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제4회 노은주의 <흥보가 완창발표회> 관련 이야기를 하였다. 이날 무대는 전문가, 애호가, 친지 등 관객들로 만원이었으며, 객석은 그가 안내하는 소리판으로 빠져들먼서 큰 손뼉과 추임새, 환호 속에 대성공이었다는 이야기, ‘놀보의 심술대목’, ‘흥보의 돈타령’, ‘중이 집터 잡아주는 대목’, ‘박씨를 물고 날아오는 제비노정기’, ‘흥보 아내의 가난타령’, ‘박타령’, ‘비단타령’, ‘화초장타령’ 등이 유명하다는 이야기를 했다. 또 판소리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이러한 대목들을 별도의 주제로 삼아 토막 소리극으로 꾸며서 교육자료나 감상자료로 활용한다면, 판소리에 대한 이해나 교육, 애호가 확보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도 하였다. 이야기를 바꾸어 이번 주에는 노은주의 소리를 좋아해서 그에게 소리를 배우는 사람들이 뜻을 모아 발표무대를 만들었다는, 곧 제1회 노은주 제자발표회 이야기를 소개한다. 글쓴이는 평소, 국악이 나라의 음악으로 자리를 잡고, 국민으로부터 폭넓은 관심과 애호를 받기 위해서는 어떠한 활동들이 전제되어야 할 것인가? 하는 점을 기회가 있는 대로 주장해 왔다. 관련하여 국악전문가나 문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한 해를 마무리하는 12월 초인 5일 저녁 5시 국가무형유산 전수교육관 풍류극장에서는 판소리 노은주 명창 제자들의 제1회 발표회 <소리의 맥>이 있었다. 만고강산 유람할제 삼신산이 어디메뇨 일봉래 이방장과 삼영주 이아니냐 죽장짚고 풍월실어 봉래산을 구경갈제 경포 동령의 명월을 구경하고 청간정 낙산사와 총석정을 구경하고 단발령을 얼른 넘어 봉래산을 올라가니 천봉만학 부용들은 하늘닿게 솟아있고 백절폭포 급한물은 은하수를 기울인 듯 무대에서는 박효순ㆍ서은선ㆍ박경희ㆍ백지수ㆍ김성애ㆍ임윤정 등 6명이 부르는 단가 ‘만고강산’이 울려 퍼진다. 이들은 전문 소리꾼들이 아니다. 그저 가정주부인데 취미로 판소리를 배운 사람들이다. 그런데도 그들은 긴 사설을 전혀 틀지지 않고 외워 북장단을 쳐가며, 병창을 해낸 것이다. 청중들은 혀를 내두른다. 게다가 무대에는 자막에 사설을 구구절절이 내보내 준다. 전문소리꾼의 발표회장이 아니고 판소리를 취미로 배운 소리꾼 발표회장에는 판소리를 잘 모르는 사람이 많이 올 것으로 생각한 노은주 명창의 뜻이라는 후문이다. 아마추어 발표회에 품격을 높여준 것은 무대 열리기 전 축사 순서였다.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