어오면서 상당부분이 훼손되었다. 1995년 국가안전기획부(구 중앙정보부, 현 국가정보원)가 서초동으로 옮겨가며, 2003년부터 훼손되었던 대부분을 복원해 현재 상태에 이르렀다. 중앙정보부 청사는 헐렸지만, 1972년 남북 분단 이후 첫 합의인 「7・4 남북공동성명」이 발표된 강당은 역사적 상징성과 건축적 값어치를 인정받아 2004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안형순)은 무형유산의 값어치를 담은 문화행사 두 개를 이달부터 시작한다. 먼저, 6월 20일부터 8월 20일까지 국립무형유산원(전라북도 전주시) 상설전시실에서는 2023년 상설주제전 「만정(晩汀) 김소희의 소리 길」을 연다. 우리 소리의 대중화와 국악 교육의 제도화에 이바지한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춘향가 초대 보유자 고(故) 만정 김소희(1917~1995)의 업적을 기리는 전시로, 특히 올해는 1964년에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판소리가 200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지 20돌을 맞은 의미도 있다. * 고(故) 만정 김소희: 한국민속예술학원 설립(1955)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으며, 김소희 창악전수소 설립(1971), 한국국악협회 이사장(1994)을 역임하며 판소리 발전과 보존에 이바지 ▲ 김소희가 판소리에 입문해서 자신만의 판소리를 창조해가는 과정을 만화(카툰)와 동작 그래픽(모션 그래픽)으로 소개하는 ‘배움의 소리’, ▲ ‘하늘이 낸 소리’라 불리는 김소희의 공연 활동과 보유자 인정서, 훈장 등의 전시품을 볼 수 있는 ‘체득의 소리’, ▲ 제자들이 기억하고, 계승해오고 있는 스승 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원상운 고분군이 있는 완주군 용진읍 상운리 일대는 상운리 유적을 비롯한 다수의 유적이 밀집하고 있어 전북 마한문화를 밝힐 수 있는 만경강유역권의 핵심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구소는 지난해 원상운 고분군의 모두 8기 고분 가운데 가장 중심에 있는 3호 고분에 대한 첫 발굴조사를 진행했고, 올해는 그 남쪽 일대 고분을 대상으로 두 번째 정밀 발굴조사를 하였다. * 완주 상운리 유적 : 30기의 분구묘(墳丘墓)와 163기의 매장시설 등이 발견된 원삼국 시대∼삼국 시대 대규모 유적으로, 철기와 단야구(鍛冶具) 등 다량 출토(전북대 박물관, 2003~2006년) 이번 조사 결과 애초 8기로 알려져 있던 고분군에서 9호 고분의 존재를 추가로 확인하였으며, 3기(4호, 6호, 9호) 고분의 축조 방식과 성격도 확인하였다. 고분은 낮은 분구(墳丘, 약 8×7m)를 만들고 가장자리에 도랑형태 시설인 주구(周溝, 너비 약 2.5m)를 두른 전형적인 마한 분구묘 구조다. 분구는 흙으로 쌓아 올린 위쪽 부분이 대부분 유실되어 10~30㎝ 정도만 남아 있었으며 고분의 중심부에 목관 1기가 자리하고, 주구 내부에 목관이 추가 매장된 형태이다. 이 가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6월 15일 아침 10시 30분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 이하 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환수한 고려 사경(寫經)《묘법연화경 권제6(妙法蓮華經 卷第6)》을 언론에 공개한다. ※ 묘법연화경 권제6(妙法蓮華經 卷第6) - 14세기 제작 추정 / 감지에 금·은니 필사 크기: (접었을 때) 세로 27.6㎝ × 가로 9.5㎝ / (펼쳤을 때) 가로 1,070㎝ / (두께) 1.65㎝ 《묘법연화경 권제6》은 감색(紺色) 종이에 경전의 내용을 금ㆍ은니(金ㆍ銀泥)로 필사하여 절첩본(折帖本)으로 만든 고려 사경(寫經)으로, 지난해 6월 소장자가 재단에 매도 의사를 밝히면서 처음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후 문화재청의 행정지원과 수차례에 걸친 재단의 면밀한 조사와 협상을 거쳐 올해 3월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 금ㆍ은니(金ㆍ銀泥): 금 또는 은가루를 아교풀에 개어 만든 물감 * 절첩본(折帖本): 병풍처럼 접는 식으로 만들어진 책의 형태 사경(寫經)은 불교 경전을 옮겨 적은 경전을 뜻하는데, 본래 불교 교리를 전파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나 점차 발원(發願)을 통해 공덕(功德)을 쌓는 방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갑오군정실기》와 「민영환 서구식 군복」 및 「칠곡 매원마을」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하고, 「호열자병예방주의서」를 등록 예고하였다. 