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불청객 화분증을 잡아라 한겨울이 지나고 봄철이 다가오면 일본 열도는 화분증(花粉症, 가훈쇼)으로 몸살을 앓는다. 일본인의 25% 곧 4명 중 1명이 화분증을 앓는다고 하는 일종의 알레르기성 비염증상을 보이는 화분증은 작년 여름 이상 고온현상으로 올해는 환자가 작년에 견주어 10배나 늘어 날 것이라고 한다. 화분증이란 공기 중에 날아다니는 식물의 꽃가루가 코나 눈 점막을 자극하여 재채기나 콧물, 코막힘, 눈병 등을 일으키는 일종의 질병이다. 화분증을 일으키는 식물은 60여종으로 알려져 있고, 주로 봄철에 화분증을 일으키는 식물로는 삼나무(스기)가 가장 큰 원인이지만 노송나무, 국화꽃의 하나인 부타쿠사(豚草), 소나무, 쑥 등도 화분증을 일으키는 식물이다. 한국의 황사철이 되면 각 매스컴에서 황사 소식을 앞 다투어 보도하고 마스크가 불티나게 팔리듯이 일본의 화분증 계절이 되면 신문, TV 등에서는 화분증 대책으로 분주하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화분증을 일으키는 나무를 모두 베어 버리면 되겠지만 현실적으로 그렇게 할 수 없다 보니 뾰족한 수는 없나 보다. 그래도 그들
살아야 한다면 조선민중과 함께 살리라 -일본인 변호사 후세다츠지의 삶- “부산발 경성행 열차 안에서 일본인들이 무조건 조선인을 하대(下待)하는 것을 보았다. 기차가 지나가는 역 주변에 있는 근사한 조선가옥은 정말 조선인들을 위한 가옥일까? 경성에 2,3층으로 양옥집들이 들어서고 있지만 과연 그것들이 조선인의 삶과 관계가 있을까?” 1923년 8월 3일자 동아일보 新人의 朝鮮印象에서 일본인 변호사 후세다츠지(布施辰治;1890-1953)는 그렇게 조선의 인상을 쓰고 있다. 그 무렵 한다하는 일본인들의 조선방문기에는 경치가 좋으니 평양기생이 예쁘다느니 하고 변죽을 울리는데 반해 후세 변호사의 조선 첫인상은 다르다. 경성행 열차 안에서 까닭 없이 조선인을 얕잡아 보던 일본인을 목격하면서 그는 식민지 지배국 사람들의 거친 횡포를 피부로 느꼈을 것이다. 그는 그런 사람이었다. 그러고도 남을 사람이었다. 내가 후세다츠지를 만난 것은 이십 여 년 전 도쿄 진보쵸의 헌 책방에서였다. 어느 변호사의 생애, 후세다츠지, 이와나미출판, 1963라는 한 권의 일본어판 책을 읽은 이후 나는
이윤옥 한점 불빛도 없이 개는 소리만 요란한 좁고 더러운 조선인 구역 지나 어두운 밤길을 인력거가 여관방을 향해 달린다 나는 무엇이 좋아 동경의 화려한 네온을 뒤로 하고 조선 땅에 와 있는가 도서관도 없고 강연회도 변변한 음악회도 없는 땅 메이지 40년(1907) 봄 3월 더럽고 누추한 경성에 온 것을 후회하는 총독부어용신문 사장 야마가타 이소오 동양척식회사 땅 3정보 공짜로 빌려 8년간 사과 농사지을 땐 한몫 잡자는 뜻이었겠지 조선인이여! 조선과수사업을 번창케한 구즈미의 공적을 잊지마라 이 달콤한 사과 향기 조선은 깊이 그리고 길이길이 기억하라 외치지만 그 과수 주렁주렁 열리면 조선인 주려했나? 조선의 과수사업을 번창케 한 구즈미를 조선인은 꼭 기억해야 한다고 글을 쓴 야마가타 이소오(山懸五十雄)(1869~1959)는 시가현(滋賀縣) 출신으로 동경제국대학영문과를 중퇴한 엘리트. 형 (山縣悌三郞)이 만들던 소년원(少年園) 잡지 편집에 관여하다가 나중에는 소년문고(少年文庫), 만조보(万朝報)등의 영문담당 기자를 거쳐 경성의 총독부 어용신문인 서울프레스(ソウルプレス) 사장에 취임한다. 이 시절 '경성에는 기생과 끼고 노는 요릿집 외엔 갈 곳이 없다.'고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