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마츠리의 나라 일본, 365일 전국의 어느 곳에서인가 마츠리가 열리지 않는 날이 없을 정도로 마츠리가 많은 나라에서 코로나19 타격은 크다. 교토의 3대 마츠리라고 하면 5월 15일의 아오이마츠리, 7월 16일의 기온마츠리, 10월 22일의 시대마츠리를 꼽는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마츠리 행사를 중지한다는 일본 당국의 발표가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5월 15일은 스승의 날이지만 일본의 교토에서는 아오이마츠리 날로 코로나19가 아니었다면 일본 전역에서 마츠리를 보러 교토로 몰렸을 텐데 지난해와 올핸 사정이 다르다. 아쉽지만 아오이마츠리(葵祭)의 유래라도 살펴보자. 가모마츠리(賀茂祭)라고도 불리는 아오이마츠리는 《가모신사유래기》에 따르면 6세기 무렵, 긴메이왕 시절에 일본 전역에 풍수해가 심각하여 점쟁이에게 점을 쳤는데 가모대신(賀茂大神)이 노한 것으로 나와 그 노여움을 풀기 위한 제례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라 한다. 노여움을 풀기 위한 수단으로 제주(祭主)는 튼튼한 말을 골라 방울을 잔뜩 달고 기수 얼굴에 동물 가면을 씌워 가모신사 주변을 돌면서 성대한 제례의식(마츠리)을 행한다. 아오이마츠리 뿐만 아니라 일본의 마츠리는 대부분이 고대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가사 음악의 노랫말과 지은이, 실려있는 악보를 소개하고, 1920년대 이후 하규일과 임기준이 아악부 악생들에게 전해 주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그들에게 배운 이병성, 이주환, 김기수, 홍원기 등은 국립국악원이나 국악학교 학생들을 지도해 오면서 전승이 이루어졌다는 이야기, 가사 음악만을 공개적으로 발표하는 기회는 그리 흔치 않은 가운데, 1981년 세종문화회관에서 정농악회 회원들이 12가사 가운데 6곡을 공개발표 하였다는 이야기도 했다. 이번 주에는 가사음악의 연창형태를 비롯하여 장단, 반주형태, 확산의 문제에 관한 이야기를 이어가기로 한다. 가사는 부르는 사람이 직접 장단을 치면서 혼자 부르거나, 또는 반주자의 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형태이다. 가락이 복잡하고 창법상의 특성으로 인해 여럿이 함께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가사의 장단 형태는 6박형 느린 도드리장단이 대부분이다. 예외로 <상사별곡>이나 <양양가>, <처사가> 등은 5박형 장단으로 부르며 <매화타령>은 빠른 6박형, <권주가>는 일정한 장단형 없이 노래에 따라 조절함으로 가사창의 장단형은 노래에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불축제’라고는 했지만 사실 활활 태우고 남은 장작더미 위를 맨발로 걷는 행사로 이 축제가 의미하는 내용보다 외형만을 볼 때 화상을 입지 않을까 아찔한 생각이 든다. 타다 남은 장작더미 위를 맨발로 걸어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처음에는 뜨거울 줄 알았는데, 불 위를 걸어보니 전혀 뜨겁지 않았습니다. 코로나19를 뛰어넘어 건강하게 공부를 열심히 하고 싶습니다.” -초등학생 4학년(남), 참여자-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 코로나19가 끝나기를 기원하여 불 위를 걸었습니다. 내일부터 새로운 각오로 일상에 임하고 싶습니다.” -50대 여성 참여자- 이른바 <불 위를 걸어 악귀를 쫓는 축제(柴燈護摩火渡り修行, 이하 줄여서 ’불축제‘)>는 해마다 4월 29일, 야마나시현 고슈시(山梨県 甲州市)에 있는 호코지(放光寺)에서 하는 축제(마츠리)다. 이 절에선 해마다 불축제를 해왔지만, 지난해는 코로나19로 중단되었고 올해는 인원수를 줄여 소규모로 실시했다. 불축제는 1미터 남짓한 높이의 '호마단(護摩壇)'에 호마목(護摩木)을 쌓아 불을 붙인 뒤 불길이 잡히기를 기다려 타고 남은 장작더미 사이에 2미터쯤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미추홀 정가원>이 평소 어린 학생들이나 어머니반 회원들에게 시조와 민요를 중심으로 하는 공연이나 강좌를 열어왔다는 이야기, 지난겨울 “렉쳐 콘서트 시리즈 1, ‘박금례의 정인가담(情人歌談)’을 기획, 코로나 정국에서도 가사, 평시조, 지름시조, 송서(誦書), 경기좌창과 민요, 전통무용을 중심으로 하는 비대면 공연으로 성공을 거두었다는 이야기, 평균수명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여성들의 중년기가 길어지고, 갈등과 스트레스, 우울감 등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정가원에서는 전통음악과 무용을 선택해 왔기에 이곳은 학교의 기능을 지닌 동네의 배움터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지난주에 언급한 바 있던 수양산가, 곧 가사(歌詞)음악에 관한 이야기를 소개하였는데, 독자들의 질문과 소개의 요청이 있어 이에 관한 이야기를 해 보기로 한다. 