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소장 김지연)는 11월 25일부터 「서울 풍납동 토성」 내 창의마을부지(풍납동 291-1번지, 16,733㎡)에 대한 학술 발굴조사에 착수한다. 풍납동 창의마을부지는 1983년 건립된 외환은행 직원합숙소 건물을 재활용하여 2004년부터 20여 년간 서울영어체험마을 풍납캠프로 운영되었던 곳이다. 영어마을로 활용되기 전인 2000년 외환은행 직원합숙소 재개발사업을 위한 시굴조사 결과, 토기 구덩이, 불태워진 유구, 추정 연지 등이 확인되어 과거 백제 한성기 도성의 내부 공간으로 활용된 것으로 주목된 바 있다. 이번 창의마을부지 발굴조사는 백제 한성기 상류층이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들과 대형 의례건물터 등이 확인된 경당지구(1999~2000년, 2008년)와 토성 내 최대 규모의 육각형 건물터, 도로시설 등 다수의 유구가 발견된 미래마을부지(2004~2011년) 이후 10여 년 만에 이루어지는 성 내부 조사라는 점에서 학계의 관심이 높다.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는 서성벽 복원지구(2017~2024년)와 동성벽 유실구간(2025년~) 등 성벽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 토성의 규모와 토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서울역사박물관(관장 최병구)은 문화체육관광부의 탐방 케이-아츠(Touring K-arts) 사업의 하나로 주워싱턴한국문화원에서 기획전 `서울의 멋-민화: Wishes in Korean Folk Painting` 전시를 11월 20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서울역사박물관과 주워싱턴한국문화원이 주최하고, 문체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의 ‘2025 탐방 케이-아츠(Touring K-Arts)’ 지원 사업의 하나로 추진되었다. ※ 탐방(투어링) 케이-아츠(Touring K-Arts) : 문체부가 국내 기관 또는 문화예술단체의 공연ㆍ전시ㆍ강좌 등을 나라 밖 현지에 연계ㆍ지원하는 프로그램 이번 전시는 서울 민화의 전통과 현대적 해석을 아우르며, 그 속에 담긴 꿈과 소망을 소개하는 전시다. 서울의 민화는 단순한 장식적 예술을 넘어서 사람들의 일상과 염원을 반영한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이번 전시를 통해 민화가 어떻게 서울의 삶과 문화 속에서 발전하고 현대까지 이어졌는지 보여주고 있다. 특히 케이팝 데몬 헌터스로 관심이 높은 ‘호랑이와 까치’가 등장하는 민화 유물 2점과 호랑이가 등장하는 민화인 ‘죽호도’ 1점을 함께 선보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회원들의 헌신으로 만들어 낸 축제 주요 인사 총집결… 여성연극제 10년의 발자취 함께 축하 2025년 제10회 <여성연극제>가 지난 11월 16일(일) 폐막식을 끝으로 한 달 동안의 대장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2013년 한국여성극작가전에서 출발해 창작자와 시민이 함께하는 축제로 확장된 여성연극제는 올해도 기획초청ㆍ작가전ㆍ연출가전ㆍ세대공감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한국 여성 연극의 현재와 미래를 한자리에서 보여주었다. 폐막식은 제10회 <여성연극제> 운영을 위해 음양으로 헌신한 한국여성연극협회 회원들의 노고에 대한 강선숙 이사장의 감사말로 시작되었다. 행사 진행은 물론 작품 지원까지 다양하게 활동한 회원들 덕분으로 이번 축제가 더욱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다. 이어 무대에 오른 서울연극협회 박정의 회장은 축사를 통해 “창작자들이 지속적으로 무대에 오르고 관객과 소통하는 제10회 <여성연극제>는 한국 연극의 다양성과 지속성을 견인하는 중요한 플랫폼으로서의 축제”라고 강조하며, 여성연극제의 의미를 높이 평가했다. 영상으로 돌아본 <여성연극제>의 한 달… 무대미술가의 세대공감 강연
