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출퇴근할 때 대중교통을 이용한 지 10여 년이 되었다. 처음에는 책 읽는 시간을 확보할 생각으로 운전대를 놓았으나, 걸으면서 점차 걷기의 맛이 느껴졌다. 그러다가 걷는 것이 건강에도 좋다는 생각에 아예 하루에 12,000보 걸음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는 손목에 차는 갤럭시워치에 찍히는 걸음 수를 기준으로 한 것인데, 화장실 가는 등으로 소소하게 찍히는 걸음수를 2,000보 정도로 생각하여 12,000보로 설정한 것이다. 이렇게 걸음 목표를 세우고 나니까 단순히 출퇴근 걸음 수만으로는 이를 달성할 수 없어 점심 식사 뒤에는 사무실이 있는 코엑스를 한 바퀴 돌고 때로는 근처 봉은사도 산책하였다. 그리고 걷는 것에 점점 맛 들여지니까 약속장소가 사무실 반경 2.5km 이내일 때는 약속장소까지 걸어가고, 약속장소에서 집까지 2.5km 이내일 때는 끝나고 집에까지 걸어가게 되었다. 또 약속장소가 그보다 먼 곳일 때는 전철은 한 번만 타고 약속장소에서 가까운 전철역에 내려 걸어가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이렇게 하니 목표 걸음 수 12,000보는 가뿐히 달성하게 되고, 약속이 있는 날은 15,000보도 넘어가게 되는 날이 많아졌다. 그런데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눈 내리는 밤 숲 가에 멈춰 섰다 이게 누구의 동네인지 나는 알 것도 같다. 그는 모를 것이다. 내가 여기 멈춰 서서 눈 덮인 그 동네를 보고 있는 것을. 내 조랑말은 농가 하나 안 보이는 곳에 일년 중 가장 어두운 밤 숲과 얼어붙은 호수 사이에 이렇게 멈춰 서 있는 걸 이상히 여길 것이다. 무슨 착오라도 일으킨 게 아니냐는 듯 말은 흰 입김을 내뿜으며 주인의 결정을 기다린다. 그르릉 하는 엔진 소리 외에는 솔솔 부는 바람과 솜처럼 부드럽게 눈 내리는 소리뿐...... 내가 좋아하는 미국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의 시를 패러디해서 시 한 수 베껴보았다. 조랑말(pony)이란 표현을 자동차로 대치하면 그게 어느 눈 내리는 겨울 저녁 날 나의 추억이다. 이 시의 주인공은 내가 아니라 나의 자동차다. 그것을 몰고 밤길을 가다가 문득 차를 세우고 건너편 산자락과 마을을 보며 흰 눈에 덮이는 경치를 감상한 것인데 그때가 다시 생각이 난 것은 이제 이 자동차와 이별했기 때문이다. 12년 반 동안 쓰던 자동차다. 한 미국 자동차 판매사가 2012년 말 연말 할인행사에 맞춰 생각보다 저렴하게 차를 팔기에, 미국 사람들이 우리나라 자동차를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