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 = 이윤옥 기자] “나는 학살 현장인 사할린의 설원에 서게 되면 일본인이 저지른 뿌리 깊은 원죄를 뼈저리게 느낀다. 일본이 양심이 있다면 강제연행한 조선인을 맨 먼저 귀국시켜야 했다. 그런데 일본인만 후송하고 조선인은 내버려둔 것이다. 이렇게 비인간적인 행위가 용서될 수 있을 것인가?” 이는 일본인 하야시에이다이 씨의 격앙된 ‘일본사죄론’이다. 이 말은 비단 사할린에 국한된 이야기만은 아니며 2013년 현재 남아있는 60만 재일조선인과도 깊은 관련이 있는 말이다. 지난 2010년 8월 15일은 광복 65주년이었고 같은 해 8월 29일은 경술국치 100년을 맞았었다. 그래서 우리는 “경술국치 100년, 한일평화를 여는 역사기행” 답사단을 꾸려 조선인들의 강제노동 현장인 기타큐슈의 치쿠호 탄광을 시작으로 시모노세키, 오사카, 교토에 이어 도쿄의 야스쿠니 반대 행사가 있던 히비야공원까지 장장 1,200킬로 거리를 12일에 걸쳐 돌아보았다. 이 글은 그때의 기록이지만 현재의 상황이기도 하다. 곧 다가올 68주년 광복을 앞두고 조선인강제연행 궤적을 쫓아갔던 기록을 10회에 걸쳐 연재한다. -편집자 설명- [조선인강제연행 현장의 궤적을 찾아서 1] 기타큐슈
[그린경제=이나미 기자]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소장 장경복)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원장 이재호)의 후원으로「난중일기」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기념하는 난중일기 독후감 공모전을 한다. 이번 공모전은 초등부와 중등부, 일반부로 나누어 오는 8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신청을 받는다. 전문가들의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10월 하순 현충사관리소와 문화재청,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누리집을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 최우수상(문화재청장상) 수상자에게 부상으로 일반인 100만원, 중등부 50만원, 초등부 30만원 상당의 문화상품권을 각각 지급하는 등 모두 33명에게 총 600만원 상당의 문화상품권을 준다. 시상식은 10월 하순 책 읽는 가을 현충사 주간에 맞추어 현충사 내 충무공 고택에서 열린다. 국보 제76호인 난중일기는 모든 국민이 제목과 내용은 알지만 실제로 읽어본 사람은 드물다고 한다.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통해 세계인에게 알려진 ≪난중일기≫를 온 국민이 읽고,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정신과 위업을 널리 드높이는 계기가 되도록 독후감 공모를 추진하게 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문화재청 누리집(www.cha.go.kr, http://hcs.cha.go.kr, ww
[그린경제=이규봉 기자] 2013년 6월 23일. 인천공항으로 가기 위해 우리는 대전에서 승합차를 대절했다. 자전거 5대가 모두 잘 들어갈까 염려했으나 뒷좌석을 앞으로 밀어 생긴 공간에 가까스로 들어갔다. 앞뒤 간격이 좁아지긴 했지만 5명이 타기에는 좌석도 충분히 마련됐다. 아주 우연한 만남 ▲ 장준하의 구국장정육천리를 함께 한 임수현, 임동순, 이규봉, 고병연, 윤일선, 전태일(왼쪽부터) 인천공항으로 가는 도중 독립군가 음원을 듣고 있으니 마치 독립군이 된 느낌이다. 하지만 독립군이 되는 것이 좋은 일인가? 하는 생각이 들 때는 기분이 씁쓸했다. 요즘 어느 누가 아무리 사회가 필요하다고 할지라도 자식들을 또는 남편들을 독립군으로 보내는 것에 자부심을 갖고 긍지를 느낄까? 우리나라의 현대사를 보면 절대로 독립군으로 나서라 하지 않을 것이다. 그만큼 우리 사회는 민족을 위하는 또는 정의를 위하는 일에 나서는 것을 절대적으로 금하는 사회가 되었다. 나라의 안위나 공동체의 안위보다는 자신의 안위가 중요한 사회가 되었다. 남을 위해서 조금이라도 봉사하거나 희생하기는커녕 남의 희생을 자신의 이익으로 삼는 것이 더 가치 있는 사회가 되었다. 비록 후에 큰 손실을
