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내일은 우리 겨레 또 하나의 명절 정월대보름입니다. 정월대보름엔 초저녁 뒷동산에 올라가서 달맞이를 하는데, 떠오르는 달의 모양, 크기, 출렁거림, 높낮이 등으로 한해 농사를 점치기도 했습니다. 또 대보름날 밤 달집태우기도 하는데, 짚이나 솔가지 등을 모아 언덕이나 산 위에 쌓아 놓은 다음 소원을 쓴 종이를 매달고, 보름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려 불을 지릅니다. 피어오르는 연기와 더불어 달맞이를 하고, 쥐불놀이와 더불어 이웃마을과 횃불싸움을 하기도 하지요. 정월 대보름의 세시풍속 가운데 ‘월견상극(月犬相剋)’이란 것이 있었습니다. 이는 달과 개는 상극이란 생각에서 나온 것인데 정월 대보름날에 개에게 온종일 밥을 주지 않거나 혹은 저녁밥 한 끼만 주지 않습니다. 개에게 밥을 먹이면 달의 정기를 먹게 되는 것으로 생각했지요. 여자의 본질인 음력의 에너지원은 달이어서 개에게 밥을 주는 여자는 개에게 자기의 음력을 도둑질시키는 것으로 본 때문입니다. 월식도 옛사람들은 개가 먹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기도 했지요. 또 다른 대보름 풍속으로 “개보름쇠기”도 있습니다. 조선 후기 유득공(柳得恭)[1749~1807]이 펴낸 《경도잡지(京都雜志)》에, “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정월대보름 풍속으로 풍년을 기원하는 ‘지신밟기’가 있는데, 지신밟기는 설날부터 대보름 무렵에 마을의 풍물패가 집집이 돌며 흥겹게 놀아주고, 복을 빌어 줍니다. 곳에 따라서 마당밟기, 귀신이 나오지 못하도록 밟는 매귀(埋鬼), 동네에서 쓸 공동경비를 여러 사람이 다니면서 풍물을 치고 재주를 부리며 돈이나 곡식을 구하는 걸립(乞粒)이라고도 합니다. 또 정월대보름 풍속으로 ‘볏가릿대 세우기’, ‘복토 훔치기’, ‘용알 뜨기’ 따위도 있습니다. 먼저 볏가릿대 세우기는 보름 전날 짚을 묶어서 깃대 모양으로 만들고 그 안에 벼, 기장, 피, 조의 이삭을 넣어 싸고, 목화도 장대 끝에 매달아 이를 집 곁에 세워 풍년을 기원하는 풍속입니다. 또 복토 훔치기는 부잣집의 흙을 몰래 훔쳐다 자기 집의 부뚜막에 발라 복을 기원하는 것이고, 용알 뜨기는 대보름날 새벽에 제일 먼저 우물물을 길어와 풍년과 운수대통하기를 기원하는 풍속이지요. 그밖에 대보름날은 점치는 풍속이 많습니다. 이 가운데 사발점은 대보름날 밤에 사발에 재를 담고, 그 위에 여러 가지 곡식의 씨앗을 담아 지붕 위에 올려놓은 다음, 이튿날 아침 씨앗들이 남아 있으면 풍년이 되고, 날아갔거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는 8일 토요일은 우리 겨레의 명절 정월대보름입니다. 이날 하늘에는 보름달이 휘영청 떠오르지요. 조선 후기 문신 홍석모가 연중행사와 풍속들을 정리하고 설명한 풍속지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보면 '초저녁에 횃불을 들고 높은 곳에 올라 달맞이하는 것을 ‘망월(望月)’ 곧 달마중이라 하며, 먼저 달을 보는 사람에게 행운이 온다.'라고 적혀 있습니다. 따라서 누구나 뒷동산에 올라 떠오르는 보름달을 맞이하는 것이 정월대보름에 할 일이었습니다. 그런가 하면 대보름날 아침 일찍 일어나면 '부럼 깬다' 하여 밤, 호두, 땅콩, 잣, 은행 등 견과류를 깨물며 한해 열두 달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도록 빕니다. 또 부럼을 깨물 때 나는 소리에 잡귀가 달아나고 이빨에 자극을 주어 건강해진다고 생각했지요. 또 아침 일찍 일어나 사람을 보면 상대방 이름을 부르는데 이때 상대방이 대답하면 '내 더위 사가라!'고 하는데, 이름을 불린 사람이 그걸 알면 “먼저 더위!”를 외칩니다. 이렇게 더위를 팔면 그해 더위를 먹지 않는다는 재미난 믿음이 있었습니다. 또 대보름날엔 세 집 이상의 성이 다른 사람 집의 밥을 먹어야 그해 운이 좋다고 하며, 평상시에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겨울 속에서 봄을 보려면 신도 경건하게 무릎 꿇어야 하리라 내 사는 은현리서 제일 먼저 피는 꽃 대한과 입춘 사이 봄까치꽃 피어 가난한 시인은 무릎 꿇고 꽃을 영접한다 오늘은 24절기가 시작되고 봄을 맞이하는 입춘(立春)입니다. 입춘 무렵의 대표적인 세시풍속으로는 봄이 온 것을 기리어 축원하는 입춘축(立春祝)을 집 대문이나 대들보ㆍ천장 따위에 붙이는 것입니다. 입춘축을 다른 말로는 춘축(春祝), 입춘첩(立春帖), 입춘방(立春榜), 춘련(春聯), 문대(門對), 춘첩자(春帖子), 춘방(春榜), 대련(對聯), 춘첩(春帖)이라고도 하지요. 