[우리문화신문= 금나래 기자] 국립중앙도서관(관장 김희섭)은 ‘2025 도서관 협력 유공 시상식’을 디지털도서관 대회의실에서 11월 19일(수) 개최하고, 도서관 발전과 서비스 향상에 기여한 개인과 기관에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을 포함한 총 21점의 표창과 상을 수여했다. ‘도서관 협력업무 유공자 포상’ 부문에서는 도서관 간 협력체계 강화, 지식정보 공유 확대 등 도서관 발전에 공헌한 개인 3명과 단체 10개 관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5점과 국립중앙도서관장 표창 8점을 수여했다. 장관 표창은 충청남도 내 공공도서관 간 협력 기반을 강화하고, 작은도서관 지원체계를 확대한 김희영 사서(충청남도 충남도서관)와 지역사회와 연계를 통하여 생활밀착형 독서 환경을 조성한 공주시 웅진도서관 등 4개 관이 수상하였으며, 관장 표창은 권수현 사서(서울특별시교육청), 이효정 사서(대구광역시립남부도서관), 국립공주대학교 등 6개 관이 수상하였다. ‘도서관 혁신 아이디어 및 우수 현장사례 공모’ 부문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3점과 국립중앙도서관장상 5점을 수여했다. 장관상은 아름다운 이야기 할머니 사업을 지역 특성에 맞게 발전시킨 권아현 사서(수봉도서관), 청소년의 특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춘천문화재단(이사장 박종훈)은 오는 12월 7일(일)까지 춘천예술촌 4기 입주작가를 모집한다. 춘천예술촌은 시각예술 작가를 위한 아티스트 레지던시 공간이다. 과거 기무부대 관사로 사용되었던 건물을 재단장하여 운영 중이며, 넓은 잔디마당을 중심으로 예술가를 위한 10개의 창작스튜디오가 개별 건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2022년 개관 이후 현재까지 27명의 예술가가 입주하여 작품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이번 4기 입주작가 모집 인원은 2명이며, 입주 기간은 2026년 2월부터 12월까지다. 지원 자격은 춘천에 거주하거나 연고 이력이 있는 19살 이상의 시각예술 작가로, 경력이 3년 이상이면 신청할 수 있다. 입주작가에게는 작품 활동이 가능한 창작스튜디오와 창작지원금을 비롯하여 춘천예술촌 갤러리 전시, 역량강화 프로그램, 평론가 매칭 등을 지원한다. 자세한 내용은 춘천문화재단 누리집(www.cccf.or.kr) ‘공모사업 신청’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춘천예술촌 갤러리에서는 12월 27일(토)까지 춘천예술촌 3기 입주작가 연속 전시(5회차)를 진행한다. 지난 4월부터 입주작가 10명이 릴레이 형식으로 작품을 선보여 온 전시의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서도민요 <영변가(寧邊歌)>에 나오는“영변(寧邊)의 약산(藥山)에 동대(東臺)로다, 부디 평안히 너 잘 있거라.”로 부르는 노래 가사가 인상적이다. 영변(寧邊)은 평안남도 남서부에 있는 군(郡)의 이름으로 진달래꽃과 함께 관서팔경(關西八景) 사운데 한 곳으로 유명한 지역이다. 시인 김소월은 이곳에 피는 진달래꽃을 주제로 하여 억압적인 일제강점기에서도 민족의 슬픔을 노래하였다. 예로부터 경관이 좋고 아름다운 자연물에는 사람들이 몰리게 되어 있고, 그곳과 관련한 시(詩)와 노래가 있기 마련이다. 영변가에 나오는 약산동대(藥山東臺)는 평안북도 약산의 최고봉인 제일봉 서쪽에 있는 대석(臺石)을 이르는 이름이다. 글쓴이가 직접 본 적은 없으나, 이런저런 자료들을 확인해 보면, 동대는 기암(奇巖) 절벽 위에 높이 솟아 있어 구름 사이로 날아가는 듯한 모습이 장관이어서 시인을 비롯하여 글씨 쓰고, 그림 그리는 묵객(墨客)들이 많이 모여들었다는 곳이다. 또한 이 산속에는 천주사(天柱寺), 서운사(棲雲寺), 학귀암(鶴歸庵) 같은 절이 있어 몸과 마음을 수양하기에 매우 적합한 곳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김소월(金素月)의 시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티 없이 맑고 파란 하늘도 좋지만, 가끔은 너무 넓어서 텅 비어 보일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하얀 솜을 조금 떼어 흩뿌려 놓은 듯, 또는 누군가 하늘에 띄워 보낸 작은 종이 조각 같은 구름이 둥실 떠가는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커다랗게 뭉친 구름이 주는 우람함과는 달리, 작고 아기자기한 멋을 주는 구름.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하늘의 빈 곳을 아름답게 채워주는 '조각구름'입니다. '조각구름'은 그 이름만 들어도 머릿속에 그림이 그려지는 참 쉬운 우리말입니다. '한 조각', '두 조각' 할 때의 그 '조각'들이 하늘에 떠 있는 모습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여러 개의 조각으로 흩어져 있는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여러 개의 조각으로 끊어진 듯이 떠 있는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를 모아보면, '조각구름'은 하늘을 다 덮거나 크게 뭉쳐 있는 것이 아니라, 작게 뚝뚝 떨어져서 흩어져 있는 구름을 말합니다. 