[그린경제=이한꽃 기자]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교토 구로다니에 있는 종엄스님 발자취를 찾아 서운원에 들를 기회가 생겼다. 작년에는 답사단과 함께 였고 올해는 전 한글학회 회장 김승곤 교수 내외와 교토의 시인 우에노미야코 씨와의 동행이었다. 7월 20일 재일교포시인인 김리박 선생의 『삼도의 비가, 三島の悲歌』출판기념회에 참석을 마치고 모처럼 주어진 교토에서의 하루 관광의 시작을 구로다니의 서운원으로 잡은 것은 이곳이 우리와 밀접한 곳이기 때문이다. ▲ 종엄스님이 세운 서운원 편액 서운원을 찾은 날도 작년처럼 찜통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었는데 팔순의 김 회장님 내외분은 계단이 제법 가파른 서운원을 오르는 돌계단을 힘겹다는 말씀 없이 가뿐히 올라가 주셨다. 교토 구로다니(京都市 左京区 黒谷町)에 있는 서운원(西雲院사이운인)은금계광명사 안에 있는 절로 이 절은 일본 3대 문수도량으로 알려진 정토종 대본산이다. ▲ 한국경복궁연이라고 쓴 팻말의 연꽃화분 절을 세운 법연(法然1133~1212호넨) 스님은 전수염불(専修念仏) 스님으로 유명하다. 전수염불이란 복잡하고 어려운 경전을 파고들기보다는 일심으로 염불
[그린경제=윤수애 기자] 민족시인 윤동주님은 1917년 12월 30일 길림성 화룡현 명동천에서 태어났으며, 해방을 6달 앞둔 1945년 2월 16일 오전 3시 36분 후쿠오카형무소에서 옥사했다. 단순히 한글로 시를 썼다는 죄목에 끌려들어가 생체실험을 당한 끝에 통한의 죽음을 맞은 윤동주. ▲ 윤동주 언덕과 문학과 개관 1돌 기념공연 모습 그를 기리는 마음이 모여 윤동주시인의 언덕과 문학관이 개관 되고 1돌이 된 어제(7월 26일) 저녁 윤동주 문학관에서는 시인의 장조카가 그를 추억하는 자료를 보여주며 윤동주 시인의 개인사를 들려주었다. 이어서 7시에 윤동주 시인의 언덕에서 별 헤는 밤 공연이 있었는데 크누아 조이의 색소폰 연주, 시낭송, 퓨전국악, 남성중창단의 공연이 펼쳐져 관객들은 별밤의 정취에 흠뻑 취하며, 윤동주를 기렸다. 이날 낭송된 사리처럼 영롱한 그의 시마다에는 순결한 그의 영혼이 보였다. 하지만, 그의 억울한 요절은 듣는 이를 안타깝게 했다. 우리는 항일시인윤동주를 길이 기억해야만 한다. ▲ 윤동주 언덕과 문학과 개관 1돌 기념공연 모습 ▲ 윤동주 시인의 장조카가 그를 추억하는 자료를 보여주고 있다. ▲ 윤동주문학관 전경 ▲
[그린경제=최미현 기자] 37년 전 황망히 우리의 곁을 떠난 고 장준하 선생! 정부당국은 사인을 실족추락사라 발표했지만 유가족과 국민은 이를 믿지 않았다. 드디어 지난 3월 26일 법의학자 서울대 이정빈 명예교수는 장준하 선생의 두개골 함몰은 외부 가격에 의한 것이며 가격으로 즉사한 후 추락해 엉덩이뼈가 손상된 것으로 보인다라고 발표해 타살임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아직도 그 진상은 오리무중이다. 지금 장준하 선생 암살의혹규명 국민대책위원회는 누리집(http://www.who-how.or.kr/page_exam.php)에서 장준하 선생 암살의혹규명 100만인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고, 시민들이 고(故) 장준하 선생(사진)의 유가족이 국가를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손해배상 청구소송 비용 마련을 위한 모금운동도 뜨겁게 벌어지고 있다. ▲ 청년 광복군 장준하 귀국기념 호프데이 그런 한편 오는 8월 24일(토요일) 오후 2시부터 10시까지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근처 레벤브로이에서 청년 광복군 장준하 귀국기념 호프데이 행사를 연다. 장준하 선생은 1945년 8월 18일 광복군으로 최초 귀국 여의도 비행장에 도착할 때 일본군 시브자
[그린경제=이한꽃 기자] 지난 21일 일본은 참의원 선거를 치렀다. 마침 일이 있어 교토에 가 있던 기자는 숙소에서 그날 밤 밤새 개표방송으로 도배된 티브이 방송을 지켜보며 착잡한 마음을 지울 수 없었다. 당선자 이름에 빨간 꽃이 하나둘 늘어가더니 자민당 전광판은 온통 붉은 색으로 뒤덮였고 함박웃음으로 아베신조 수상은 연신 싱글벙글 어쩔 줄 모르는 가운데 전국의 개표소에서는 자민당 소속의 당선인들의 만세 삼창 소리가 일본 땅을 들썩 거렸다. ▲ 일본 참의원 밤샘 개표 현황 티브이 보도 자민당 소속 당선자 화면(22일 아침 5시 27분 현재) 그런데 오늘 아침 미국 LA발 기사 한토막이 지난 21일 참의원 선거를 다시 떠올리게 만든다. LA주재 일본총영사가 21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일본은 위안부 문제 등 과거역사에 대해 사과와 배상을 끝냈다며 독일이 나치범죄에 대한 배상을 하는 것은 경우가 다르다는 궤변을 늘어놓아 파문이 일고 있다. 는 뉴욕 뉴시스 노창현 특파원의 글이 그것이다. ▲ 빨간색이 자민당 득표 현황(23일 5시현재) 노 기자는 지난 7월 14일 LA타임스에 게재된 복수의 독자 투고문 '일본의 2차 세계대전에 대한 부인(Letters: J