입춘축 가운데 가장 많이 쓰는 것은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으로 “입춘이 되니 크게 길 할 것이요, 만 가지 일들이 형통하라.”라는 뜻이 담겨 있지요. 그밖에 쓰는 말로는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로 ”산처럼 오래 살고 바다처럼 부자가 되어라.“, ”소지황금출 개문만복래(掃地黃金出 開門萬福來) 곧 “마당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문을 열면 만복이 들어온다.”라는 것도 있는데 온갖 좋은 말은 다 가져다 붙여놓습니다. 그런가 하면 조선시대 천문ㆍ지리ㆍ날씨를 맡아 보던 관청인 관상감(觀象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내일은 24절기를 시작하는 입춘(立春)으로 동양철학인 명리학으로는 새해가 시작하는 날입니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동지가 되면 <구구소한도(九九消寒圖)>에 홍매화를 그리기 시작하여 9송이씩 9줄 모두 81송이를 다 그리고 나면 입춘이 오고 봄이 온다고 믿었습니다. “아홉 번째 아홉 날이 지나면 농사짓는 소가 밭을 갈기 시작한다네.”라고 노래한 것입니다. 세상이 꽁꽁 얼었어도 홍매화를 그리며, 희망을 품고 살다 보면 드디어 훈훈한 봄바람이 세상을 감싸는 봄이 오는 것이지요. “입춘날 절기 좋은 철에 헐벗은 이 옷을 주어 구난공덕(救難功德) 하였는가 깊은 물에 다리 놓아 월천공덕(越川功德) 하였는가 병든 사람 약을 주어 활인공덕(活人功德) 하였는가” 상여 나갈 때 상여머리에서 부르던 상엿소리입니다. 우리 겨레는 봄이 시작되는 입춘날 ‘적선공덕행(積善功德行)’을 했는지에 대해 죽은 뒤 염라대왕의 심판을 받는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것은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일을 꼭 해야 한 해 동안 액(厄)을 면한다고 믿은 것입니다. 예를 들면 밤중에 몰래 냇물에 징검다리를 놓거나, 거친 길을 곱게 다듬거나, 다리 밑 거지 움막 앞에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85년 전 오늘(1월 31일)은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총리를 지낸 이동휘(李東輝) 선생이 심한 독감으로 세상을 떠난 날입니다. 선생은 젊었을 때 아버지의 주선으로 함남 단천군수의 심부름을 도맡아 하는 통인(通引)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통인 시절 군수가 자신의 생일에 어린 기생에게 온갖 추행을 저지르는 것을 보고 동헌으로 뛰어들어 화로를 군수의 머리에 뒤엎었지요. 사건 직후 선생은 서울로 도피하여 사관양성소에 입학하였고 졸업 후 육군참위에 임관되었는데, 선생의 청렴강직과 충성심을 높이 산 광무황제에 의해 삼남검사관(三南檢査官)으로 임명된 뒤 지방진위대의 부패장교와 지방관리들을 엄격하게 처벌함으로써 전국적으로 이름을 날렸습니다. 이후 선생은 지도자로서 여러 구국운동을 하다가 일제에 구속되거나 유배되기도 했는데 유배에서 해제된 직후 북간도로 탈출합니다. 이후 북간도에서 치열한 독립운동을 하던 선생은 1919년 11월 3일 개조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총리직에 취임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에 있던 임시대통령 이승만은 대한인국민회중앙총회에서 모으던 애국금 등 미주지역의 모든 독립운동자금을 독점하였는데 그 때문에 미주동포로부터 자금이 끊어지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고인께서는 고지도 원본 위의 한자를 일필(一筆)로 똑같이 써 내려가기 위해 글씨 연습에 날마다 아침 2시간씩 3년을 투자하셨습니다. 고인께서 영인본으로 접한 고지도의 양은 1,000점을 넘었지만, 지병이 악화되어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생을 마감한 2007년 7월 31일까지 필사한 고지도는 100점이 되지 못합니다.” 이는 생의 마지막까지 고지도 필사를 하던 최현길(1952~2007) 선생의 배우자인 전소연 여사의 말입니다. 전소연 여사는 2018년 4월 남편인 고 최현길 선생이 필사한 고지도 35종 65점을 국립중앙도서관에 맡긴 바 있습니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 전도인 『동여도』는 그 길이가 남북 7m에 이르는 초대형 (23첩) 작품입니다. 