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국의 신문은 연일 수 쪽에 걸쳐 북미수뇌회담 기사를 게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상파 3개 방송국에서도 아침부터 ‘세기의 담판’을 주제로 특별 방송을 꾸리는 등 북미수뇌회담 일색입니다. 싱가폴로부터의 중계방송에서는 ‘점심식사는 무엇을 먹을까요?’, ‘설마 햄버거는 먹지 않겠지요?’ 같은 농담을 주고받으며 북미수뇌회담 결과가 나올 때까지 프로그램을 편성했습니다. 한국 시민들의 관심은 높습니다. 서울에 사는 45살 주부는 ‘오늘 결과가 어떻게 나올까 기대하고 있다’ 고 했으며 47살의 여회사원은 ‘통일되면 비용이 많이 들어 한국이 부담이 되지만 미래 세대를 위해 언젠가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본다’고 했습니다.” 이는 어제(12일) 싱가폴에서 열린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한국의 관심을 사쿠라이이즈미(桜井泉) 기자가 야후제팬에 기고한 글이다. 한국의 언론들이 싱가폴에서 열린 북미회담에 관심을 갖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지만 일본 언론 역시 실시간으로 싱가폴 북미 회담과 한국의 분위기를 전하는 모습이 분주해 보인다. 특히 야후제팬에서는 북미수뇌회담에 대해 실시간으로 누리꾼의 의견을 묻고 있는데, 12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2018 한국예인열전”에서 역동적이며 신명나는 무대를 만들어 주었던 김윤미의 버꾸춤 이야기를 하였다. <버꾸>란 충청도 지방이나 전라도 지방에서 부르는 매구북의 딴 이름으로 소고(小鼓)를 말한다는 점, <법고>의 음성모음화 된 말이 <법구>이고, 법구를 연음화하여 된 발음으로 부르는 명칭이 <버꾸>라는 점을 얘기했다. 이 춤은 금당도의 풍물놀이에 속해 있던 소고잽이들의 춤가락을 기본으로 해서 무대화 한 춤이란 점, 버꾸를 돌리기도 하고, 차올리기도 하며 현란한 개인기를 발휘하여 매우 토속적인 분위기를 자아내었다는 점, 마당놀이에서 볼 수 있는 크고 거친 동작들을 더 세련되게 무대로 끌어들여 객석의 반응을 고조시켰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살풀이춤>으로 객석의 뜨거운 호응을 받았던 노혜경의 이야기로 이어간다. 살풀이 춤이란 살풀이장단에 맞추어 수건을 들고 추는 춤이다. 수건을 들고 춘다고 해서 수건춤이라는 이름도 있고, 음악이 흐르는 대로 즉흥적 춤사위를 보인다고 해서 즉흥무라는 이름도 있다. 여하간 이 춤은 한국인의 멋과 흥을 자랑하는 대표적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나는 깨달았다. 사람을 사귀는 것보다 자기 자신과 사이좋게 지내는 것이 더 어렵다는 사실을!” “내가 가장 싫어하는 것은 ‘이게 진실이다. 이게 진실이다’ 하고 시끄럽게 구는 것이다.” “눈이 내려서 기쁠 때 나는 내가 네 살이든, 예순 세 살이든 상관하지 않는다.” 이는 일본의 그림책과 동화책 작가이자 수필가로 알려진 사노 요코(佐野 洋子, 1938~2010) 씨 의 말이다. 사노 요코 씨는 1938년 중국 베이징에서 태어나 9살 때 일본으로 돌아와 컸으며 일본 무사시노 미술대학교 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1967년 베를린 조형대학에서 6달 동안 석판화를 공부했다. 사노 요코 씨의 대표작인 《백만 번 산 고양이(100万回生きたねこ)》는 전 세계에서 300만부가 팔린 그림책으로 인생과 사랑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그린 작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어린이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랑받고 있다. 사노 요코 씨는 이 밖에도 《두고보자, 커다란 나무》, 《좀 별난 친구》 등의 그림책을 비롯하여 《사는게 뭐라고》, 《죽는게 뭐라고》와 같은 수필집 등 2009년 6월 현재 공저를 포함한 173권의 책을 펴냈다. (일본 최대의 서점인 ‘기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강향란의 징춤 이야기를 하였다. 강향란은 남사당놀이 이수자로 활동하고 있는 춤꾼이란 점, 풍물세계의 외로움과 징의 애환을 춤 속에 담았는데, 역동적이며 거친 느낌이 풍긴다는 점, 징(鉦)은 단일 음정을 지닌 타악기로 궁중에서는 대금(大金)이라 불렀으며 군영에서 퇴각시 신호용 악기로 사용되었다는 점, 현재는 풍물놀이, 무속음악, 종묘제례악, 대취타, 불교음악 등에 쓰이고 있는데, 주로 강약을 조절하며 장단의 첫 박을 알리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을 얘기했다. 