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소장 김지연)는 오는 4월 30일과 9월 24일 낮 2시부터 4시까지 경복궁 흥복전(서울 종로구)에서 2025년 「도란도란 궁궐 가회(嘉會)」를 연다. 지난해 첫선을 보인 「도란도란 궁궐 가회」는 조선시대 궁궐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함께 나누는 시민강좌 프로그램으로, 올해는 ‘조선시대 궁궐의 지붕’을 주제로 상ㆍ하반기 2회에 걸쳐 진행된다. * 가회(嘉會) : 기쁘고 즐거운 모임 혹은 좋은 만남 오는 4월 30일 열리는 상반기 강좌에서는 참가자들이 ‘궁(宮)의 지붕’을 주제로 한 조상순 국립중원문화유산연구소장의 강의를 듣고 경복궁 발굴현장을 방문해 출토된 유물을 직접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는 경복궁 혼전(魂殿)* 영역 가운데 하나인 문경전 권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2023년부터 진행하고 있으며, 지붕 부재로 사용된 다양한 기와가 출토된 바 있다. * 혼전(魂殿): 발인 뒤 부묘(祔廟, 종묘에 신주를 옮기기) 전까지 신주(神主)를 모셔둔 곳 * 문경전(文慶殿): 임금과 왕비의 사후 신주(神主)를 모시는 혼전(魂殿)으로, 고종 연간 경복궁 중건 때 새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이재필)는 올 한 해 동안(‘24.11월 말 기준) 궁궐과 조선왕릉에 전년 관람객수(1,437만 명) 대비 52만 명이 늘어난 1,489만 명이 방문한 것으로 집계했다. 이 가운데 외국인 방문객은 전체 방문객의 약 20%인 299만 명으로, 이 수치도 지난해 같은 기간(201만 명)보다 49% 늘어났다. 궁능유적본부는 국민의 문화유산 누릴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올해 궁능유적본부 전체 예산(1,615억 원) 가운데 14%에 해당하는 226억 원을 궁능 활용 프로그램 운영에 들여, 궁중문화축전과 조선왕릉축전, 경복궁 별빛야행과 창덕궁 달빛기행, 경복궁 생과방, 덕수궁 밤의 석조전 등 모두 16개의 인기있는 궁능 활용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여 689만 명의 관람객을 참여시켰다. 이들 활용 프로그램에 참가한 관람객 수는 궁궐과 조선왕릉 전체 방문객의 46% 수준이다. 활용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4,721억 원의 생산 유발 효과와 1,774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로 모두 6,495억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달성하고 3,573명의 고용 창출 효과 또한 거둔 것으로 추산했다. * 궁능 활용 프로그램(16개):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궁궐. 임금이 나랏일을 보는 ‘궁(宮)’과 문 쪽에 있었던 망루인 ‘궐(闕)’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구중궁궐’이라 할 만큼 깊었던 이곳에서 무수히 많은 일이 일어났고, 수많은 사람이 저마다의 인생을 일구었다. 이광렬이 쓴 이 책, 《조선시대 궁궐 사람들의 숨은 이야기》는 온갖 희로애락이 넘실댔을 이곳의 이야기를 흥미롭게 풀어 쓴 책이다. 온천욕과 비자금 등 다른 역사책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었던 내밀한 이야기들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임금의 여가생활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온천욕이었다. 특히 세종과 세조, 현종이 온천을 참 좋아했다. 오늘날에도 유명한 ‘온양온천’은 그 명성이 세종 시절부터 자자했다. 세종이 왕후와 왕세자, 문무 군신 50여 명과 수천 명의 호위 병사와 함께 떠날 때면 그 행렬이 대단했다. 바다와 가까운 온양은 왜구의 침략이 있을 수 있어 경호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세종이 온양온천으로 행차할 때는 수많은 기병을 온양 10리밖에 배치해 놓기도 했다. 세종은 온양온천에서 씻은 뒤 눈병이 크게 좋아지자, 이곳을 더욱 즐겨 찾았다. (p.73) 세종은 온천욕으로 눈병에 많은 효과를 보았다고 합니다. 하루는 도승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이재필)는 오는 9월 6일부터 11월 16일까지 모두 23회에 걸쳐 조선왕릉과 궁궐 그리고 지역 문화유산을 연계한 여행프로그램인 「왕릉천(千)행」 하반기 행사를 운영하며, 8월 22일 오전 11시부터 선착순으로 참가자를 모집한다. 2024「왕릉천(千)행」은 조선시대 왕의 능행을 소재로 한 6개의 주제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앞서 올 상반기에는 ‘1795 정조 원행길(5.18./6.7.)’을 시작으로, ‘1892 고종 능행길(5.27./6.15.)’, ‘왕실여인의 길’(5.20./6.8.)’, ‘단종의길’(5.25./6.14.)’까지 4가지 경로(코스)를 운영하였고, 모두 310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조선왕릉을 체험하였다. * 능행(陵幸): 조선시대 국왕이 선대 임금이나 왕비의 능에 제사 등을 위해 행차하는 일 하반기에는 상반기에 운영한 4개 프로그램에 새로운 2개의 프로그램인 ‘1490 성종 능행길(여주 영릉)’과 ‘1733 영조 능행길(서울 헌릉)’이 추가되어 모두 6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예정이다. 참가자들은 전문 강사의 해설을 들으며 조선의 임금과 왕비, 왕실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물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