가사(歌詞)란 가곡, 시조와 함께 정가에 속해 있는 노래이다. 그러나 그 노랫말의 형태는 구별된다. 가곡이나 시조는 초장, 중장, 종장의 3장 형식을 취하고 있는 시조(時調) 시(詩)를 노랫말로 하지만, 가사는 비교적 장가(長歌)에 속하는 노랫말을 취하는 성악이다. 그런데 가사의 노랫말은 작자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미녀는 ‘남자의 앞길에 해로운 존재’라는 말이 예로부터 전해오고 있는데 그도 그럴 만하다. 이마카와 우네메(今川采女)라는 사람은 태어난 에치고(越後, 현재의 니가타현)에서 도리에 어긋나는 일을 거듭하다 결국 사람을 죽이고 도망자의 신세가 되었다. 그나마 일가(一家)가 없는 것이 다행한 일이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최근 2년 남짓 정을 나누던 여자가 있었는데 이 여자가 이 무렵 이별을 슬퍼해 “어디든 함께 데려가 주세요”라며 소맷자락을 잡고 매달렸다. 여자가 워낙 절실히 원했기 때문에 할 수 없이 여자를 데리고 두 사람은 지역의 경계인 검문소를 피해 도망쳐 간신히 위험한 에치고를 벗어나 시나노(信濃, 현재의 나가노현) 길로 들어섰다.“ 이는 에도시대의 인기작가 이하라 사이카쿠(井原西鶴, 1642~1693)가 지은 《사이카쿠의 여러 지방이야기(西鶴諸国ばなし)》 제5권 제4화의 첫 대목이다. 살던 고향에서 간신히 도망친 부부(정식 부부는 아니지만 편의상)는 밤이 되어서야 낯선 동네로 들어서게 된다. 그러나 생판 모르는 동네에서 하룻밤을 지내는 일이 쉽지 않다. 그 마을에 숙박을 할 수 있는 집이 몇 집 있었으나 부부가 워낙 늦게 마을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박금례 원장이 시조창, 경기 민요, 송서와 율창, 전통춤을 하나로 아우르는 소통의 장으로 정가원을 세웠다고 이야기하였다. 그는 묵계월을 위시하여 여러 명인 명창에게 노래와 춤을 배웠는데, 특히 이동규의 정가는 그의 부친 이병성의 노래를 기본으로 하고, 그 위에 이주환 명인의 가락을 이어받은 국립국악원 정통의 가곡이어서 정가원 회원들이 부르고 있는 정가는 정통의 소리제라는 점을 이야기하였다. 박 원장은 인천시 부평구에 <미추홀 정가원>을 세우고, 시청이나 구청에서 지원하는 마을 공통체 사업이라든가, 또는 인천문화재단에서 지원하는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오고 있다. 특히 마을 공통체 사업의 하나로 시조와 민요를 중심으로 하는 “소리 밥상”이라고 하는 프로그램은 마을 주민들을 위한 봉사적 성격을 띠고 있는 공연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지역의 유치원이나 초등학생들에게 시조나 민요 강좌를 꾸준히 열어 오면서 활성화를 꾀하여 왔고, 어머니 회원들의 경우는 그들 가슴속에 잠재된 여인의 아름다움을 끌어내는 동기를 제공해 줌으로 해서 더더욱 정가원 공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를 만들어 왔다는 것이다. 작년 겨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센병과 조선인> 연구회 팀 이끔이(팀리더)로 전체를 아우르던 와타나베 마사에(渡辺 正恵) 씨가 1월 13일(2021) 세상을 뜨셨습니다. 삼가 명복을 빕니다.” 이는 며칠 전 일본의 고려박물관에서 보내온 제59호(2021.3.1.) 회보를 읽다가 와타나베 씨의 죽음을 알리는 부고 내용이었다. 아니! 와타나베 씨가 세상을 뜨다니? 너무나 놀라운 소식에 일본의 지인(松崎恵美子)에게 전화를 걸었다. 그는 와타나베 씨의 죽음에 대해, “저희도 매우 놀라서 아직도 믿을 수가 없습니다. 지난해(2020) 11월 28일, 고려박물관 총회에서 ‘한센병과 조선인’ 관련 보고를 할 때만 해도 건강했었는데…. 이후 12월에 병원에 입원했다가 올 1월 13일에 세상을 떴다는 이야기를 가족에게서 들었습니다.”라고 전했다. 내가 와타나베 씨를 만난 것은 2019년 여름 도쿄에 갔을 때로 그때 와타나베 씨는 ‘2020년 한센병(나병) 전시 준비’로 분주했었고 우리는 그와 관련된 이야기를 정겹게 나눴다. 그리고 와타나베 씨는 지난해(2020) 8월 16일 <한센병과 조선인> 전시와 관련된 누리편지를 보내왔다. 이윤옥 님! 