[그린경제=정석현 기자]광주학생독립운동 백지동맹 사건의 주역이었던 최순덕 애국지사가 22일 오전 10시경올해 103살로 세상을 떴다. ▲ 103살로 세상을 뜨신 최순덕 애국지사, 광주학생운동 때 백지동맹을 이끌며 항일투쟁을 했다. 1911년에 태어난 최순덕 애국지사는 19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 당시 광주여고보(현재의 전남여고) 백지동맹 투쟁 사건의 주역이다. 그때 3학년 재학 중으로 학생회장을 맡고 있던 최순덕 애국지사는 11월3일 광주역을 중심으로 대규모의 시가전이 벌어지자 동료들과 함께 시내로 나가 치마폭에 돌을 나르며 남학생들의 시위대에 전달하는 등 반일시위에 가장 먼저 뛰어들었다. 그때의 시가전과 광주학생독립운동은 나주 통학열차에서 일본 학생들이 조선 여학생들의 댕기머리를 잡아당기며 희롱한 것이 도화선이 돼 일어난 것이다. 최 여사는 이날 대규모의 시위 과정에서 수많은 청년 학생들이 체포구속되자, 이에 반발해 11월10일부터 치러질 예정이었던 중간고사를 전면 거부하는 백지동맹으로 일제에 온 몸으로 항거했다. 최 애국지사는 전날 밤 동급생과 함께 구속학생 석방과 조선 독립을 위해 답안지에 한 글자도 쓰지 말고 연필도 들지 말자는 내용의 백지동맹 호소
[그린경제=진용옥 교수] (1)찰방제 조선시대에 각 도(道)의 역참을 관장하던 종6품의 외관직(外官職)으로 찰반제도가 있었다. 마관(馬官)우관(郵官)이라고도 불렸다. 고려시대까지도 역의 운영은 역장(驛長)과 역리(驛吏)가 했고 중앙에서 가끔 관리를 파견하여 순시했다. 이런 관리의 종류로는 역순관(驛巡官)제도관역사(諸道館驛使)정역소복별감(程驛蘇復別監) 등이 있었다. 태종 때부터 역참의 일정한 지역을 책임지고 관리하는 정역(程驛) 찰방이 다시 등장했다.《경국대전》에 보면 조선 초기 전국에 23명의 찰방과 18명의 역승(驛丞;종9품)을 두어 총 537역을 관장케 했는데, 1535년(중종 30)에는 역승을 없애고 전국의 큰 역에 40명의 찰방을 두고 이를 찰방역이라 하였다. 작은 역에는 역장을 두어 찰방이 이를 관장하였는데, 중요한 요소에는 겸(兼)찰방 12명을 두어 찰방의 비행을 감시하게 하였다. 서울을 중심으로 각 지방에 이르는 중요한 도로에 마필(馬匹)과 관명(官員)을 두어, 공문서(公文書)를 전달하고 공용여행자(公用旅行者)에게 숙소제공‧마필공급 등 편리를 도모하는 기관(機關)을 역참이라 하였는데, 약간의 역참(驛站)을 1구(區)로 하여 이를
[그린경제 = 이한꽃 기자] 자존심이 있는 민족은 남의 압박만 받지 아니할 뿐 아니라 행복의 증진도 받지 않고자 하느니 이는 역사가 증명하는 바이라. 4천년이나 장구한 역사를 가진 민족이 언제까지 남의 노예가 될 수는 없다라고 외쳐 댔던 만해 한용운. 그는 1919년 3월 11일 만세운동 주동자로 잡혀가 왜경에게 심문을 받을 때 피고는 금후에도 조선의 독립운동을 계속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그렇다. 계속하여 어디까지든지 할 것이다. 반드시 독립은 성취될 것이며 일본에는 중 월조가, 조선에는 중 한용운이 있을 것이다."라며 당당히 말했다. 흔히 만해를 가리켜 불교개혁자, 민족운동가, 근대 시성(詩聖)이라 일컫지만 만해만큼 주체성이 강한 애국자도 드물 것이다. 그는 잡지 별건곤 기자가 인생에서 가장 통쾌한 일이 무엇이냐고 묻자 거침없이 3.1만세운동 때 명월관에서 한 연설한 일이라고 했다. 그 내용을 보자. 오늘의 우리 모임은 곧 독립만세를 높이 불러 외침으로써 독립을 쟁취하자는 취지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앞장서고 민중이 뒤따라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신명을 바쳐 자주독립국이 될 것을 기약하고자 여기 모인 것이니 정정당당히 최후의 1인까지 독립쟁취를 위해 싸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