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서울, 경기지방의 민요 <이별가>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다. 자유스런 장단위에 간결한 가락, 시김새를 넣어 느리게 부르고 있다는 점, 노랫말은 “이별이야 이별이야, 임과 날과 이별이야”처럼 짧으며 앞귀(句), 뒷귀 각 8 글자를 기본으로 넘나든다는 점, 예전에 바다 건너 중국을 가는 사람들을 전송할 때에 마치 이별가조와 같은 배떠나기를 불렀다는 점, “닻 들자, 배 떠나니 이제 가면 언제 오나. 만경창파에 가는 듯 돌아오소”라는 노랫말에서 ‘달 뜨자 배 떠나니’로 부르는 사람도 있는데. 이것은 전혀 의미가 맞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지금 속풀이에서는 이별가, 곧 정든 사람과 헤어지게 되면서 부르는 노래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중이다. 위에서는 경기민요의 이별가와 배떠나기에 관한 노래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이별이라고 한다면 심청가에서 아버지와 심청의 이별도 눈물겹지만, 남녀가 사랑을 나누다가 이별을 하게 되는 판소리 춘향가의 이별 대목에서는 어떻게 그 감정을 소화하고 있는 것인가 잠시 살펴보도록 하겠다. 상황은 이 도령이 서울로 떠나기 전날 밤, 춘향 집을 찾아 서울로 올라가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윤성용)은 2019년 단오(6월 7일)를 맞이하여 『여름의 시작, 단오』세시 행사를 연다. 이번 행사에는 단오와 관련된 전통 세시체험과 공연 등 모두 6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단오(음력 5월 5일)는 여름으로 접어드는 시기의 명절로, 수릿날ㆍ중오절(重五節)ㆍ천중절(天中節)이라고도 한다. 예부터 양수(陽數)가 겹치는 음력 5월 5일은 세상 만물이 살아 움직이는 기운이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하여 큰 명절로 여겨왔으며, 이 날에는 잡귀를 물리치거나 복을 기원하는 풍속이 많이 행해졌다. 행사는 6월 7일(금) 아침 10시부터 저녁 5시까지 박물관 곳곳에서 열린다. 박물관 로비에서는 단오 세시체험 마당을 운영하고, 앞마당에서는 단오 특별 공연으로 ‘단심줄 강강술래’를 선보인다. 또한 6월 4일(화)에는 전통문화배움터에서 외국인 대상으로 단오의 대표 절식인 수리취떡과 앵두화채 만들기 교육을 실시한다. 단오 세시체험으로는 단오에 임금이 신하에게 내려 주었던 ‘단오 부채’를 직접 만들어 보고, 잡귀를 물리치고 재액을 쫒아내는 ‘단오 부적’을 찍어 볼 수 있다. 강한 향을 지닌 쑥을 베어 문에 달아 재앙을 막던 풍습에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단청으로 채색된 이 건물은 원래 서울 조선왕궁에 있던 것으로 1924년(대정13년) 스기노 기세이 씨에 의해 이곳에 기증되었습니다. 가마쿠라 33관음 영장(靈場)의 23번째 절인 이곳에는 에도 후기 작품으로 추정되는 목조 관음보살입상이 안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지난 20일(월), 가마쿠라 대불로 유명한 가마쿠라 고덕원(高德院)에 갔을 때 조선 궁궐이었던 관월당(觀月堂) 앞 표지판에 일본어로 적혀 있던 글이다. ‘한국 궁궐의 한 건물이었던 관월당을 이곳에 기증했다고?’ 곱씹을수록 불쾌하다. 무슨 물건도 아니고 궁궐 건물을 뜯어다가 생뚱맞게 멀고먼 일본땅 가마쿠라 절간 안쪽에 복원(?)해놓고 그 안에는 에도시대 불상을 안치했다니... “이 선생님이 가마쿠라에 오신다고 해서 저희가 이 자료를 찾아보았습니다. 이게 그 자료입니다.” 와타나베 다케지(渡邊武二)씨 부부가 내게 건넨 자료는 관월당 사진과 일본어로 된 관월당의 유래였다. 와타나베 다케지 씨는 처음 만나는 분이지만 그의 부인인 와타나베 야스코(渡邊泰子) 씨와는 오랜 인연이 있다. 야스코 씨는 도쿄 한 복판에서 현재 열리고 있는 ‘3.1독립운동 100년을 생각하며 – 동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12좌창 중의 한 곡인 출인가(出引歌)를 소개하였다. ‘출인’이란 가는 사람을 못 가게 잡아당긴다는, 이별의 뜻을 담고 있는 노래라는 점, 출인가 속에 <향단>이나 <오리정> 등이 나오고 있어 춘향가의 한 대목을 경기소리제로 부르는 노래처럼 생각하기 쉬우나 일반적인 남녀의 사랑 노래 속에 춘향의 이야기를 끌어 들였다는 점을 얘기했다. 