더위와 코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인천 부평구 소재의 <미추홀 정가원>이야기를 하였다. 그곳은 나를 살리는 공간이며, 자기를 찾아가는 길목이라는 의미를 짚어보았다. 정가는 마치 우리가 매일 먹고 마시는 <밥>이나 <물>에 비교될 수 있다는 이야기, 음(音)은 사람의 마음으로부터 나오며, 사람의 마음이 움직이는 것은 세상만물에 느껴 그렇게 된다는 이야기, 나의 기분은 상대의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자주 만나는 사람들끼리의 언행은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우리의 마음은 수시로 변한다. 내 마음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요인은 스스로가 아닌, 또 다른 대상의 영향을 받기에 변화하는 것이다. 내 마음이 좋은 상태로 변화하를 바란다면 주위의 좋은 사람들과 진심이 담긴 대화를 나누고, 마음을 나누어야 할 필요가 있다. 내가 그러한 상대를 바라고 원하는 것처럼, 상대도 나와 꼭 같은 대상을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서로 좋은 감정을 유지하며 함께 살아갈 대상을 기다리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인천 정가원>을 찾는 회원들이나 국악 애호가들이 인간 본연의 선(善)한 감정을 되살리는 공간이기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은 24절기의 여섯째로 봄비[雨]가 내려 백곡[穀]을 기름지게 한다는 <곡우(穀雨)>입니다. 이 무렵부터 못자리를 마련하는 일부터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작되지요. 그래서 “곡우에 모든 곡물이 잠을 깬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 “곡우에 비가 오면 농사에 좋지 않다.”,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 같은 농사와 관련한 다양한 속담이 전합니다. 그리고 이때가 되면 햇차가 나오는데 《조선왕조실록》에 다례라는 말이 무려 2,062번이나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엔 차를 즐겼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당시는 녹차(綠茶)라 부르지 않고 차(茶) 또는 참새 혀와 닮은 찻잎으로 만들었다는 뜻으로 작설차(雀舌茶)라고 불렀습니다. 녹차는 우리가 일본에 전해준 뒤 오랫동안 일본에 뿌리내려 그쪽 기후와 땅에 맞는 품종으로 바뀐 것이며, 이를 가공하는 방법도 다릅니다. 녹차는 원래 찻잎을 쪄서 가공하는 찐차이고, 우리 차는 무쇠솥에 불을 때면서 손으로 비비듯이 가공하는 덖음차입니다. 그래서 차맛에 민감한 이들은 녹차와 우리 전통차의 맛이 다르다고 하며, 색깔도 다릅니다. 또 한 가지 더 알아야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수명이 길어지다 보니 어느 나라던 노후의 삶에 관한 관심이 크다. 초장수 국가로 알려진 일본도 노후 걱정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심심찮게 언론 보도에서 이를 다루고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4월 11일 치, ‘LIFE & MONEY’에 따르면 노후자금으로 1억 엔(한화 10억 2,869만 원)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 근거로 노부부 2명의 생활비를 매달 25만 엔(한화 257만 1,725원)으로 잡으면 연간 300만 엔(한화 3,086만 700 원)이 든다는 것이다. 이는 연간 비용이며 만일 남편이 60살에 정년퇴직하여 92살까지 살면 9600만 엔(한화 9억7,725만 5,500원)이 들며 여기에 400만 엔은 장례 등에 필요하므로 이를 더하면 1억 엔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계산은 92살 정도까지 산다고 가정할 때의 이야기로 이 나이를 훌쩍 넘어 100살 이상까지 살지 말란 법도 없고 더욱이 나이가 들면 들수록 의료비 등이 늘어나므로 나이 들수록 돈이 더욱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이렇게 써놓고 보니까 독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고 생각했는지 ‘LIFE & MONEY’는 다시 말한다.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