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잃은 국립국어원, 잠자는 국어기본법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잃었던 나라를 되찾자마자 최현배 스승님과 여러 학자분들이 꿈꿨던 '말의 민주화'는 왜 여든 해가 지난 오늘까지 끝내지 못한 숙제로 남아 있을까요? 그 까닭은 바로 우리말글 정책을 맡아 떠받들고 있는 틀인 '국립국어원'과 '국어기본법'의 모습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말이 나아갈 길을 길잡이해 주어야 할 나침반은 방향을 잃었고, 우리말의 헌법이라 할 법률은 깊은 잠에 빠져 있습니다. 길 잃은 나침반, 국립국어원 1. 맡은 일과 실제 모습의 다름 국립국어원 누리집에 들어가 보면, 국립국어원은 우리말과 글의 발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일을 맡고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을 만들고, 표준어와 맞춤법 같은 글쓰기 규칙을 정하며, 국민들의 국어 실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 방법을 개발하고, 다른 나라에 한국어를 널리 알리는 등 나라의 말글 정책과 관련된 거의 모든 일을 맡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민들이 나날살이에서 보고 느끼는 국립국어원의 모습은 '언어의 민주화'와는 아주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무엇보다 사람들의 말글살이에 바로 영향을 미치는 고갱이 일(핵심 사업)들에서 국립국어원이 나아가는 방향과 한계가 뚜렷이 드러납니다. 2. 태어날 때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