최현길 선생은 40대 중반까지 광고계에 몸을 담고 있다가 지병으로 전원생활을 시작하면서 2000년대 초 규장각에서 영인해서 펴낸 고지도의 아름다움에 큰 감명을 받고 본격적인 필사에 전념했습니다. 특히, 선생은 ‘전라도흥양현발포진지도’와 같이 국토를 아름답게 그려낸 회화의 관점에서 고지도를 골라 필사 작업에 매달렸지요. 최현길 선생이 기증한 고지도 필사본은 ‘아름다운 필사, 최현길 고지도 기탁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경복궁 중건 비용 어디서 나와서 어디로 갔을까? 원납전! 원해서 내는 돈인가, 원망하며 내는 돈인가? 궁궐을 세우기 위해서 철거를 한다고? 영건의 아이러니! 과연 서민들이 자식처럼 달려와 궁궐을 지었을까? 경복궁 중건 현장은 좋은 일자리였을까? 국가의 막중한 공사를 방해한 부정행위들 등 모두 15개의 주제로 이뤄진 《경복궁 중건 천일의 기록》이 서울역사편찬원에서 나왔습니다. 이 책은 고종대 경복궁 중건의 역사상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엮은 책으로 일본 와세다대학에 소장된 《경복궁영건일기》를 통해 새로 발견된 내용과 흥미로운 주제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서울역사편찬원은 《경복궁영건일기》와 관련해 국내에서 축적된 성과를 어떻게 하면 시민들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을지 고민하다가 이강근 서울시립대 건축학과 교수를 비롯한 국내의 건축, 역사, 미술사, 국문학 전문가 등 다양한 집필진들이 15개의 주제로 고종대 경복궁 중건의 역사상을 안내하는 《경복궁 중건 천일의 기록》을 펴내게 되었다고 했습니다. 특히 경복궁 중건 공사 과정에서 발생한 부정행위에 관한 이야기는 흥미롭기조차 합니다. <국가의 막중한 공사를 방해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옷감, 종이, 머리털 따위를 자를 때 쓰는 가위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그 역사가 깊습니다. 그리스 신화에는 아트로포스(Atropos)가 가위를 들고 정해진 실을 자르는 이야기가 나오며, 중국의 경우에는 후한(後漢)에서 송대(宋代)에 이르는 시기의 무덤 부장품에서 가위가 많이 출토되고 있습니다. 장차(長沙) 계화원(桂花園)의 여성 무덤에서 출토된 가위에는 ‘동진(東晉) 승평(升平) 5년(361)’이라는 기록과 함께 바늘과 가위 등 바느질 도구가 나오기도 했지요.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가위는 신라시대 643년 (선덕여왕 3년) 창건된 분황사석탑에서 출토된 사리함에서 나온 협가위입니다. 모양은 ∝형으로 손잡이는 없고 날을 엇갈리게 하려고 밑부분을 가늘게 둥글린 것이 특징입니다. 고려시대로 가면 철제와 동제(銅製)로 만든 가위를 많이 볼 수 있는데 신라의 것과 같은 ∝형과 오늘날의 X형 모습 등 다양한 가위가 나타납니다. 조선시대는 고려의 것과 비슷한 X형 모양으로 재료는 무쇠가 대부분이고 철과 백동(白銅)을 쓴 것도 있습니다. 전북 진안에는 한국 가위의 역사뿐만 아니라 전 세계 가위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진안가위박물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요즘 뉴스를 보면 “구정 앞두고 사랑 나눔 봉사활동 실시”, “구정 연휴 아시아 여행자의 선택은?”, “태국 두번째 ‘우한 폐렴’ 환자, 구정 앞 확산 우려”처럼 ‘설날’이 아닌 ‘구정’이란 말을 쓰는 여전히 쓰고 있습니다. 이 ‘구정’이란 말은 양력 신정에 대해 음력으로 쇠는 ‘설날’을 말하는 것이지만, 바람직하지 않은 것임을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1936년 조선총독부는 《조선의 향토오락》이란 책을 펴낸 이후 우리말ㆍ우리글을 쓰지 못하게 하고, 창씨개명으로 우리의 성과 이름까지 빼앗았으며, 풍물굿 등 민속놀이도 맘대로 즐기지 못하게 함으로써 겨레문화를 송두리째 흔들어 놓았습니다. 또한, 양력설 곧 ‘신정’을 설날로 쇠는 일제는 우리 겨레가 오래전부터 쇠던 설을 ‘구정(舊正)’이란 말을 써서 지내지 못하게 하였지요. 그런데, 광복 뒤에도 정부가 양력을 기준력으로 삼으면서 양력설은 제도적으로 계속되었습니다. 1989년까지만 해도 양력 1월 1일부터 3일 동안을 공휴일로 했기에 성탄절과 함께 연말연시를 잔치처럼 지내는 게 굳어질 정도였지요. 그리고 우리 고유의 음력설은 ‘민속의 날’이라 하여 ‘이중과세’라는 허울 좋은 말로 하루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