강향란의 징춤은 굿거리-덩더꿍-휘모리-굿거리장단으로 전개되며 장단별 특징을 지니고 있다는 점, <부평풍물축제> 명인전을 비롯하여 <KBS 국악한마당>, <국악의 향기>, <명인 명무전>, <FIA 국제예술제> 등 큰 무대에서 선을 보여 왔고 이제 그의 징춤은 한(恨)과 도(道), 그리고 흥(興)을 신명으로 풀어낸 남사당 무동이의 대표적인 풍물춤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를 받는 점 등을 이야기 하였다. 이번 주에는 “2018 한국예인열전”에서 역동적이며 신명나는 무대를 만들어 주었던 김윤미의 버꾸춤 이야기로 이어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국의 5월은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날 따위가 연거푸 들어 있어 힘들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더욱이 스승의날 같은 경우에는 “교사를 선물이나 기대하는 사람 취급하는 날 같으니 아예 없애자.”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웃나라 일본의 경우는 스승의날이 없는 대신 어머니날과 아버지날이 따로 있어 부담스럽다는 사람들이 있다. 어머니날(하하노히, 母の日)은 5월 둘째 일요일이라 올해는 5월 13일이었다. 그런가 하면 아버지날(치치노히, 父の日)은 해마다 6월 셋째 주 일요일이라 올해는 6월17일이다 일본처럼 6월 셋째 주 일요일에 아버지날을 두고 있는 나라는 미국, 중국, 인도, 영국, 캐나다, 칠레, 콜롬비아, 프랑스, 터키, 싱가폴, 멕시코 등이다. 일본의 어머니날과 어버지날의 유래는 모두 미국에서 비롯된 풍습이며 어머니날엔 붉은 카네이션을, 아버지날에는 흰장미를 선물한다. 하지만 꽃보다도 인기 있는 것은 다양한 선물이다. 아버지날 선물 1위는 가죽벨트, 2위와 3위는 맥주 셋트, 4위는 색안경(선글라스), 5위는 발모제(머리 나게 하는 약) 순이다.(야후쇼핑 참고) 가격은 3천 엔~7천 엔(3만~7만) 선이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까지는 편종과 편경의 유일한 제작자, 김현곤 장인의 이야기를 하였다. “내 몸 이상으로 사랑하지 않고는 명품(名品)이 나올 수 없다”는 신념으로 악기제작에 정성을 들이고 있다는 이야기, 조선시대에는 장악원이나 악기조성청과 같은 임시관청에서 만들었을 뿐, 개인의 힘으로는 제작이 불가했다는 이야기, 그는 중국 각지를 찾아다니면서 힘들게 경석 재료를 수입해 오다가 2009년 이후에는 경기도 남양의 경석으로 제작한다는 이야기를 했다. 그러나 악기 제작의 전수, 이수를 희망하는 젊은이들이 없어 장남과 차남에게 장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능과 정신을 전승시키고 있다는 이야기, 문화재청에서는 편종과 편경의 분리문제, 재료비 지원문제, 전수조교의 확보문제 등 행정적인 배려를 서둘러 주어야 한다는 이야기, 전국의 대소 박물관, 각급학교, 공연장 등에 교육적인 전시가 이루어지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강향란의 징춤 이야기를 한다. 징춤이란 징을 들고 가볍게 울리거나 두들기면서 추는 춤이다. 얼마 전, 서울남산국악당에서는 <풀뿌리문화연구소>가 제작 기획한 –한국예인열전 공감(共感) 동락(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어제 5월 22일은 불기 2562년 부처님 오신 날이었다. 한국의 각 절에서는 종파를 초월하여 부처님이 이 땅에 오신 날의 의미를 새기며 연등을 밝히고 법요식을 갖는 등 분주한 하루를 보냈다. 하지만 일본의 경우는 다르다. 일본의 부처님 오신 날은 양력으로 4월 8일인데다가 우리처럼 공휴일도 아니어서 대부분의 일본인들은 이 날이 부처님 오신 날인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일본은 명치시대때부터 음력 사용을 금지하고 나라의 모든 행사나 개인의 기념일을 양력만을 쓰게 했다. 설이나 한가위 같이 음력을 기준으로 하는 행사도 양력으로 하다 보니 ‘둥근 보름달’을 본다든가 하는 전통방식의 명절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 속에서 치른다. 