국가등록문화재 《갑오군정실기》는 1894년 동학농민군 토벌을 위해 설치된 양호도순무영(兩湖都巡撫營)의 관련 공문서를 모아 작성한 필사본으로서, 그동안 알려지지 않던 동학농민군 참여자 명단과 활동 내용이 새롭게 확인되는 등 학술자료로서의 값어치를 인정받은 사료다. 1895년 초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10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난 2011년 일본 궁내청으로부터 환수받은 조선왕조의궤 등이 포함된 150종 1,205책 가운데 이토 히로부미가 대출 형식으로 일본에 반출한 66종 938책 가운데 하나며, 지금은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소장 중이다. * 순무영: 변란이나 외적의 침입을 물리치기 위해 임시로 설치하여 운영했던 군영 * 양호도순무영: 국왕 경호를 맡는 호위청과 경군(京軍, 조선시대의 중앙군) 병영인 장위영ㆍ용호영 등을 망라하여 구성하고 각 감사 및 군현 관아의 지방관 등을 지휘 * 필사본: 인쇄에 의하지 않고 손으로 글을 써서 만든 책 고려대학교(서울 성북구)에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조망할 수 있어 경관적 값어치가 높은 자연유산인 「연천 재인폭포」를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 예고했다. 「연천 재인폭포」는 용암이 식으면서 생긴 원형의 검은 현무암 주상절리와 절벽 아래 떨어지는 시원한 물줄기, 협곡을 지나 한탄강으로 이르는 지형이 조화되어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곳이다. 특히 재인폭포라는 명칭은 줄을 타는 광대 재인(才人)과 부인의 사랑 이야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해져 흥미를 자아낸다. * 재인(才人): 재주가 있는 사람. 고려·조선시대에 재주를 넘는 등 광대 일을 하던 사람 재인폭포는 빼어난 경관뿐만 아니라 신생대에 용암이 굳어져 생성된 현무암이 침식되어 만들어진 주상절리, 하식애(河蝕崖,) 등 다양한 지질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는 학술적 값어치를 인정받아 지난 2020년 유네스코 한탄강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됐다. 또한 땅바닥이 패여 물이 고인 곳을 일컫는 폭포의 소(沼)에는 천연기념물 어름치, 멸종위기 야생생물 돌상어 등이 살고 그 주변으로 수리부엉이, 수달, 산양 등 다양한 천연기념물이 지속 관찰되는 등 생태적으로도 값어치가 높은 자연유산으로 평가된다. *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전라북도(도지사 김관영)ㆍ군산시(시장 강임준)ㆍ한국농어촌공사(사장 이병호)와 함께 6월 13일 낮 1시 30분 전라북도청에서 「국립 수중고고학 교육훈련센터(가칭, 이하 교육훈련센터)」 건립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는다. 이번 협약은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성배)가 수중고고학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비응도동에 건립을 추진 중인 교육훈련센터에 대한 상호 협력과 업무 협조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 교육훈련센터 건립 예비타당성조사 통과와 건립할 터 매입을 위한 협력, ▲ 교육훈련센터 건립을 위한 협의 체계 구축 등이다. 군산시는 조운로와 대중국 교역의 거점으로 비안도ㆍ십이동파도ㆍ야미도 해역 등에서 고려시대 배 1척을 비롯하여 유물 15,000여 점이 발굴된 곳이지만, 유물을 전문적으로 전시할 수 있는 시설이 없어 목포에 있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유물을 전시ㆍ보관하는 실정이다. 앞으로 군산에 교육훈련센터가 건립되면 수중고고학 전문인력 교육ㆍ훈련, 수중문화유산 보존ㆍ탐사 기술 개발, 각종 전시ㆍ체험 등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복합문화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신협중앙회(회장 김윤식, 이하 신협)와 함께 6월 12일 낮 2시 신협중앙연수원 대강당(대전 유성구)에서 전통문화의 계승을 위한 ‘국가무형유산 전승활동지원 후원약정식’을 진행한다. 