또 이 노래는 본래 선유가(船遊歌)의 별조로 취급되던 노래였으나 세간에 퍼지면서 출인가라는 고유의 곡명을 갖게 된 노래라는 점, 그래서 곡조의 흐름이나, 구성음, 장단 등이 선유가와 유사하다는 점, 이별의 감정을 담은 노래들은 본디 슬픔을 전제로 하나, 서울 경기의 소리제는 그 감정이 비통에 이르지 않아 비교적 단정한 음악적 분위기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라는 점 등을 이야기하였다. 이번 주에는 서울 지방에서 불리는 이별을 주제로 하는 노래, <이별가>를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 경기민요 이별가는 장단 없이 느리게 부르며 간결한 가락에 창자의 기교나 시김새를 넣어 애절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노랫말은 10여종이 넘고 있으나, 대략 다음과 같은 노랫말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도쿄 우에노에 있는 우에노공원에는 도쿄국립박물관, 국립서양미술과, 국립과학박물관, 우에노동물원 등이 있을 뿐 아니라 근처에 우에노의 명물인 아메요코 시장 등이 있어 찾는 이들이 많다. 특히 봄철 벚꽃잔치 때는 인산인해를 이루는 곳이 우에노공원이기도 하다. 우에노공원은 1874년 명치정부 때 조성되었다. 공원 면적이 53만㎡(약 16만평)으로 넓기도 넓지만 공원을 끼고 있는 우에노역은 나리타공항에서 들어오는 관문이자 전국으로 달리는 신칸센 출발역이기도 함과 동시에 수많은 지역으로 이동이 가능한 거미줄 같은 철도망이 깔려있는 곳이기도 하다. 접근성이 좋다보니 주말이면 특히 시민들이 가족단위로 산책 나온 모습이 눈에 많이 띈다. 지난 19일 일요일 낮, 우에노공원을 찾았다. 사실 이날 도쿄국립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국보동사-공해와 불상만다라전(国宝東寺―空海と仏像曼荼羅)을 보러 갔으나 줄이 너무 길어 표기하고 공원을 산책하는 도중 지방도시의 관광페어전이 열리고 있어 들려 보았다. 에치고 나가오카・사도 광역관광페어(えちご長岡・佐渡広域観光フェア)전은 5월 18일과 19일 이틀 동안 열리는 행사로 각 지역의 특산물과 특산술, 음식 등이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경기소리의 전승 체계와 관련된 이야기로 3인의 예능보유자 인정 제도를 1인으로 통합 운영하면서 위축되고 있는 전승 현상이 매우 심각하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지정당시 3인의 보유자들은 각기 다른 스승의 특징적 소리제를 형성해 왔기에 인정이 된 것이라는 점, 이를 1인으로 통합하는 체제로 전환한 뒤 경기민요 전승자들의 포기가 늘고 있다는 점, 따라서 문화재청 담당자들은 이 문제에 대한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해 주기 바라고, 그래서 경기소리가 다시 한 번 중흥을 이룰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고민해 주기 바란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12좌창 가운데 한 곡인 ‘출인가(出引歌)’라는 노래를 소개해 보도록 한다. 이 노래는 오랜 기간 묵계월 명창이 전승해 준 악곡으로 유명하다. 출(出)은 나간다는 뜻, 인(引)은 끌다, 또는 잡아당긴다는 뜻이므로 <나가서 잡아당기는 노래>라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출인가라는 노래 제목에서 가는 사람을 못 가게 잡아당긴다는, 곧 이별의 아쉬움을 느끼게 한다. 긴잡가, 대부분의 가락이 그런 것처럼 5음, 곧 ‘솔, 라, 도, 레, 미’의 5음 구성이며 잔가락이나 경과음에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여덟째인 소만(小滿)입니다. 만(滿)은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자라 가득 찬다는 뜻이 들어 있습니다.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에 “4월이라 초여름 되니 입하, 소만 절기로다.”라고 했지요. 소만 무렵에는 모내기 준비에 바빠집니다. 이른 모내기, 가을보리 먼저 베기, 여러 가지 밭작물 김매기가 줄을 잇습니다. 또 이때는 씀바귀 잎을 뜯어 나물을 해먹고, 냉이나물은 없어지고 보리이삭은 익어서 누런색을 띠니 여름의 문턱이 시작되는 계절이지요. 소만 때는 모든 들과 뫼(산)에 푸른빛이 가득합니다. 하지만 이때 대나무는 푸른빛을 잃고 누렇게 변하는데 이는 새롭게 태어나는 죽순에 영양분을 모두 주었기 때문입니다. 