부처님 오신 날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의 경우 종파의 교리가 통합된 통불교라면 일본불교는 종단을 창시한 조사(祖師)의 가르침을 따르는 ‘조사불교’이기 때문에 조사의 탄생일에 더 많은 의미를 둔다. 따라서 우리처럼 연등회를 갖는다든지 부처님 오신 날 기념법회를 텔레비전에서 뉴스로 전한다든지 하는 일이 거의 없다. 무엇보다도 명치정부(1868)가 불교를 탄압하고 신도(神道)를 장려하는 이른바 폐불훼석(廃仏毀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편종과 편경의 유일한 제작자, 김현곤이 이 길에 들어선 과정을 소개하였다. <연악사>에 입사한 후, 각종 악기의 구조와 발음원리, 재료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왕직아악부 출신의 이병우(李炳祐) 명인을 만나게 되면서 국악기의 종류와 특성, 기초이론에 눈을 뜨게 되었다는 이야기, 이병우(1908~1971)는 국립국악원 전신이었던 이왕직아악부 제1기생 9명 가운데 한 사람으로 피리, 단소, 양금 연주가 뛰어났으며 양악기를 잘 다루어 고려교향악단에 입단했다는 이야기, 이병우의 집안은 전통음악의 명가라는 이야기를 했다. 또 김현곤은 편종, 편경을 제작하면서 중국, 일본을 비롯하여 세계의 여러 타악기 공방들을 탐방했고, 제작기법을 터득하며 지금도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다는 이야기, 베트남의 궁중음악인 나냑(雅樂)이 200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음에도 베트남의 편종, 편경 제작은 그 전승이 단절되어 있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그래서 2010년, 베트남 후에유적 보전센터에서는 한국으로 복원 요청을 해 와 김현곤 명인이 초청된 바 있었다. 그는 수개월간 그 곳에 파견되어 베트남식 편종과 편경을 완벽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산다는 것은 사랑하는 것, 돈을 취하는 종교는 가짜, 하느님도 부처도 없다” 등등 숱한 명언(?)을 남기고 있는 비구니 세토우치쟈쿠쵸 (瀬戸内寂聴, 1922~) 스님이 5월 15일 96살 생일을 맞았다. 특히 자신이 불교 승려 이면서 “이제 하느님도 부처도 없다”고 한 말은 2015년 93살 때 담낭 수술을 마치고 통증이 가시지 않자 한 언론과의 대담에서 한 말이다. 쟈쿠쵸 스님은 과거 혼인하여 딸 하나를 둔 상태에서 남편의 불륜으로 이혼한 뒤, 오랫동안 자신의 이야기 등을 소재로 소설을 집필하며 살았다. 원래는 수녀가 되고 싶었으나 혼인했던 탓으로 수녀의 길이 막히자 이번에는 승려의 길을 걷으려 했다. 그러나 그 어떤 절에서도 승려의 길을 허락해주지 않았다. 그러다가 1973년, 51살 때 중존사(中尊寺)에서 받아줘 천태종 승려가 되었다. 이후 쟈쿠쵸 스님은 화장을 하고 술과 고기를 먹 등 자유로운 생활을 하는 스님으로 알려져 있다. 그 어느 것에도 구애됨이 없는 생활을 거침없이 하고 있는 것이다. 1974년부터 교토의 사가노(嵯峨野) 지방에 자기 이름을 딴 쟈쿠쵸암(寂聴庵)을 짓고 교화와 인생상담, 집필, 방송 출연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우리음악사에서 황금기라고 말하는 세종 세조시대의 음악적 사건들을 알아보았다. 요약하면 아악의 정리, 편종과 편경과 같은 악기의 제작, 조회와 회례, 제례의 음악 제정,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와 여민락(與民樂), 정대업(定大業)과 보태평(保太平)과 같은 대악의 창작, 그리고 정간(井間)악보 및 오음약보(五音略譜)의 창안과 악보집 간행, 등이 주 내용이다. 또한 세종임금의 음감이 뛰어났다는 이야기와 함께 나라에 변란이 생기면 우물에 편경을 숨겨놓을 정도로 귀중하게 다루었다는 이야기, 세종 이후에도 편경의 제작은 간간히 있었으나 1969년 이후에는 남갑진과 김현곤이 함께 해 오다가 현재는 김현곤 1인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편종이나 편경을 제작하기 위한 기술복원의 다양한 정보나 각종 기록은 김현곤 명인의 잠재된 능력을 일깨우기 시작한 것이다. 그는 스스로 제작한 편종과 편경을 1980년대 초부터 국립국악원을 비롯하여 각 대학 국악과나 또는 전문 연주단체에 보급하기 시작하였다. 개인의 제작이 불가능하다는 이전의 통설을 깨고 국내 유일의 편종과 편경의 제작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명인이 된 것이다. 과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