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2월 8일(토) 교육관 제1강의실에서 원착회의 ‘상형청자, 전통의 재해석과 확장‘을 연다. 이 행사는 국립중앙박물관이 2024년 1월 26일(화)부터 2025년 3월 3일(월)까지 진행하는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를 계기로 마련한 자리이다. 상형청자(象形靑磁)는 고려시대에 인물ㆍ동물ㆍ식물 등의 형상을 본떠 만든 청자를 말하며, 우리나라 전통 공예문화의 정수로 손꼽힌다. 이번 원탁회의는 고려시대 상형청자라는 전통 장르를,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어떻게 재해석하고 그 의미를 확장할 수 있을지를 찾기 위해 마련했다. 원탁회의는 자리의 순서나 지위에 상관없이 서로 대등한 관계에서 자유롭게 발언하는 형식의 회의로서, 이번 행사에는 박물관의 도자 전문가를 비롯하여 전통과 현대를 접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인 문화예술인 등이 참여한다. ‘고려 상형청자’를 매개로 각자의 생각을 이야기하고 의견을 나눔으로써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담론을 펼칠 예정이다. 원탁회의는 박물관 전문가 2명과 외부 전문가 3명의 발제와 자유토론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이애령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이 ‘고려 상형청자,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한국문화의 역사를 통하여 가장 빛났던 분야 가운데 하나는 청자그릇이다. 청자는 푸른빛이 나는 도자기를 뜻하는 말인데, 한국인은 푸른빛 청자에 상감기법을 추가하여 세상에 선 보였다. 그리하여 당시 청자문화의 종주국을 자처하던 송나라 청자를 뛰어 넘었으며, 그 신비한 푸른빛에 독특한 기법의 상감법과 정교한 형태의 다양한 그릇들을 만들어 냄으로써 한국인의 조형감각이 남다르게 뛰어남을 세계에 공인 시켰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런 고귀한 상감청자들 가운데서도 가장 아름다운 형상의 작품들을 모아서 <고려 상형청자 특별전>을 오는 3월 3일까지 열고 있다. 자연속에서 늘 보는 꽃, 열매, 동식물의 모양을 생활속에서 귀한 용품의 그릇들을 만들어 귀하게 썼던 청자그릇들이다. 다시 보기 어려운 고려 상형상감청자 특별전, 놓칠 수 없는 귀한 청자전을 꼭 찾아보길 권하며 아름다운 상형청자 전시작을 올려본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오는 1월 17일(금) 한국미술사학회(회장 강희정)와 함께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 특별전 연계 학술심포지엄을 연다. 국립중앙박물관(미술부)은 2024년 11월 26일(화)부터 2025년 3월 3일(월)까지 특별전시실2에서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 특별전을 열고 있다. 상형청자(象形靑磁)는 인물ㆍ동물ㆍ식물 등의 형상을 본떠 만든 청자로, 비색(翡色)의 좋은 청자색과 더불어 빛깔과 모양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상형청자를 처음으로 단독 조명하는 이번 특별전을 기념하여 학술심포지엄을 연다. 오전에는 상형청자가 제작 소비된 고려시대의 사회 문화적 상황을, 오후에는 실제 상형청자의 쓰임과 성격, 다른 분야와의 교류 및 연구 등에 대해 논의한다. 학술심포지엄은 기조강연과 7개의 주제 발표, 토론으로 진행한다. 상형청자를 매개로 청자 연구자뿐 아니라 역사, 금속공예, 보존과학 연구자들이 다각도의 전문적인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이에 대해 지정토론 및 종합토론이 이어진다. 학술심포지엄은 이화여자대학교 장남원 교수의 “상형청자, 고려의 새로운 미디어”라는 제목의 기조강연으로 시작한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18:00~21:00)에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전시기획자와의 대화’에서는 큐레이터의 해설과 함께 전시품을 관람할 수 있다. 새해 첫 달 전시기획자와의 대화는 모두 12회 진행되는데, 말갖춤, 무늬벽돌, 기와, 나전칠기, 무기, 범음구(梵音具, 절에서 공양과 의식을 행할 때 소리를 내는 도구) 등 생활과 전쟁, 의식에 사용되었던 다양한 문화유산을 만나볼 수 있어 생동감 있는 우리 문화 탐방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우선,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고 있는 두 개의 특별전에 대한 설명이 모두 4회 진행된다.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전시 기간: 11.26.-2025.3.3.) 전시기획자와의 대화가 매주 3회에 걸쳐 마련된다. 동ㆍ식물, 인물 등 형태를 본떠 만든 상형청자를 감상하며 고려청자만의 미감과 독보적인 기술력을 살펴볼 수 있다. 또 다른 특별전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전시 기간:11.30.-2025.3.3.) 전시기획자와의 대화는 셋째 주에 진행된다. 1900년 전후 오스트리아 비엔나를 중심으로 활약했던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고려시대 도자공예의 예술성을 대표하는‘ 상형청자(象形靑磁)’를 본격 조명하는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를 연다. 대상의 형상을 본떠 만든 고려 상형청자는 아름다운 비색(翡色) 유약과 빼어난 조형성으로 고려시대 공예의 높은 기술적 성취와 독자적 미감을 보여주고 있어 한국문화의 정수로 꼽힌다. 이번 특별전에는 고려 상형청자의 대표작과 발굴품 등 중요 자료를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았다. 국보 11건, 보물 9건, 등록문화유산 1건을 포함한 상형청자의 대표 작품을 비롯해 국내 25개 기관과 개인 소장자, 중국ㆍ미국ㆍ일본 3개국 4개 기관의 소장품 모두 274건이 출품된다. 상형청자가 전해주는 고려 사람들의 이야기 고려 상형청자의 전모를 소개하는 이번 전시는 모두 4부로 구성된다. 먼저 도입부에서는 <청자 어룡모양 주자>을 보며 상형청자로 펼쳐질 다채로운 시각적 경험을 예상하게 하였다. 제1부 ‘그릇에 형상을 더하여’는 고려 상형청자가 등장하기 이전, 우리나라에 흙으로 특정한 형상을 빚는 ‘상형’의 오랜 전통이 있었음을 삼국시대 3~6세기 신라와 가야에서 만든 상형토기와 토우(土偶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18:00~21:00)에 ‘전시기획자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전시기획자의 대화’에서는 전시기획자의 해설과 함께 전시품을 관람할 수 있다. 11월에도 박물관의 다양한 전시품을 주제로 한 흥미로운 주제들이 준비되어 있다. 이번 달에는 도자기를 애호하는 관람객들에게 반가운 내용이 많다. <도자기 발색 재료> 주제에서 도자기의 색을 내는 재료에 대해 들을 수 있으며, <청화백자 감상>에서는 순백의 바탕에 청색 물감이 가미된 아름다운 청화백자를 감상한다. 무엇보다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 (전시 기간: 11.27.~25.3.3.) 전시기획자의 대화에서 고려청자의 정수인 상형 청자에 대한 생생한 설명을 들어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불교 문화재와 관련된 주제들이 눈에 띈다. 첫째 주에 <감은사 사리기>, 둘째 주에 <조선시대 불교 조각>, 셋째 주에는 <깨달음과 구제의 비밀- 감로도의 세계를 보다>, 넷째 주에는 <반가사유상과 미륵 신앙>과 <불교 의식과 불화>가 이어진다. 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