마치 자기 몸을 돌보지 않고 어린 자식을 정성들여 키우는 어미의 모습을 보는 듯하지요. 그래서 봄철의 누런 대나무를 가리켜 ‘죽추(竹秋)’ 곧 ‘대나무가을’이라고 합니다. 또 이 무렵은 “보릿고개”란 말이 있을 정도로 옛 사람들은 양식이 떨어져 힘겹게 연명하던 때입니다. 입하와 소만 무렵에 있었던 풍속으로는 봉숭아 물들이기가 있는데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4월조에 보면 “계집애들과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피아니스트 유키 구라모토를 알게 된 것은 한 이십년 전 쯤 된다. 1999년 가을 쯤, 지인으로부터 ‘유키 구라모토(Yuhki Kuramoto)’라는 이름이 적힌 음악 테이프 하나를 선물로 받은 적이 있다. 운전할 때 들어보라고 선물해준 이 테이프를 깜박 잊고 한 달 여 지난 뒤에 겨우 들어보았는데 매우 맑고 서정적인 선율이 인상적이었던 기억이다. 이후 유키 구라모토에 대한 새로운 테이프를 사지도 않았고 이런저런 일로 그의 이름을 잊었었다. 그런 그가 이번 5월에 전국 순회연주회를 한다는 기별을 들었다. 5월 18일(토)에는 오산시 승격 30돌 기림으로 오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 서는데 입장권 발매 1달 전에 전석 매진이라니 대단한 열광이다. 특히 유키 구라모토는 한국의 젊은 여성 팬들이 많다고 하니 20년 전 나에게 음악 테이프를 선물한 그 지인도 유키 구라모토의 팬이었나 보다. 원래 구라모토 유키(倉本裕基)지만 ‘유키 구라모토’라고 부르는 것은 나훈아를 서양식으로 ‘훈아 남’으로 부르는 꼴이다. 구라모토 유키도 본명은 아니며 본명은 기타노 미노루(北野 實)로 그는 올해 68살이다. 유키 구라모토는 도쿄공업대학대학원 응용물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금의 12가사처럼 서울 경기지방의 긴소리 12곡을 12잡가, 또는 12좌창이라고 하는데, 잡가(雜歌)라는 명칭처럼 기악의 산조(散調)음악을 또한 <헛튼가락>, <허드렛 가락>, <흐트러진 가락>이라고 불러 온 것은 상상이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경기민요의 대표적인 긴소리를 잡가라고 부른 배경은 다양한 종류의 소리들이 한 권의 책 속에 잡거(雜居)하고 있기에 붙게 된 이름이란 점을 말했다. 긴소리 12곡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하면서 예능보유자 3인에게 각각 4곡씩 전승시키게 하였고, 이를 40여년 이상 시행해 오면서 수십, 수백의 이수자와 전수조교를 배출하여 경기소리 전승에 크게 이바지해 왔다는 점, 그런데 근년에 와서 묵계월이 타계하고, 이은주도 명예보유자로 물러나자, 1인의 보유자가 12곡을 모두 전승시키도록 제도를 바꾸어 시행하고 있는데, 그 결과 이 분야의 전공자들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는 심각한 이야기 등을 이야기 하였다. 이번 주에는 지난주에 이어 경기소리로 대표되는 긴잡가와 경기민요의 전승 체계와 관련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한다. 앞글에서 잠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서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국의 어버이날은 5월 8일이지만 일본은 어머니날과 아버지날이 각각 따로 있다. 어머니날(하하노히, 母の日)은 해마다 5월 둘째 주 일요일이므로 올해는 12일이다. 그런가 하면 아버지 날(치치노히, 父の日)은 6월 셋째 주 일요일이므로 6월 16일이다. 일본처럼 6월 셋째 주 일요일에 아버지날을 두고 있는 나라는 미국, 중국, 인도, 영국, 캐나다, 칠레, 콜롬비아, 프랑스, 터키, 싱가폴, 멕시코 등이다. 일본의 어머니날과 어버지날의 유래는 모두 미국에서 비롯된 풍습이며 어머니날엔 붉은 카네이션을, 아버지날에는 노란장미 (또는 흰장미)를 선물한다. 지난해 아버지날 선물 1위는 가죽벨트, 2위와 3위는 맥주 셋트, 4위는 색안경(선글라스), 5위는 발모제(머리 나게 하는 약) 순이다.(야후쇼핑 참고) 값은 3천 엔~7천 엔(3만~7만) 선이 많이 팔린다. 한편 일본의 어머니날은 과거에 1931년 대일본연합부인회(大日本連合婦人會)가 결성되고 난 뒤 왕비(香淳皇后, 소화왕의 부인) 생일인 3월 3일을 어머니날로 삼았으나 1949년부터 미국을 따라 5월 둘째 주 일요일을 어머니 날로 굳혔다. 그렇다면 일본인의 어머니날 선물 1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