문화재청은 지난 2020년 11월 신협과 ‘문화재지킴이 협약’을 통해 처음 인연을 맺은 뒤 협약에 따라 ▲ 2021년에는 궁궐ㆍ왕릉에 전통전주한지를 활용한 창호지 6,700장(1억)을, 전국 70곳의 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에는 코로나 방역을 위한 무인체온기 등(1억 5천만 원)을 지원하였고, ▲ 지난해 9월에는 한지장 등 국가무형유산 6개 종목의 공방 등 전승공간 개선을 위해 내부 단장, 방음시설 확충, 음향기기 교체 등을 비롯한 각종 보수작업 비용을 종목당 2천만 원(상한)까지 지원하였다. * 한지장(괴산), 한산모시짜기(서천), 선자장(전주), 소목장(완주), 칠장(포천), 강릉단오제(강릉) 올해에도 국가무형유산 전승취약종목의 안정적인 전승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추가로 국가무형유산 전승자들 34명을 뽑아 6억 5천만 원의 후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 지원 대상 : 악기장, 조각장, 소목장, 궁시장 등 기능 17종목 + 발탈, 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경주박물관(관장 함순섭)은 오는 7월 16일(일)까지 특별전시관에서 「천마, 다시 만나다」를 열고 있다. 이번 전시는 천마총 발굴 50돌 기념사업의 하나로 기획하였으며 문화재청, 신라왕경핵심유적복원정비사업추진단, 경주시, 경상북도가 협력하여 다양한 사업을 진행한다. 천마총 발굴 50돌 기림 천마총 발굴은 신라 능묘를 정비하고 내부를 볼 수 있는 관광지로 꾸미고자 하는 계획에서 출발하였다. 원래 문화재청은 가장 큰 98호 무덤을 조사하여 내부를 공개할 계획이었지만, 당시 한국고고학계의 수준으로는 커다란 무덤을 발굴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98호 무덤보다 작은 155호 무덤을 조사하며 돌무지덧널무덤의 구조를 파악하고자 했다. 하지만 1973년 발굴조사에 착수한 155호 무덤에서는 금관보다 더 귀한 유물이 확인되었다. 신라의 유일한 회화자료라 할 수 있는 천마그림 말다래가 확인되어 전 국민의 관심을 받았다. 또 천마그림 말다래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 문화재 보존과학도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새롭게 바라보는 천마총의 황금유물 이번 전시는 프롤로그 ‘하늘을 나는 천마의 이름을 얻다’, 1부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다’, 2부 ‘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는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과 6월 9일 낮 11시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나라 밖 소재 문화유산 보존ㆍ보호 및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상호 협력 기반을 마련하고자 업무협약을 맺는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전통문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설립한 국내 유일의 특수 목적 국립대학으로, 이론과 실무 능력을 겸비한 문화유산 보존ㆍ관리 인재를 육성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2012년 설립 이래로 나라 밖 소재 한국문화유산에 대한 조사, 환수, 활용, 보존복원 지원, 민간 협력 등의 사업들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주요 협약 내용은 나라 밖 소재 문화유산과 관련한 ▲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상호 협력 및 지원, ▲ 보존ㆍ보호 등에 관한 연구 성과 공유 및 교류, ▲ 조사ㆍ환수ㆍ현지 활용 등을 위한 인적 교류와 협력 등이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두 기관은 나라 밖 소재 문화유산 보존ㆍ보호 관련 공동 학술대회 개최, 재학생 대상 전문가 특강 진행,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의 각종 사업에 한국전통문화대학교ㆍ대학원의 전문인력 참여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ㆍ발굴해나갈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