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저번에 펄 벅 여사의 《살아 있는 갈대(Living Reed)》에 나오는 주인공 일한의 아버지를 얼핏 엿 보았다. 펄 벅은 제 나라 전통을 사랑하고 긍지를 깊히 품고 사는, 완고해 보이는 조선 선비를 잘 그려내고 있다. 조금 더 그 선비를 구경해 보기로 하자. 일한의 집안은 안동김씨 명문가다. 중전마마는 일한을 가끔 불러 대화를 나눈다. 일한과 중전은 이성으로서 끌림을 느끼고 있는지도 모른다. 일한은 중전이 부르지 않아도 중전을 찾아간다. 일한의 아내는 질투에 시달리기도 한다. 어느 맑은 날 일한이 중전을 만나고 나오자, 대궐 문에서 아버지가 아들을 기다리고 있다. 일한은 대궐에서 가까운 성안에서 살고, 부친은 대대로 살아온 성 밖의 시골집에서 살고 있다. 아버지는 가정사에 무심하지만 그렇다고 여색이나 도박에 빠지는 일은 없다. 그러나 친구 없이는 못 산다. 아버지 집에 친구들이 모이면 으레 같은 이야기를 나누지만 항상 처음 하는 이야기인 양 흐뭇해한다. 그들은 “옛날의 영광을 회상하거나 조국의 영웅에 관한 일화를 이야기하거나, 일본의 불교가 조선을 통해서 건너가 개화했다는 것을 논하거나, 일본의 여러 가지 기념비적인 예술품과 문
[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1938년 《대지》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펄 벅은 1963년 한국 현대사의 비극을 소설로 펴냈다. 《살아 있는 갈대(Living Reed)>. 사실과 상상이 잘 버무려져 있다. 주인공 김일한은 진보 개혁 사상을 품고 있다. 그는 1883년 가을 조선 첫 방미사절단(‘보빙사’)의 고문격으로 동행한 바 있어 나라 밖 세상을 본 바 있다. 그의 부친과 할아버지는 그야말로 아름다운 보수주의자들이다. 펄 벅은 일한의 부친을 눈앞에 보이듯이 잘 그려낸다.일한이 둘째 아들이 나왔다는 소식을 아버지에게 전하러 갔을 때의 장면이다. “좋은 소식이다. 좋은 소식이야!” 노인은 소리쳤다. 쭈글쭈글한 주름살이 웃음으로 치켜 올라가고, 얼마 안 되는 회색 수염이 그의 턱 위에서 떨린다. “네, 아이는 어제 아침나절에 났는데, 잘생겼고 튼튼하며 큰 놈보다 약간 작은 정도입니다. 외양은 나무랄 데가 없습니다. 그런데…” 그는 아이의 귀를 생각하고 잠시 멈춘다. “그런데?” 아버지가 다음 말을 기다리다가 재촉한다. “그 애의 왼쪽 귀가 좀 온전치 못합니다. 사소한 흠입니다만…” “김씨 가문에 흠이란 없느니라. 틀림없이 네 처가인 박씨의 혈통에서 온 것이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