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수화나 목금의 분리가 일어난 때 긴 시간 꾸준히 노력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나 식단의 추천 원칙은 비교적 단순하다. 분리증이 있는 사람은 음식을 소화할 기가 약함으로 소화하기 쉬운 음식, 다시 말해서 자연계에서 어느 정도 소화 과정을 거친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다행히 한국인의 음식은 이에 적합한 발효, 산화된 식품이 많아서 그 대응이 어렵지 않다. 기가 분리되면 인체의 상하나 내외부로의 기의 흐름(순환)이 나빠진다. 가장 흔한 증상은 하나는 대장이 냉해지는 것이다. 이는 대장의 연동 운동을 저해하여 이는 흡수할 액상 성분과 폐기할 고상 성분이 걸쭉한 상태로 혼합되어 대장에 머무르게 한다. 이 혼합물은 대장에서 꾸룩하는 소리를 나게 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한방에서는 담음(痰飮)이라고 한다. 방치하면 담음소리가 심해지며 아랫배에 이어 발도 저린 듯 차지고 쉽게 피로해지는 악순환이 일어난다. 담음 소리가 들리면 우선 장을 물리적으로 따뜻하게 해야 한다. 그런 후에 볶은 양파로 부드러운 화기를 섭취하여 내장을 따뜻하게 한다. 기가 잘 순환되도록 하자는 것이다. 기의 흐름에 문제가 있는 병 치례나 노령인에게 건강인처럼 단순히 음양오행의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음식을 오행으로 구분하는 목적은 모자라는 기는 음식으로 보충하고 넘치는 기운은 중화하여 체내 오행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접근은 기의 순환이 정상적인 사람에게만 가능하다. 순환이 여의치 않은 경우의 식단은 다음 절에서 서술하였다. 음식의 오행은 맛이나 색, 음식의 특성 등을 참고하여 가결정하고 가결정한 오행을 임상(臨床)한 결과로 확인하거나 수정하는 것이 지금까지 해온 방식이다. 약성이 확인되지 않은 음식으로 임상한다는 것이 꺼림직 하나 음식은 약성이 강하지 않음으로 실행 상 큰 문제를 수반하지 않는다. 아래의 표는 이런 방식으로 그 음식이 대표하는 오행을 정리해 본 것이다. 이는 현대 약학적 입장에서는 그 신뢰성이 문제시 되지 않을 수 없다.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음식의 오행 이전에 오행 자체를 약학적으로 정의하는 큰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그 같은 작업은 아직 없었다. 그렇다고 입문편의 주제 구성상 중요한 부분인 오행 식단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기에 약학적 신뢰성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방식으로 그간 정리 되어온 자료를 공개한다. 아래의 표는 이런 점을 감안하여 참고 해야 할 것이다. 음식의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金 : 4음(신맛+단맛)과 9양의 매운맛으로 완성된 에너지 금기의 신맛은 인체가 음액을 흡수 수렴하도록 돕고 휘발성이 강한 매운맛은 땀의 발산과 배변을 원활하게 하는 기운이다. 매운 맛을 금기에 배속한 까닭은 금의 장기인 폐장 대장 등이 버려야할 변 땀 등의 배출 활로를 열어주는 데에 매운맛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탁기를 배설해야 순백의 금기가 완성된다. 금기의 대표 식품인 과일은 신맛과 강한 단맛의 양기가 조화를 이룬 새콤달콤한 맛이다. 매운 양기만으로 과육이 될 수 없다. 수분의 증발 발산을 저지하는 4음의 신맛이 양기를 감싸고 수렴해야 비로써 과육이 완숙된다. 신맛의 과일로 음기를 보충하면 간에 수분이 공급되며 눈의 충혈이 해소된다. 금의 음기인 신맛이 체내로 유입되면 온몸으로 퍼진다. 신맛은 어느 장부로 가든 음기의 작용인 흡수가 잘 일어나도록 촉촉한 접촉면을 만들어 준다. 기침을 캥캥 해대면 기관지가 마른 것이니 음기인 신맛을 공급하여 코 점막이나 기관지를 촉촉하게 만들어 폐로 들어가는 해로운 물질을 걸러내게 한다. 사주에 금기가 약해서 이를 강화해야 한다면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까? 금기를 보충하기 보다 우선 금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 火 2음 7양 : 쓴맛과 매운맛이 2:7이 되면 화가 된다 2음의 쓴맛이 7양을 다독여야 진정한 화기가 만들어진다. 화기가 약한 사람은 매운 맛인 생강 무 대파 양파 초석잠(식물의 뿌리로 누에고치처럼 생겼음) 고추장 후추 겨자를 먹어야 한다. 그 성분 중에 매운맛이 주종인 파 마늘 삼채 쑥 냉이 달래 당근 등도 화기가 충만한 식품이다. 매운맛은 장에서 수분을 그대로 배출되게 한다. 매운맛은 어떤 성분도 몸 안으로 들이기보다 내보내려 한다. 매운 맛은 목기 화기에 모두 있으니 양기의 본질이다. 