한자말로는 끊어진 구름이라는 뜻의 '단운(斷雲)'이나, 조각 구름이라는 뜻의 '편운(片雲)'이라고도 부릅니다. 하지만 '조각구름'이라고 하면, 마치 종이 조각처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장제급은 금표가 있는 땅에 장사를 지낸 죄가 있고, 백윤진은 점지(點指)해 준 죄가 있다. 범하지 못할 곳인 줄을 알고도 그 땅에 장사 지낸 것은 죽을죄고, 범하지 못할 곳인 줄을 알면서도 장사를 지내라 한 것도 죽을죄다. 똑같은 죽을죄로 이미 결정을 내렸으니, 나라에 법이 있는 바에 어찌 죽음을 면하겠는가? 다만 (가운데 줄임) 그 할아비의 공은 나라에서 잊지 못할 바가 있으니, 특별히 대대로 용서해 준다는 뜻으로 한 가닥 목숨만은 붙여주어 사형에서 감하고 원악도(遠惡島, 서울에서 멀리 떨어져 살기가 어려운 섬)에 유배토록 하라.” 위는 《순조실록》 32권, 순조 32년(1832년) 11월 24일 기록으로 나라가 소나무를 기르기에 금표를 세운 산에 몰래 장사를 지낸 사람을 멀리 떨어진 섬에 유배토록 한다는 기록입니다. 조선시대에는 경복궁 등 궁궐을 모두 소나무로만 지었음은 물론 소나무는 임금의 관을 짜는 데도 쓰고, 당시에 가장 중요한 수송수단인 배 만들 때도 쓴 귀한 나무였습니다. 특히 나무의 속 부분이 누런빛을 띠는 소나무를 '황장목(黃腸木)'이라 부르고 으뜸으로 쳤습니다. 또 나라에서는 '황장금표(黃腸禁標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지난 11월 21일 「근대 한국어 사전 원고」와 「내방가사」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목록 등재신청서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사무국에 제출하였다. 「근대 한국어 사전 원고」와 「내방가사」는 지난 9월 19일 세계기록유산 한국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목록 등재신청 대상으로 각각 뽑혔다. 이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의 심사 등을 거쳐, 2027년 상반기 프랑스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UNESCO Executive Board)에서 등재가 결정될 예정이다. 「근대 한국어 사전 원고」는 《말모이(1911-1914)》 1책과 《조선말 큰사전》의 원고(1929-1957) 18책을 아우르는 기록물이다. 이 기록물은 모국어를 보존하고 겨레의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모국어 운동의 산물로서, 한자 중심에서 한글 중심으로의 언어생활 변화와 문맹 퇴치, 교육 기회 확대에 이바지하였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내방가사」는 ‘여성의 공간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여성들의 모임에서 필사되며 전승된 여성 고유의 한글 문학이다. 이번 등재 신청 기록물에는 1794년에서 1960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가 노환으로 11월 22일 세상을 떴다. □ 생년월일: 1943. 8. 13. □ 빈 소: 통영전문장례식장 2층 특실(055-645-1233) □ 발 인: 2025. 11. 24.(월) 12:00 ※장지: 통영시 추모공원 □ 유 족: 김동건(아들), 김미진(딸) □ 주요경력 - 1974. 통영오광대 전수장학생 - 1976. 통영오광대 이수자 - 1985. 통영오광대 전수교육조교(현 전승교육사) 인정 - 2000. 통영오광대 보유자 인정 - 2010. 통영오광대 명예보유자 인정 ※ 국가무형유산 통영오광대(1964. 12. 28. 지정) ‘통영오광대’는 경상남도 통영시에 전승되고 있는 탈놀이다. 길놀이를 시작으로 제1과장 문둥탈, 제2과장 풍자탈, 제3과장 영노탈, 제4과장 농창탈, 제5과장 포수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익살과 해학으로 당대의 문제를 풍자하는 민중의 생활상을 담고 있으며, 현재 통영의 지역공동체를 대표하는 무형유산으로 전승되고 있다. *오광대: 남부지역(낙동강 서쪽)의 탈춤을 가리키는 말로 합천 초계 밤마리에서 발원하여 전래하였고, 부산 동래ㆍ수영은 야류(들놀음), 통영ㆍ고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