매운 고추를 먹으면 설사가 나고, 땀이 나고 심장 박동이 높아지며 날숨이 드세어진다. 생각이 너무 많아서 이를 확 날려버리고 싶을 땐 매운 떡볶이를 먹는다. 양기로 음기의 잡생각을 발산시키는 것이다. 그러다 너무 과열이 되어서 진정이 필요하면 씁쓸한 씀바귀를 먹는다. 쓴맛은 생각만 해도 양기를 내린다. 입안에 돌던 양기로 가득한 침이 꿀꺽 넘어가 버리고 만다. 쓴맛이 화기를 썩 꺼지게 하는 것이다. 봄철에 이런 저런 일로 신경을 많이 쓰다보면 화기가 쌓여서 몸이 덩달아 과열된다. 이렇게 되면 소화액이 마르고 단내가 나며 식욕이 부진해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예로부터 음식을 그 맛에 따라 다섯 기운으로 구별하여 인체 오행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건강을 도모하고 질병도 다스리고자 했다. 이것은 명리학의 중요한 실용 중 하나였다. 그러나 같은 맛이라도 그 기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삼과 도라지는 모두 쓰지만 인삼은 화기, 도라지는 금기로 분류되는 에너지를 갖고 있다. 또한 한 음식에 여러 가지 맛이 복합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양파는 화기, 토기에 금기까지 혼합된 식품이다. 맛을 오행으로 구분하는 것은 화학적 물리적 분석에 의존하는 현대과학의 입장에서 보면 분명 신뢰성하기 어려운 발상이라 하겠다. 본 절에서는 우선 분류 방법의 원론을 살펴보고 음식 하나하나의 오행은 뒷 절에서 살펴 보 자. 전장에서 공부한 음양의 맛들이 다양한 비로 혼합된 오행의 맛은 다음과 같다. 요약 음양이 1:2인 토기는 오행의 중심에서 그들을 조절하여 중화로 이끈다. 상 세 목(木) 3양 8음. 매운맛 3과 씁쓸한 맛 또는 신맛 8의 조화 목기는 최초로 상승 발산 확장 소모하는 양기로 초록의 성장과 발육을 주도한다. 목기 맛은 식물의 속성이나 그 자라는 모습을 보면 잘 이해할 수 있다. 목기는 봄에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하도낙서가 주역에 근거 한다거나 심지어 그 전설들이 실재했던 사실이라는 등 이설(異說)이 분분하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공부하는 하도낙서는 12세기 후반 남송의 대유학자이며 음양오행에도 조예가 깊었던 주희(朱熹)가 그간의 이론과 자신의 궁리를 종합하여 완성하였다고 보는 것이 정설이다. 아무튼, 명리학이 하도낙서를 중히 여기는 이유는 오행을 수량화(數量化)하여 많은 학인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으며 오행을 사상적 근거로 하는 명리학을 차원 높은 철학으로 거듭나게 한데 있다. 주희는 행별 음기 양기의 양을 수량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했을 것이라고 짐작해 본다. ➀ 짝수는 음기로 홀수는 양기로 구별하기 ➁ 오행으로 구별한 만물의 음기 양기를 추론하여 그 *대표값을 정하기 ➂ ➁에서 얻은 음기 양기의 구성비를 1~10의 숫자로 단순화하기 (*자료 전체의 성격을 대표하는 값. 현상계는 극단적일 수 있어서 전체 자료 모두를 참고하는 것이 오히려 대표성을 띠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극단적인 값은 버리고 일정 범위의 값들로 평균값을 구한다.) 결과론이지만, 상기 구성비를 ‘수화목금토’의 순으로 나열해보면 그 수리적 배열이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원운동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 오행론의 요지(要旨)인 오행의 조화로운 원운동 순환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원운동에 어떤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는지부터 알아보자. 아래 왼쪽 그림과 같은 종이 접시 위를 원운동 하던 구슬이 접시가 잘린 부분을 통과하면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 운동에 작용하는 힘을 직각력이라고 한다. 원운동에는 구심력, 원심력 그리고 직각력이라는 세 가지 물리적인 힘이 작용한다고 말할 수 있다. 생력과 극력으로 원운동 하는 오행 오행론은 원운동을 물리학과는 달리 두 가지 힘의 작용으로 서술하였다. 각 행이 자신의 기를 키우며 동시에 바로 이웃한 행을 돕는 힘이 생력(生力)이고, 생력과 같은 방향으로 두 번째 이웃한 행을 끌어 당겨서 약화하는 힘이 극력(剋力)이다. 생력은 목이 화를 생하는 목생화와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의 힘이며 극력은 목이 토를 극하는 목극토와 화극금, 토극수, 금극목, 수극화의 힘을 말한다. 위 오른쪽 그림에서 목행에 작용하는 생력과 극력을 분석해 보자. ①목이 화를 생하는 힘은 직각력에 다름 아니다. ②목이 토를 끌어 당기는 극력을 분해해보면 목행의 원심력과 토행의 구심력이 된다.